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핵폭탄의 위력은 충격파에서 나온다던데, 어떤 원리이고 왜 위협적인지 설명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핵폭탄은 원자폭탄과 수소폭탄, 중성자폭탄으로 크게 나뉜다. 모두 가공할 위력을 지녔으며, 실전에서는 제2차세계대전 때 미국이 일본에 투하한 원자폭탄 두 발이 유일하다. 일본 히로시마에 투하된 원자폭탄으로 14만여명이 몰살했다. 자연 상태에서 경험할 수 없는 초속 70m의 열폭풍과 충격파, 고열.방사능은 투하 지점 근처의 모든 생물을 죽여버린다. 이들은 물질 구성의 근본인 원자의 핵을 쪼개거나 다른 핵과 합하는 방법으로 폭발력을 얻는다고 해서 핵폭탄이라 부른다.폭약으로 우라늄이나 플루토늄을 사용한다. 우라늄은 자연에 많이 있으나 플루토늄은 인공으로 만든 물질이다. 즉, 원자로에서 우라늄을 태우면 그 일부가 플루토늄으로 변한다.폭약으로 사용하는 우라늄은 10~15㎏을 한데 뭉쳐 놓으면 각각의 핵이 스스로 쪼개지면서 터지는 성질이 있다. 하나의 핵이 쪼개질 때 그 핵에서는 중성자라는 것이 튀어 나온다. 그 중성자는 그 옆의 핵을 때려 역시 중성자가 빠져 나오게 한다. 이런 일이 순식간에 연쇄적으로 일어나면서 엄청난 폭발력을 낸다. 핵은 쪼개지거나 합해질 때 엄청난 양의 에너지를 뿜어내는 성질이 있다. 폭발할 때는 1초도 안 되는 순간에 수천~수만도의 고열과 폭풍.충격파를 만든다. 원자력 발전은 이런 에너지가 천천히, 조금씩 나오게 조절해 그 열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이다.
지구과학·천문우주
Q. 우주에 있는 장을 합하면 나오는 17개의 입자에 대해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우주의 급팽창 시기가 끝난 이후 우주의 속도는 느려졌지만 팽창은 계속되는데이때 온도가 떨어지고 우주에 녹아 뒤섞여 있던 입자 들이 드디어 분리되어그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이때 17개의 기본 입자가 등장, 이들은 우리가 만지고 볼수 있는 물질이 되는 페르미 온 입자 12개와,물질들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을 매개하거나, 물질의 질량 부여에 관여하는 보손입자 5개였어요헬륨원자를 보면 원자핵과 전자로 이루어졌어요원자핵은 중성자와 양성자로 이루어져 있지요하지만 이 중성자와 양성자는 6종류의 쿼크와 6종류 의 렙톤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쿼크는 강한 상호작용을, 렙톤은 약한 상호작용을 하 _ 는 입자예요그리고 양성자를 쪼개면 3개의 쿼크말고도 보손입자인 글루온이 나오는데요마치 풀질을 하듯 쿼크입자들을 묶는 역할을 한대요우주에는 이런 상호작용을 하는 힘이 4가지가 존재하는데 중력, 전자기력, 약력, 강력이라고 한다모든 입자는 페르미온과 보손 둘 중 하나다기본 입자인 쿼크와 렙톤을 페르미온이라고 부른다.반 정수의 스핀을 가진다렙톤은 자유롭게 존재하며 파울리 베타 원리를 만족한매개 입자는 보손이라고 부른다. 정수의 스핀을 가진. 게이지 보손은 스핀이 1인 입자다 1) 광자는 전자기파의 매개입자인데 질량과 전하가 0이다2) 글루온은 장력의 매개입자인데 쿼크와 함께 강입자를 구성한다3) W 보손, 2 보손은 약력의 매개입자인데 큰 질량을 _ 가지고 단거리에만 적용된다 힉스 보손은 스핀 0 인 입자다 중력자는 중력을 매개하는 입자인데 스핀이 2다
Q. 양자역학에 대한 기본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양자역학(量子力學, 영어: quantum mechanics, quantum physics, quantum theory)은 분자, 원자, 기본 입자(전자, 소립자 원자핵 등) 미시적인 계의 현상을 다루는 즉, 물리계의 아주 작은 입자들을 연구하는 물리학의 분야이다. 또는 아원자 입자 및 입자 집단을 다루는 현대 물리학의 기초 이론이다. '아무리 기이하고 터무니없는 사건이라 해도, 발생 확률이 0이 아닌 이상 반드시 일어난다'(Anything that is possible will happen)는 물리학적 아이디어에 기초한다.[1] 양자역학의 양자는 물리량에 기본 단위가 있으며, 그 기본 단위에 정수배만 존재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현대 물리학의 기초인 양자역학은 컴퓨터의 주요 부품인 반도체의 원리를 설명해 주고, "물질의 운동이 본질적으로 비결정론적인가?" 라는 의문을 제기하며 과학기술, 철학, 문학, 예술 등 다방면에 중요한 영향을 미쳐 20세기 과학사에서 빼놓을 수 없는 중요한 이론으로 평가된다.
Q. 플라즈마는 왜 현대과학이 주목하고 있나요?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즈마란 초고온에서 음전하를 가진 전자와 양전하를 띤 이온으로 분리된 기체 상태를 말한다. 이때 전하 분리도가 상당히 높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음과 양의 전하 수가 같아서 중성을 띠게 된다.일반적으로 물질의 상태는 고체·액체·기체 등 세가지로 나눠진다. 플라즈마는 흔히 ‘제4의 물질 상태’라고 부른다. 고체에 에너지를 가하면 액체·기체로 되고, 다시 이 기체 상태에 높은 에너지를 가하면 수만℃에서 기체는 전자와 원자핵으로 분리되어 플라즈마 상태가 되기 때문이다.플라즈마를 만들려면 흔히 직류·초고주파·전자빔 등 전기적 방법을 가해 플라즈마를 생성한 다음, 자기장 등을 사용해 이런 상태를 유지하도록 해야 한다. 일상생활에서 플라즈마를 이용하려면 이처럼 인공적으로 만들어야 하지만, 우주 전체를 보면 플라즈마가 가장 흔한 상태라고 할 수 있다. 우주 전체의 99%가 플라즈마 상태라고 추정된다.양자, 중성입자, 이온 등 입자들로 나누어진 상태. 이때는 전하 분리도가 상당히 높으면서도 전체적으로 음과 양의 전하수가 같아서 중성을 띠게 된다. 전자가 열을 받아 원자에게서 자유로워지면 끝이기 때문에 당연히 어떤 원소든 플라즈마화 될 수 있으며, 전자의 탈출로 인해 전하를 띠기 때문에 전자기장으로 가두거나 특정 방향으로 가속시킬 수도 있다. 이를 실제로 특정 방향으로 가속하는 방법으로 이용한 것이 우주선 등에 쓰이는 이온 엔진이고 적절한 밀도와 열을 가진 플라즈마를 임의의 시간하에 전자기장으로 가두는 것이 핵융합 발전의 핵심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