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유대인 경제교육방법을 알고 싶어요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유대인의 경제교육방법을 설명 드리자면, “Buy low Sell high(싸게 사서 비싸게 팔아)”라는 말은 유대인들이 아기를 재울 때 두 팔로 안고 흔들며 흥얼거리는 말입니다. 더 나아가 아기가 태어나서 기어 다니기 시작할 때부터 저금통에 동전 넣는 습관부터 금융경제 교육을 시작합니다. 이는 저축뿐만 아니라 적은 돈부터 소중히 모으는 습관을 갖게 하는 것입니다. 또한 성년(유대인의 성년 기준은 만 13세)이 되기 전에도 용돈을 아무렇게나 주는 것이 아니라 심부름을 하거나, 청소를 포함한 일거리를 수행했을 때 그에 합당한 용돈을 줌으로써 세상에 공짜가 없다는 것을 어릴 때부터 가르칩니다. 심지어 숫자와 말을 깨우치는 초등학생 정도의 나이가 되면 각종 모임이나 행사에서 쿠키 판매, 책 판매 등 다양한 상품 판매를 경험해봄으로써 일의 가치와 장사에 대한 개념도 심어주고 있습니다.유대인은 보통 13세 때 ‘바르 미쯔바(Bar Mitzvah)’라는 성인식을 치릅니다. 성인식 날 유대인은 부모와 하객들로부터 성경책, 손목시계, 축하금을 선물 받습니다. 성경책은 앞으로 부모의 중간 역할 없이 신과 직접 독대해야 하는 존재, 즉 신 앞에 부끄럽지 않은 인간으로 살라는 뜻이고, 시계는 약속을 잘 지키고 시간을 소중히 아껴 쓰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축하금은 보통 5만~6만 달러(한화 약 5천~7천만 원) 내외의 목돈을 받는데, 부모가 갖지 않고 전부 자녀의 통장에 넣어 둡니다.이 돈은 자녀가 부모와 협의하여 저축하거나 투자하고, 이는 훗날 크게 불어나 자녀가 부모의 품을 떠나는 18살이 될 때 경제적 독립의 종잣돈이 됩니다. 유대인의 교육은 식탁에서 시작됩니다. 유대인들은 식탁예절을 매우 중요하게 가르칩니다. 유대인들에게 식사 시간은 사회적 활동을 배움과 동시에 경제습관을 배우는 부의 출발점이 됩니다.그들의 대화 기술에 더해져 종종 세계적인 부를 이뤄내기도 합니다.
Q. 중국산 게임 관련과 한국의 대응에 대한 문의입니다.
안녕하세요. 손유근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1. 딱히 한국에서 조치를 취하고 있는 부분은 없습니다.2. 천애명월도M, 화평정영, 왕자영요, 원신 3. - 조경태 자유한국당 의원은 문화체육관광부 측에 판호 문제를 세계무역기구(WTO)에 제소할 것을 요구하는 한편 상호주의 원칙에 따른 맞대응을 펼쳐야 한다고 주장했습니다. 우리나라도 중국산 게임 서비스를 제한하자는 의미로 말입니다.- 종합감사에 참여한 박양우 문체부 장관은 이 같은 문제에 대해 “문화 산업 수입과 수출에 대해 전반적으로 검토하겠다”면서 “판호와 관련해서 한·중·일 장관 회의 때 중국 측에 협조를 요청한 바 있다”고 답했습니다. 또한 국산 게임의 판호 발급을 위한 노력을 이어가고 있다는 설명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