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효훈 전문가
희망종합건축사사무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전자기파를 활용하여 무선으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법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설비나 기기마다 무선데이터 전송 전력이 차이가 나지만 보통 블루투스의 경우 가까운거리에서 전송해서 1mW이하가 소모됩니다. 와이파이는 50-100mW정도 소모됩니다. 그리고 최적화 방안은 다중안테나를 통해서 신호를 한곳에 모아서 받는 방식도 있고 저전력 알고리즘과 설계도 최적화 방법입니다. 광통신등을 통해서도 저항이 없어서 최적화할수록 있고 초전도체를 활용해서도 최적화를 할수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무선충전 기술이 다가오는 IoT 시대에 미칠 변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무선충전 기술이 loT시대에서는 더욱 큰 영향을 줄것으로 보입니다. 예를 들면 현재는 이런 기기들관의 상호 통신이 되고 있지만 기기를 충전을 해야되서 지속적으로 정보를 주고 받지 못해서 일시적으로 끊어지는 상황이 발생되지만 무선충전이 발달되어서 충전 거리가 늘어나면 별도 충전을 하지 않아도 지속적으로 사용해서 사용자의 모니터링을 끊어지지 않고 할수 있습니다. 또한 어느곳에서나 무선충전이 되면 어딜다녀도 충전을 따로하지 않아도 되니 더욱 지속 모니터링이 가능할것으로 보입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초고속 통신에서의 데이터 손실 최소화 방안에 대해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초고속 통신에서 데이터 손실을 최소화하는 혁신적인 기술은 먼저 손실이 발생되지 않도록 초고속 통신에 사용되는 재료를 개발하는 기술이 필요합니다. 전기적 저항이 없는 초전도체 개발이나 광섬유를 활용해서 빛을 통해서 손실없이 보내는 기술등이 있습니다. 또한 전기적 간섭에 의해 발생되는 손실도 있어서 필터링 기술등으로도 최소화가 가능합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초음파 센서가 액체나 고체 내부 결함을 감지할 때 기준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초음파 센서가 액체나 고체 내부의 결함을 감지하는 방법은 초음파를 보내고 수신되는 초음파를 확인해서 감지합니다. 예를 들면 다시 돌아오는 시간이나 세기가 약해지는 정도등으로 확인할수 있습니다. 결함이 있는 부위에서 산란이나 흡수 반사되어서 신호나 돌아오는 시간이 줄어드는 등을 감지해서 확인합니다. 주파수의 경우 10 MHz이상의 높은 주파수가 더 미세한 결함을 알수 있으나 감쇄율이높아서 얇은 소재나 얇은 액체등에서 검출이 가능합니다. 그리고 낮은 주파수 500 kHz~5 MHz의 주파수가 깊은 영역까지 들어가서 확인이 가능하지만 해상도가 낮아서 작은 것들은 감지가 어려움이 있습니다.
전기·전자
2024년 12월 16일 작성 됨
Q.
ac코드랑 조명기기선 연결 어떻게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조명선이 2가닥이고 전원선이 3가닥일 경우 보통 3가닥 중에 녹색인 접지선을 연결하지 않고 사용합니다. 그래서 보통 연결할때 검은색이나 갈색의 전기가 흐르는 선과 전류가 흐르는 흰색과 파란색을 연결하고 녹색인 접지를 미연결합니다. 하지만 이것도 전기가 흘러서 문제가 될수 있는 사항이기 때문에 제조사에 문의하거나 설명서에서 찾아서 하시는것이 제일 좋고 항상 안전에 유의하셔서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251
252
253
254
2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