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픽셀 밀도가 증가함에 따라 전력 소비에 대해 질문드려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디스플레이 기술에서 픽셀의 밀도가 높아지면 어쩔수 없이 화면의 전력 소비가 늘게 됩니다. 픽셀의 밀도가 높다는 것은 화면의 화질이 높아지고 각 셀마다 빛을 관리하면 더더욱 화면의 화질은 좋아지지만 각각 전력이 들어가기 때문에 전력 소비가 늘어 납니다. 따라서 저전력 회로 설계나 고효율 LED등을 활용하는 방법이나 각 셀을 비추는 것이 아니라 백라이트에서 비추는 빛을 조절하는 등의 기술적인 부분으로 접근이 필요할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전기 시스템 내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의 역할?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기 시스템에서 배터리 관리 시스템은 여러가지 모니터링및 사전 알람등으로 배터리가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해줍니다. 먼저 열이나 배터리의 상태, 성능, 충전정도등을 모니터링해주는 역할을 해서 배터리의 모든 상태를 점검할수 있고 특히 열이 올라가면 사전열을 낮추거나 작동을 하지 않게하여서 문제가 되지 않도록해줍니다. 그래서 전체적으로 배터리를 관리하는 기능을 합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전자소자에서 노이즈를 줄이는 기술은?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 소자의 노이즈를 줄이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이 적용됩니다. 제일 간단한게 차폐기능으로 금속으로 감싸서 외부 노이즈가 투입되지 않게하는 방식입니다. 그리고 필터링 기술을 통해서 필요한 주파수만 통과시키거나 수신하거나 하는 기술등으로 노이즈를 줄일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가정용 220V를 제외하고 다양한 전압을 가지고 전기가 옮겨지는데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보통 전압별 케이블의 사이즈는 보통 단면적을 나타내게 됩니다. 단면적이 적으면 저항이 높아져서 고전압을 보내면 단면적이 더 넓어야지 저항에 의한 열로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보통 볼트가 높아지면 단면적이 넓어지는데요. 그래서 220V의 경우 1.5 mm²~2.5 mm² 정도의 단면적 케이블을 사용하고 380V산업용은 6 mm² ~10 mm² 케이블을 사용합니다. 그래서 볼트가 커질수록 케이블의 단면적이 커지게 됩니다.
전기·전자
2025년 1월 10일 작성 됨
Q.
tr ir 이라는 부품이 무엇인지 가르쳐주세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회로에서 TR은 보통 트랜지스터를 말합니다. 트랜지 스터는 스위칭 소자여서 전류를 증폭하거나 스위치 역할을 하는 부품입니다. IR은 방사선과 같은 전자기파를 방출하거나 감지하여 주변의 특정 특성을 감지하는 데 사용되는데요. 많이 부르는 것이 적외선 센서같은 부품을 IR이라고 부릅니다.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