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전문가입니다. 물리학을 전공했습니다.
신광현 전문가
육군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화학
2023년 5월 6일 작성 됨
Q.
과자를 보호하기 위해 질소를 사용하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질소는 다른 물체와 반응이 없기로 유명한 기체입니다. 반응한다는 뜻은 화학적 작용. 즉 섞이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즉 과자를 보호하기 위해서 질소를 넣었는데 이 질소가 과자와 반응하지 않는다는 것입니다. 그래서 안에 있는 물질을 바깥의 물리적 힘에서 보호해주고 또 질소는 내부 물질과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질소를 사용하는 것입니다.
생물·생명
2023년 5월 6일 작성 됨
Q.
기모가 있는 옷이 더 따뜻한 과학적 원리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철에 기모를 입는 것은 정말 따뜻합니다.기모를 입는 것으로 바깥공기와 신체와의 거리를 늘려주기 때문에 자기 체온을 보존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따뜻함을 느낄 수 있습니다. 즉 기모를 입어서 내가 밖으로 보내는 열을 줄임으로써 따뜻함을 느낍니다. 아이스박스나 보온병도 이것과 같은 원리입니다.
전기·전자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접지가 감전을 예방해주는 과학적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사람이 죽는 이유는 전압이 높아서가 아닌 전류가 높아서 입니다. 그런데 전류는 저항이 낮은 곳으로 가고 싶어라는 성분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래서 접지를 해둔다면 전기는 그 쪽으로 다 빠져나갑니다. 번개가 쳤을 때 피뢰침이 있으면 그 쪽을 접지! 즉 저항이 0인 곳으로 갑니다. 즉 감전이 될 경우 접지가 되어있다면 접지인 0으로 흘러가고 접지보다 저항이 높은 우리몸에 소수의 전류가 흘러 안전한 겁니다. 만약에 접지가 없다면 전류가 전부 우리 몸으로 들어오고 감전사하게 됩니다. 즉 접지된 쪽으로 전류가 흘러가서 안전한 것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6일 작성 됨
Q.
태양풍 플라즈마가 지구에 미치는 영향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플라즈마는 액체가 아닌 이온화된 기체 상태입니다. 이 플라즈마가 지구로 500km/s의 속도로 날아옵니다. 즉 태양풍이 플라즈마로 흐름이라고 봅니다. 그래서 오로라 현상이 일어나는게 지구로부터 위부 우주방사능 물질이 날아온 것이라 보면 되는게 그게 태양풍입니다. 지구는 하나의 자기장으로 이루어져 있는데 태양풍이 세게 불면 자기장에 문제가 생깁니다. 무선통신 장비는 지구의 자기장을 모태로 디자인을 했기 때문에 지구의 자기장에 문제가 생기면 무선통신 두절 무선연락두절 인공위성 파괴 등 여러 피해를 봅니다. 태양풍의 장점이라고 하면 오로라 같은 것을 볼 수 있다 이정도 입니다. 태양 활동으로 인해 일어나므로 흑점 활동 주기와 연관되어 11년마다 태양풍이 강해진다는 설이 있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4월 23일 작성 됨
Q.
지구 온난화가 심해지면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지구온난화가 심화되면 당장 기후가 변하기 됩니다. 그래서 추운 곳은 더 춥고 더운 곳은 더 덥게 됩니다. 쉽게 우리나라를 예로 들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는 겨울에 북서계절풍이 붑니다. 이 북서계절풍은 오호츠크해 기단에 영향을 받아 저온건조한 바람입니다. 이 바람은 북극에 영향을 받는데 지구온나화로 인해 빙하가 녹으면서 원래라면 편서풍의 영향을 받아 내려오지 못하던 차가운 기운이 같이 내려오게 됩니다. 그래서 우리나라의 겨울은 더 춥게 된 것입니다. 그리고 원래 4계절이 뚜렷했던 우리나라는 여름 겨울 반복하는 계절로 바뀌고 있고 지구온난화가 지열을 자극해 화산폭발이 일어날 수 있으며 바다에서 일어나는 화산활동은 해일. 즉 쉽게 누구나 아는 쓰나미같은 기상이변을 만들어냅니다. 또 북극이나 남극의 얼음을 녹여 섬나라들이 점점 잠기게 됩니다. 지금 이 순간에도 수많은 아시아 섬나라들이 이미 많이 스장되고 있습니다. 자연은 미래 우리의 자식들이 우리의 후손들도 써야된다는 것을 염려해두고 환경에 조금이라도 신경을 써야된다고 말하고 싶습니다.
전기·전자
2023년 4월 22일 작성 됨
Q.
정전기는 어떤 원리로 발생하고, 왜 유독 겨울철에 많이 발생하는 건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정전기라는 것이 잘 발생하는 조건이 있습니다. 일단 건조해야합니다. 그리고 전자를 잘 모을 수 있는 털옷 종류나 폴리에스테르 같은 재질로 된 옷을 입고 있다면 정전기가 잘 일어납니다. 우리나라의 겨울은 저온 건조합니다. 그래서 춥기때문에 털옷이나 에스테르종류의 옷을 입기 때문에 전자가 잘 모이게 됩니다. 그리고 건조한 날씨때문에 모인 전자가 잘 방출되지 않습니다. 그래서 쇠로 된 손잡이를 만지는 경우 한번에 전자가 방출되면서 엄청난 전압이 흐르게 됩니다. 그 여파로 손이 따가움을 느낍니다. 정전기를 방지하기 위해서은 동전같은 쇠붙이를 들고 다녀 전자를 모이지 않게 하거나 핸드크림을 발라 손을 촉촉하게 만든다면 정전기가 일어나지 않습니다.
물리
2023년 4월 10일 작성 됨
Q.
엘리베이터 추락할 때 점프하면 왜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많은 사람들이 착각하는데 엘레베이터가 밑으로 떨어진다는 것은 단순히 위치 이동이 아닙니다. 우리가 만약에 1m/s라는 속도로 뛰어 오른다고 해도 밑으로 떨어지는 속도는 약9.8m/^2이라는 속도로 점점 빨라집니다. 즉 약 100m/s로 떨어지는데 위로 1m/s로 점프한다면 단순히 + -를 해서 결국 99m/s로 밑으로 추락한다고 생각하면 됩니다. 즉 위로 100m/s라는 속도로 뛸수 있다면 부상을 입지 않겠지만 그것은 불가능하다고 보면 됩니다. 즉 점프를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27일 작성 됨
Q.
비가 온 뒤 무지개가 생기는데 그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무지개가 생기는 이유는 비가 온 뒤 공기 중에 있는 물방울 때문입니다. 물방울이 프리즘 역할을 해서 빛을 분산시킵니다. 그래서 빛을 굴절이 됩니다. 빛마다 굴절되는 각에 따라 색깔이 달라지기 때문에 여러 색깔로 보입니다. 그리고 7색깔로 보이는 것은 인식 때문입니다. 다른 나라는 무지개를 17가지 색으로 규정하기도 합니다. 우리나라는 7색깔 무지개라고 배웠기 때문에 그렇게 인식하는 겁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2023년 3월 27일 작성 됨
Q.
해변가에 고래 사체가 보이면 피하라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덴마크 해변에 고래사체가 떠내려 온 적이 있습니다. 그 때 일주일이 지난 후 고래가 폭발했습니다. 그 이유는 고래가 가지고 있는 두꺼운 지방층때문입니다. 동물들이 죽으면 메탄가스를 발생하게 되는데 메탄은 공기 중에 산소와 만나면 터질 수 있는 가연성 가스입니다. 그래서 고래가 터지면 고래 안에 있는 수 많은 미생물과 세균 그리고 부패한 내장이 튀어나올 수 있기때문에 고래 사체 주변에 가면 안됩니다.
화학
2023년 3월 26일 작성 됨
Q.
일본이 바다에 방사능오염수를 방류한다고 하던데요
안녕하세요. 신광현 과학전문가입니다.일본이 방사능을 희석한 또는 처리한 물을 방류한다고 합니다. 이때 생기는 문제는 너무 많습니다. 온 세계가 일본과 인접하는 국가들의 해산물 검사가 활발해지면서 수출이 힘들어지겠습니다. 우리나라도 수입하는 해산물에 방사능 검출 검사를 심하게 하는데 그 검사를 더 심하게 할겁니다. 그리고 제일 문제는 방사능이 시간이 지난다고 쉽게 사라는 지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만약 방사능이 검출 되지 않는 정도로 미미비한 방사능을 머금고 있는 조개가 많다면 그것이 차곡차곡 쌓여 피폭을 발생시킬 수 있습니다. 또 바닷가에 아무리 희석되어도 그 정도를 아무도 측정 할 수 없으며 방사능에 대한 인체 실험은 제대로 되지 않고 또 피폭시 사망률이 100%이며 어느 정도가 인체에 해로운 지 그 정도까지 제대로 측정되지 않았기 때문에 위험하다고 하는 것입니다. 그래서 전세계적으로 전부 일본의 방사능 희석물 방류를 반대합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