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전기는 멀리 있어도 감전이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높은 전압의 성전선에는 직접적인 접촉에 의한 감전도 발생되지만 고압에 의햐서 발생되는 강한 전기장에서 전기가 튀면서 발생되는 아크방전이 문제될수 있어서 상황과 환경에 따라서 다르지만 보텅 10KV-50KV 경우 3-5미터에서도 감전이 되고 100KV이상의 경우 5미터 이상에서도 감전이 될수록 있다고 합니다. 고압에서 작업할때는 절연복과 장갑등을 꼭 착용하고 안전수칙이 맞게 작업을 해야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공중전화기가 요즘 많이 사라진 이유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공중전화는 스마트폰의 보급으로 무선 전화기가 많아지고 개인보급이 많아지면서 없어지고 있는 추세입니다. 결국 유지관리비용 만 늘고 사용료로 벌어들이는 돈이 적어서 사라지게 된것입니다. 하지만 요즘에는 공공전화기가 위급시 스마트폰이 없어서 연락이 어려울때 연락을 할수 있고 때로는 위급 상황에서 자동으로 문이 닫히면서 보호 장치로도 사용되기도 한다고 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네온사인은 어떤 것을 얘기하나요? 조명같은 것 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네온사인은 우리관안에 네온 가스를 넣고 전류가 흐르면 가스가 이온화되면서 특정파장의 빛이 방출되면서 빛이 발산됩니다. 다른 가스나 유리관의 색으로 여러가지 색을 만들수 있지만 전력 소모가 크고 유리관이 깨지기 쉽고 LED보다 수명이 짧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가상 현실의 발전이 미래 사회에 미치는 영향?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가상현실은 기술의 발전으로 실제 현실세계와 똑같이 만들어져서 이제 시간과 공간의 제약없이 실제와 동일하게 어디서든 교육이나 체험등을 할수 있습니다. 실제로 할수 없는 경험이나 위험한 상황등을 가상에서 실제와 동일하게 하면서 체험하고 교육할수 있게 됩니다. 실제로 할수 없는 기술도 시뮬레이션을 통해서 가상현실에서 하면서 실제와 동일한 테스트가 가능하고 업무 환경도 출근을하지 않아도 가상의 공간에서 모여서 회의하고 화상이 아닌 VR을 통해서 시간과 공간이 제약없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몸이 불편하거나 해도 가상현실에서 실제와 동일하게 물건을 사고 주문할수 있고 신체의 불편함이 가상에서는 큰 문제가 되지 않아서 이런 신체적 결함도 해결될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자율주행차의 미래와 사회적인 변화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자율주행은 이제 미래에는 진짜 운전사가 없이 자율적으로 운행될것으로 보이니다. 그래서 지상과 하늘에서 차가 운행되고 실시간 데이터를 통해서 교통에 혼잡도 없고 각 센서와 데이터의 분석을 통해서 사고도 없이 운행될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택시 운전사나 버스기사 등의 일자리가 대체될것으로 보이고 또한 사람이 주차를 하지 않아도 되고 주차를 자동으로 해서 공간도 더 효율적으로 관리되고 주차 시간도 줄어 들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스마트 시티 기술이 생활 환경을 어떻게 변화시키는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스마트 시티는 인터넷과 정보통신기술이 연결되어서 실시간으로 모든 기기의 데이터를 수집하고 분석하는 여서 제공하여줌으로서 생활이 더 편해지고 효율적으로 될것입니다. 생활환경이나 날씨등을 파악해서 자동으로 조명이나 난방, 기타 전자기기등을 제어해서 전력 효율성을 높이고 자동차의 경우 주변 교통흐름을 파악하고 빠른 경로 및 사물등을 정보를 파악해서 자율주행이 될것으로 보입니다. 또한 여로 웨어러블이나 건강기기등에 의해서 실시간 건강정보가 모니터링되어서 사전에 위험한 요소를 감지해서 더욱 수명이 늘어날것으로 예상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전자기파의 전파 속도가 진공에서와 물질 내에서 달라지는 이유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기파는 보통 hz라고해서 진동으로 나타냅니다. 그래서 이동시에도 진동되면서 이동을 하는데 매질에 따라서 이 진동이 달라지게 되면서 속도가 차이가 나는 것입니다. 그래서 지속적으로 이런 이동속도에 대해서 연구해서 진동을 방해하는 것이 최소가 되는 물질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광섬유와 같은 섬유로 보내면 일반 케이블보다 더 빠르고 많은 정보를 통신할수 있는 것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선을 이용하지 않는 무선충전은 어떤원리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하는 원리는 동일하는 충전되는 전력량이 보통 스마트폰은 5~15W인데 반해 전기차의 경우 많게는 50KW까지 됩니다. 그렇기 떄문에 더 많은 전력이 전송되어야하는데 그럴려면 더 큰 코일이 있어야하고 충전소에도 큰 코일이 있어야합니다. 그리고 큰코일에 전력을 전송하다보면 더 많은 열이 발생되어서 문제가 되룻 있습니다. 그리고 전송거리도 현재 스마트폰의 경우 몇cm에 불과하지만 전기차의 경우 전송거리가 몇m까지도 될수 있어야되서 전송되는 기술이 더 어렵습니다. 그래서 충전원리는 같으나 상용화가 어려운게 현실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시내 번화가에 나가니 백화점 앞 거리에는 벌써 성탄트리가 휘황찬란합니다. 그런데 모두 가로수 등 수목에 전기불을 반짝반짝 휘황찬란 장식을 하였는데, 나무에는 전자파 등 피해가 없는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전자파에 영향은 아직 정확히 사람에게 미치는 영향도 확인된 연구결과가 없습니다. 다만 오래 전자파를 노출 시키면 문제가 될소지가 있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나무의 경우에도 크게 영향이 있다는 연구결과는 없지만 오래 노출되면 문제가 될소지는 있어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1월 8일 작성 됨
Q.
일반전구등과 LED등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LED는 자체 발광으로 전류가 흐르면 자체적으로 발광을하면서 빛을 내기 때문에 전력이 별도 다른 에너지로 소모되지 않아서 더 밝고 더 오래 사용이 가능합니다. 일반전구등은 빛을 내기 위해서 열과 빛이 발산되기 떄문에 전력이 별도 열에너지로도 발생되어서 빛이 LED에 비해서 밝지 않고 수명도 짧습니다. 대신 일반 전구등보다 LED가 처음 설치시 가격이 비싸것 빼고는 더 좋습니다.
206
207
208
209
2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