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전문가입니다. 많은 질문 바랍니다.

송종민 전문가
인천공항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우주에도 생명체가 살거라고 생각하는데 증거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물과 산소 혹은 수소가 있다면 생명체가 살수 있는 가능성이 있기에 탐사를 진행하는 것입니다. 아직까지는 명확하게 밝혀진 것이 없지만 드넓은 우주에 지구와 유사한 곳이나 더 발전된 곳이 있지 않을까 하는 추측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삼중수소는 우리몸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삼중수소는 약한 방사선을 방출하는 방사성동위원소이다. 삼중수소는 원자로의 핵분열과정에서 직접 또는 중성자포획에 의해 발생된다. 핵융합발전에 사용될 귀중한 연료이나 환경으로 누설되어 섭취하면 체내에서 장기간 방사선을 발생시켜 돌연변이나 암을 유발할 수 있어 각국은 섭취허용한도를 엄격히 관리하고 있다.삼중수소는 고에너지 우주선과 대기의 상호작용으로 항상 생성되고 붕괴되고 있다. 이양은 3 ~ 5 pCi/L (약 0.15Bq/L) 정도이다. 1963년까지 실시된 대기권 핵실험에 의해 다량의 삼중수소가 생성되어 이후 자연붕괴하고 있다. 현재는 지역에 따라 약 100~300 pCi/L (3~10 Bq/L) 정도의 배경 농도가 관측된다. 또한 원자력시설인근에서 누설된 삼중수소가 존재한다. 심층지하수는 삼중수소가 붕괴하여 없어져 삼중수소가 거의 없다. (그러나, 우라늄, 토륨 등은 높을 수 있다.)방사능의 섭취한도를 결정하는 방법은 ICRP에서 제시한 권장피폭한도(RDL)인 연간 0.1mSv의 dose를 기준으로 계산하며, 이를 적용하면 7,610 Bq/L의 제한치가 타당하다. RDL로 1mSv/연(호주) 또는 0.5mSv/년(핀란드)을 채택하는 국가도 있다.[3] 국가별로 차이가 크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후쿠시마 오염수의 방류는 어떤 영향을 환경에 끼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플랑크톤 부터 고래처람 거대 물고기 및 해조류에 방사능이 쌓이게 됩니다. 그리고 사람이 해산물을 먹어서 사람 몸속에도 쌓이게 됩니다. 방사능은 반감기가 길어서 오랜동안 배출이 인되고 몸에 남아서 돌연변이나 기형, 암을 만들어 냅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머리카락 이식수술을 하면 다시 머리가 자라는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모낭과 함께 머리카락을 분리해 낸 다음 비어있는 부분에 이식을 하는 것입니다. 새로 이식된 모발 및 모낭이 정착하고 적응해서 자라나는 시간이 필요하며, 혈액 순환에 문제가 없다면 자라나게 됩니다.
기계공학
기계공학 이미지
Q.  콩코드 여객기는 더 이상 운영을 안하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양국은 그 후로도 계속 초음속 여객기를 제작하여 1972년까지 도합 20기를 제작하였다. 콩코드기의 대서양 횡단 비행 기록은 2시간 52분 59초로 평균 속도는 2,000㎞/h(마하 1.7) 정도였다. 객실은 통로를 가운데 끼고 양쪽에 각각 두 자리씩 4열 배치로 최대 131석을 만들 수 있었지만 너무 좁아서 나중에는 양사가 모두 100석 규모로 재조정하였다.하지만 점차적으로 소음 문제와 경제성이 대두되어 대서양 횡단 정기편이 줄어들었다. 곧 에어프랑스(Airfrance)는 파리~뉴욕, 브리티시에어웨이(British Airways)는 런던~뉴욕 간의 부정기 전세기로만 운항하게 되었다. 2003년 새벽 3시 20분쯤 마지막 승객을 태우고 영국 히드로 공항(London Heathrow Airport)에서 출발한 브리티시 항공 소속 콩코드기는 6시 40분쯤 뉴욕에 도착했다. 1976년 대서양 노선에 처음 취항한 콩코드기는 양 항공사가 운항을 중단하기로 함에 따라 하늘에서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양치질을 하고나서 가끔 과일을 먹게 되면 엄청 시거나, 쓴맛을 느끼는데 어떤 화학적 작용 때문에 그런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과일은 당도가 높은 식품이다. 그런데 양치 후에 과일을 섭취하면 단맛이 아닌 쓰고 떫은맛이 느껴진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치약 속 성분 때문양치를 하면 입안이 강하게 세척돼 혀를 덮고 있던 물질들이 씻겨나가 민감한 상태가 된다. 이때, 과일 맛이 평소와 다르게 느껴지는 이유는 치약에 함유된 계면활성제인 라우릴황산나트륨과 불소 때문이다. 해당 성분이 혀의 미뢰와 결합해 쓴맛과 떫은맛이 주로 느껴지게 만든다. 혀에는 작은 돌기처럼 생긴 유두가 있는데 유두와 유두 사이에서 맛을 느끼게 하는 수용체가 미뢰다. 라우릴황산나트륨은 거품이 잘 나게 하는 화학물질로 치약 외에 샴푸, 세제 등에 쓰인다. 미국화학협회에 의하면, 라우릴황산나트륨은 단맛 수용체를 억제하고 쓴맛 수용체를 방해하는 인지질을 없애 쓴맛을 더 많이 느끼게 만든다. 충치예방을 돕는 불소 성분은 떫은맛을 유발한다.◇양치 후 입 충분히 헹궈야양치 후 입안에 남은 라우릴황산나트륨은 침, 음식물 섭취 등에 의해 보통 30분 내로 자연스레 사라진다. 단, 라우릴황산나트륨을 잘 씻어내지 않으면 입이 건조해지는 등 세균 번식 위험이 높아진다. 따라서 양치 후 라우릴황산나트륨을 비롯한 치약 속 첨가제를 제거하려면 물로 5~6회 정도 충분히 입을 헹궈야 한다. 라우릴황산나트륨이 함유되지 않은 치약을 사용하는 방법도 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투명망토,투명인간. 은 앞으로 더 발전하면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투명인간은 앞을 못 볼 것이라네요왜냐하면 몸의 모든 세포가 투명해지면시신경도 투명해져서 빛이 망막을 그대로 통과해서망막에 전기 신호가 전달되지 못한다네요그래서 투명인간이 앞을 보려면 눈만큼은 투명하지 말아야 한답니다.만일 투명인간이 이 세상 어딘가에 실존한다면...남들도 자신을 볼 수 없지만 자신 또한 남들을 못 보게 되어버리는,분명 이 세상에 존재하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없는 것이나 다름없는그런 존재가 아닐가요?혼자서 고립된 거나 마찬가지인 이 사람의 삶이그리 행복할 것 같지는 않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이사할때 그릇들을 신문지로 싸서 이사하는데요. 과학적인 이유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드릇끼리 부딪혀서 깨지지 않개 하기 위해서 신문지를 많이 사용했구요. 자주 사용하지 않는 그릇은 신문지상태 그래로 보관 하시면 좋습니다. 뽁뽁이는 가격이 비싸고 부피가 커져서요.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요즘 많이 나오는 극한호우는 지구온난화 외 다른 요인도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 오난화가 가장 큰 원인입니다. 극한호우는 주로 열대 혹은 아열대 기후에서 발생합니다. 온난화의 영향으로 한국도 아열대 기후로 변화하고 있습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잠자리는 눈이 안좋은 건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잠자리는 시력이 좋다. 20m 앞 물체의 움직임도 볼 수 있을 정도다. 게다가 위아래는 물론이고 뒤까지도 볼 수 있다. 잠자리의 눈은 머리의 대부분을 차지할 만큼 크다. 언뜻 두 덩어리의 눈처럼 보이지만 그 안에는 수많은 눈이 모여 있다. 구체적으로 2개의 겹눈(큰 눈)과 3개의 홑눈으로 이뤄진다. 겹눈에 있는 낱눈은 최대 2만 8000여 개에 이른다. 낱눈은 모자이크처럼 상이 맺혀 외부의 미세한 움직임을 감지하며, 원형으로 크게 돌출돼 각기 다른 방향을 볼 수 있다.
2512522532542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