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심은채 전문가
태건씨엔디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아이가 안먹어본 음식은 절대 먹지 않는데 어떻게하면 음식에 관심을 보일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보통의 아이들도 처음 본 음식에는 냄새만 맡거나, 전혀 관심을 두지 않는 것 같아요. 올바른 식습관에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는 것도 도움이 될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아이가 영재인지 아닌지는 전문가가 봐야 알 수 있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영재는 보통 또래 아이들과는 다르게 다양한 분야에서 특별한 능력을 나타내는 것 같아요어른들도 이해하지 못하거나 어려운 문제를 풀거나, 배우지 않는 수학을 푸는 등의 실력을 보이면영재 검사를 받아 보셔야 합니다.보통 웩슬* 에서 많이들 검사를 하는 것 같아요.또는 kag* 에서도 합니다.단체로 하는 것보다 1:1로 해야 정확하다고 합니다.비용은 몇 십만원 정도 한다고 하니 참고하세요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6개월된아기 아픔 시작할수. 있으니 각별한. 관심 보살핌이 중요함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글의 내용대로 아기가 태어날 땐 엄마에게서 받은 면역력이 있기 때문에 아프지 않지만, 돌이 가까워질수록 면역력이 떨어져서 자주 아프기도 합니다면역력에 도움이 되는 음식과, 충분한 수면, 규칙적인 생활이 중요합니다.
놀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36개월아이가 넘어져서 혀를 깨물었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아파하면 병원에 가야 하고, 잘 놀고 괜찮아하면 가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혹시 모르니 계속 살펴는 보셔야 할 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자꾸 만화를 보여달라고 떼를 써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아이들은 만화 영상을 좋아하기 때문에 자꾸 보여달라고 하는 것 같아요영상을 너무 자주 보다보면 눈 깜빡임이 줄어 들어서 시력에 지장이 생길 수 있으며, 공격적인 행동이 나올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영상을 보여 주는 것 보다는 엄마, 아빠가 아이와 함께 놀아 주시기 바랍니다 자주 놀아주다보면 영상 보는 횟수가 점차 줄어들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아이 열날때 이부프로펜 해열제 24시간 내 용량은 얼마까지인가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새벽부터 계속 열이 떨어지지 않으면, 아이도 축 쳐져 있고, 밥도 잘 안 먹기 때문에, 되도록 빨리 병원에 가는 게 나을 것 같아요39도면 고열이기 때문에 교차 복용을 했는데도 열이 떨어 지지 않는다면, 병원에 가셔야 합니다병원에 가서 수액을 맞으면 열이 떨어질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18개월아기가 치즈만 찾습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 시기엔 치즈 하루 섭취량은 하루 한 장 정도 입니다아이의 건강을 위해서라도 하루에 한 장씩, 적당한 양을 먹여야 할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잘모르면서 아는척하는 아이는 어떻게 대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인정하기를 싫어하는 아이들은 자존감이 낮아서 그럴 수 있답니다 아이의 자존감을 높여 주셔야 합니다 아이의 결과물 보다는 과정에 아낌 없는 칭찬과 격려를 해주세요
유아교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초1 공부량은 어느정도여야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학교 1학년이면 아이가 학교 생활에 적응을 잘 할 수 있도록 도와주셔야 합니다아이가 어느 정도 적응을 하면, 부족한 학습을 채워 주셔야 합니다처음부터 많은 분량의 학습을 시키기 보다는 아이의 학습 능력에 맞게 조금씩 늘려가시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3일 작성 됨
Q.
자기마음대로 안되면 짜증내는 아이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친구들과 놀다가 다투는 일은 흔하답니다화가 나는 것은 어쩔 수 없지만, 표현하는 방법은 올바르게 표현을 하는 습관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아이의 마음에 공감을 해주시되, 표현하는 방법을 지도하는 게 좋을 것 같아요
616
617
618
619
6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