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도마뱀의 손과발 바닥은 어떤 구조로 되어 있길래, 벽에 쉽게 달라 붙어 있을수 있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흔히 '게코 도마뱀'이라고들 하지만 도마뱀붙이가 표준어다. 도마뱀 중 한 종류로, 일부 종을 제외하면[2] 대부분의 종이 발바닥에 미세한 섬모 같은 게 달려있어서 이걸로 벽이나 천장에 붙는 게 가능하다. 도마뱀붙이가 벽에 붙을 수 있는 이유는 판데르발스 힘 덕분. 이러한 특징을 응용한 벽에서도 이동이 가능한 로봇도 개발되었다. 다만 최근의 연구에 따르면 도마뱀붙이의 접착력은 판데르발스 힘보다 정전기력이 더 크게 작용한다고 한다도마뱀붙이의 발은 발가락 끝쪽으로 갈수록 요철이 심해지는데, 여기에 섬모가 있으며 이것이 빨판 역할을 한다.영어로 도마뱀붙이를 뜻하는 gecko는 마인어의 의성어인 gekoq에서 유래했다. 도마뱀과 비슷한데, 몸길이는 12cm 내외이다. 배는 암회색이고 검은색의 반점 이 몸통에서 꼬리 끝까지 불규칙하게 있다. 인가 부근에 살며 천장·벽 위에 있는 곤충·거미 등을 잡아먹는다. 그래서 일본에서는 집을 지켜준다는 의미로 야모리(家守 혹은 屋守)라고 한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거울은 표면이 어떤 구조로 되어 있길래 빛을 반사 할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거울이 반사되는 이유는 광선의 거울 표면에서의 반사 현상 때문입니다. 광선이 거울에 닿으면, 거울 표면은 매우 매끄러워서 빛이 이것저것 흩어지지 않고 직진하여 돌아갑니다. 이 때문에 거울은 입사한 빛을 동일한 각도로 반사하게 됩니다.빛은 전자기파의 형태로 전파되며, 특정 파장의 빛은 우리가 눈으로 볼 수 있습니다. 이 빛은 빛이 닿는 물체의 표면에서 일어난 반사로 우리 눈에 도달하여 물체를 보게 됩니다. 거울은 특별한 형태의 표면을 가지고 있어 매우 매끄럽습니다. 때문에 거울 표면에 닿는 빛은 거울의 표면과 수직으로 만나게 되며, 이 때 거울에 반사된 빛은 입사각과 반사각이 서로 같은 각도가 됩니다. 이를 "입사각과 반사각이 같다"라고 합니다.
Q. 비눗물을 묻히면 거울에 습기가 안생긴다고 하는데,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집에서 흔하게 사용하는 일상용품으로 김 서림을 막을 수 방법으로 바로 비누나 샴푸, 주방세 제를 이용한 방지법이 있습니다.아마 화장실 욕실 거울을 닦으면서 한 번씩 해보셨 을 것 같은데요. 활용법은 매우 간단합니다. 우선 따뜻한 물에 비누를 풀거나 주방세제나 샴푸를 5:5 로 물에 섞어줍니다. 그다음 자동차 유리에 발라주 거나 뿌려주고 마른 수건 등으로 닦아주면 되는데 요. 이는 비누, 샴푸, 주방세제 안에 들어있는 계면 활성제가 코팅막을 형성시켜 습기가 생기는 것을 방지해주기 때문입니다.
Q. 고려 왕가는 당시 근친혼으로 왕가를 유지했다고 하던게 그 배경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귀족 혈통을 유지하기 위한 관습이였습니다. 중세시대 유럽 왕족에서도 근친혼이 많았습니다.한국에서는 삼국 시대에 신라의 왕실이나 귀족층에서 골품제도의 유지와 왕권 강화를 위한 동성(同姓) 근친혼이 성행하였다. 태종무열왕 김춘추는 진지왕의 아들인 김용춘과 진평왕의 딸인 천명공주 사이에서 태어났는데, 진지왕이 진평왕의 삼촌이므로 용춘은 천명의 5촌당숙이었다. 진성여왕은 자신의 숙부인 김위홍과 혼인했으며, 김춘추는 김유신의 누이인 문희, 보희와 혼인했는데 문희의 딸인 지소는 삼촌인 김유신에게 시집을 갔고, 김유신의 딸 신광은 고모인 문희의 아들 문무왕에게 시집을 갔다. 헌덕왕은 숙부의 딸과 사촌끼리 결혼하였다. 고려 초에도 왕실의 동성 근친혼이 성행하여 이복남매 간의 결혼까지도 행해졌다.그러나, 고려 중엽부터 유학의 영향으로 근친혈족 간의 혼인이 규제되기 시작해 고려 말에는 왕실 내의 근친혼풍습이 사라졌다. 유교이념을 기초로 건국된 조선 시대에는 성(姓)과 본(本)이 같은 사람 사이의 혼인이 철저하게 금지되었고, 모계혈족도 6촌까지 혼인이 금지되었다.[1]조선시대의 동성동본금혼(同姓同本禁婚) 원칙은 일제강점기에도 조선의 관습법으로 인정되었고, 대한민국에서도 1960년 1월 1일부터 시행된 민법에 이를 규정하였다. 중국에서는 중화민국 민법의 친속편(親屬編)이 시행된 1931년 5월 5일 동성금혼 제도가 폐지되었고,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는 1948년에 동성동본금혼 제도가 폐지되었는데, 대한민국 민법 제정 당시에도 이에 대해 시대착오적 입법이라는 반론이 있었다.
Q. 누전차단기와 과부하차단기 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기나, 고용량 멀티탭을 보면'과부하 차단', '누전 차단'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것을 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과부하 차단과 누전 차단은 기능적으로 차이가 있고 작동 원리 또한 다른데,어떤 점이 다르고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것일까요?가정에 설치되어 있는 차단기나, 고용량 멀티탭을 보면'과부하 차단', '누전 차단'이라고 표시되어 있는 것을 보신 적이 있을 것입니다.과부하 차단과 누전 차단은 기능적으로 차이가 있고작동 원리도 다른데, 어떤 점이 다르고 어떤 원리로 작동하는 것일까요?우선, 과부하 차단이 가능한 차단기의 정식 명칭은 배선용 차단기(MCCB)입니다.누전까지 차단 가능한 차단기의 명칭은 동일하게 누전 차단기(ELB)입니다.배선과 누전 차단기의 설치 목적은 조금 다른데요,배선 차단기의 목적은 회로 보호이며,누전 차단기의 목적은 인체 보호라고 할 수 있습니다.배선 차단기와 누전 차단기의 작동 원리 중 먼저과부하와 과전류를 차단하는 배선 차단기부터 알아보겠습니다.배선 차단기는 합선과 과부하를 차단하는 차단기로,정격을 훨씬 넘는 과전류가 흐르면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하는 역할을 합니다.과부하가 과전류로 인해 열이 가해지면 바이메탈이 구부러지면서접점이 분리되어 전원을 차단시키고 차단기가 내려가는 것입니다.누전 차단기는 누전과 합선, 과부하를 차단하는 차단기로전기 화재나 감전 사고를 예방하는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