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삼중수소는 우리몸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삼중수소는 약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동위원소이다. 삼중수소는 원자로의 핵분열과정에서 직접 또는 중성자포획에 의해 발생된다. 핵융합발전에 사용될 귀중한 연료이나 환경으로 누설되어 섭취하면 체내에서 장기간 방사선을 발생시켜 돌연변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어 각국은 섭취허용한도를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삼중수소는 고에너지 우주선과 대기의 상호작용으로 항상 생성되고 붕괴되고 있다. 이양은 3 ~ 5 pCi/L (약 0.15Bq/L) 정도이다. 1963년까지 실시된 대기권 핵실험에 의해 다량의 삼중수소가 생성되어 이후 자연붕괴하고 있다. 현재는 지역에 따라 약 100~300 pCi/L (3~10 Bq/L) 정도의 배경 농도가 관측된다. 또한 원자력시설인근에서 누설된 삼중수소가 존재한다. 심층지하수는 삼중수소가 붕괴하여 없어져 삼중수소가 거의 없다. (그러나, 우라늄, 토륨 등은 높을 수 있다.)방사능의 섭취한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ICRP에서 제시한 권장피폭한도(RDL)인 연간 0.1mSv의 dose를 기준으로 계산하며, 이를 적용하면 7,610 Bq/L의 제한치가 타당하다. RDL로 1mSv/연(호주) 또는 0.5mSv/년(핀란드)을 채택하는 국가도 있다.[3] 국가별로 차이가 크다.
Q. 양치질을 하고나서 가끔 과일을 먹게 되면 엄청 시거나, 쓴맛을 느끼는데 어떤 화학적 작용 때문에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과일은 당도가 높은 식품이다. 그런데 양치 후에 과일을 섭취하면 단맛이 아닌 쓰고 떫은맛이 느껴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치약 속 성분 때문양치를 하면 입안이 강하게 세척돼 혀를 덮고 있던 물질들이 씻겨나가 민감한 상태가 된다. 이때, 과일 맛이 평소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치약에 함유된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과 불소 때문이다. 해당 성분이 혀의 미뢰와 결합해 쓴맛과 떫은맛이 주로 느껴지게 만든다. 혀에는 작은 돌기처럼 생긴 유두가 있는데 유두와 유두 사이에서 맛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가 미뢰다. 라우릴황산나트륨은 거품이 잘 나게 하는 화학물질로 치약 외에 샴푸, 세제 등에 쓰인다. 미국화학협회에 의하면, 라우릴황산나트륨은 단맛 수용체를 억제하고 쓴맛 수용체를 방해하는 인지질을 없애 쓴맛을 더 많이 느끼게 만든다. 충치예방을 돕는 불소 성분은 떫은맛을 유발한다.◇양치 후 입 충분히 헹궈야양치 후 입안에 남은 라우릴황산나트륨은 침, 음식물 섭취 등에 의해 보통 30분 내로 자연스레 사라진다. 단, 라우릴황산나트륨을 잘 씻어내지 않으면 입이 건조해지는 등 세균 번식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양치 후 라우릴황산나트륨을 비롯한 치약 속 첨가제를 제거하려면 물로 5~6회 정도 충분히 입을 헹궈야 한다. 라우릴황산나트륨이 함유되지 않은 치약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