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인간은 개발하고 연구하는 등 창조를 통해 진화하는데 동물도 진화를 하는지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동물은 살아남기 위해서 서식지나 먹이, 기온 등 주변 환경에 따라 겉모습을 바꾸기도 했고 독특한 행동과 신체 기관을 발달시키기도 했어요.이렇게 동물을 포함한 생물이 오랜 시간 동안 자신이 살아가는 환경에 맞추어 끊임없이 변화하는 과정을 ‘진화’라고 해요.오늘날 우리가 보는 동물의 모습은 한순간에 만들어지지 않았어요. 오랫동안 변화된 환경에 맞게 진화하여 지금의 모습이 된 거예요.모양과 기능은 다르지만 기원이 같아! 상동 기관사람의 팔, 사자의 앞다리, 고래의 지느러미, 박쥐와 새의 날개는 어떤 공통점이 있을까요?이들은 현재 모양이나 기능이 서로 다르지만 모두 ‘앞다리’라는 공통점이 있어요.이처럼 지금은 모양이나 기능이 서로 다르지만 발생한 기원은 같은 기관을 ‘상동 기관’이라고 해요.모양과 기능은 비슷하지만 기원이 달라! 상사 기관새와 곤충의 날개는 날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모양도 비슷해요.하지만 새의 날개는 앞다리가 변한 것이고 곤충의 날개는 겉껍질이 변해서 생긴 것이에요.이처럼 모양과 기능은 비슷하지만 기원이 서로 다른 기관을 ‘상사 기관’이라고 해요.퇴화해서 흔적만 남았어! 흔적 기관오래전에 사람은 귀를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었대요. 다른 동물에 비해 힘이 약해서 포식 동물의 소리를 잘 듣고 재빨리 피하기 위해서였어요.하지만 목뼈와 목의 근육이 발달해 목의 회전이 자유로워지면서 귀를 움직일 필요가 없게 되었어요.그래서 귀를 움직이는 데 사용되던 근육인 동이근은 그 기능을 잃었지요.이처럼 예전에는 유용하게 사용하였지만 점점 사용하지 않아 흔적만 남은 기관을 ‘흔적 기관’이라고 해요.사람의 꼬리뼈와 사랑니, 타조의 날개, 두더지의 눈도 흔적 기관이에요.
Q. 화재경보기의 작동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화재초기에 발생되는 열, 연기, 불꽃 등을 감지하여 경보를 통해 초기 대응을 가능하게 해주는 설비이다. 각종 감지기에서 화재를 감지하면, R형 시스템의 경우 중계기를 거쳐서, P형 시스템의 경우 바로 화재경보수신기로 화재 경보가 울리게 되며, 자동화재속보설비 등 설비가 있을 경우, 관할 소방서에 바로 연락이 갈 수 있게 되어있다.2. 감지기[편집]화재 발생시 가장 최초로 화재를 감지하는 설비이며, 보통 열이나 연기를 이용하여 감지를 하나 최근에는 불꽃감지기, 가스누설감지기 등의 특수 감지기도 많이 생겨나고 있다.크게 단독형과 일반형으로 나눌 수 있고, 일반형은 기계식,반도체식과 아날로그식으로 구분이 가능하다.공통적으로 감지기는 천장에 설치한다. 여담으로 감지기 교체할때 사다리에 올라가 교체할 수도 있지만 시중에 파는 감지기 탈부착기로 교체하는 게 훨씬 편하고 안전하다.감지기가 자동화재탐지설비에 없어서는 안되는 장치이지만 모든 현장에서 만능은 아니라서 사용할 수 없는 경우도 물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