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심은채 전문가
태건씨엔디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11개월차 아기아빠입니다 보통 낮잠은 하루면 몇번재우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이 시기의 아가들은 밤에는 11시간 정도의 수면을 취하며낮잠은 한 두 번 정도씩 1시간에서 2시간 정도 낮잠을 자면 될 것 같습니다. 낮잠을 잘 자고 일어난 아이들은 집중력에도 도움이 된다고 하니 충분히 재우는 게 중요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만 3세~4세의 패드학습.. 전문가님들은 어떻게 보시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하루에 30/40분 정도의 패드 학습이면 괜찮을 것 같습니다패드 학습에 빠지게 되면 아이가 패드만 찾게 될수 있으니 항상 부모님이 함께 하는 걸 권해 드립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100일 지난 아기 낮잠을 너무 많이 자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수유량은 아기들마다 소화능력에 차이가 있기 때문에 다 다를 것입니다생후 3개월 정도 된 아가들은 160~200미리 하루 5, 6회 총 900~100미리 정도 먹이시면 될 것 같습니다.하지만, 아이가 보채거나, 울 때 마다 주는 습관이 되어버려서는 안됩니다.이 시기에는 잠을 많이 자는 시기입니다 아이가 점 점 커갈수록 놀이에 흥미를 느끼기 때문에 잠이 점 점 줄어들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임신 준비 단계에서 필수로 해야하는 검사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임신 준비 단계에서 필수로 하는 검사는 산전 검사입니다산전 검사는 항체 유무 검사 정도입니다. 과거와 달리 생활 패턴, 초혼 연령대가 높아짐에 따라 산전 검사는 필수가 되어가고 있답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원래 아기들은다 잠귀가 밝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4개월 정도 되면 통잠을 자는 시기이기도 합니다매일 일정한 시간에 재우는 습관을 들이기 바랍니다 루틴을 만들어서 매일 반복하다보면, 아이가 잠 자는 시간이 가까워지면, 쉽게 잠이 들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말을 잘하는 아이로 키우려면 어떻게 도와주면 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와 자주 놀아주면서 상호작용을 열심히 시켜 주어야 합니다 혼자 노는 아이들은 언어력 발달이 상대적으로 더딜 수 밖에 없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4개월 아기 변상태 괜찮은가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정상 변인 것 같아요.최근에 분유를 바꾼 게 아닌지 모르겠습니다흰색이 섞여 나오는 것은 정상변이며, 혈변이나, 설사를 계속한다면 병원에 가야 합니다흰색 알갱이 변은 유지방이 배출되는 것이므로, 크게 걱정하지 않아도 될 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아이가 귀엽다고 뽀뽀를 막 하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들은 면역력이 취약하기 때문에 되도록 아기의 입이나 볼에는 뽀뽀를 하지 마시기 바랍니다. 면역력 약한 영유아 에게는 절대 뽀뽀를 해서는 안됩니다.물집, 뇌염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 헤르페스 바이러스 감염증은 주로 타액을 통해 감염됩니다.면역력이 약한 영유아에게는 더 치명적일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중1 딸이 학교를 그만두고 싶다고 합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중학교 1학년이라서 아무래도 사춘기가 온 것도 영향을 미치는 것 같습니다아이와 차분히 대화를 나눠 보셔야 할 것 같아요자퇴 보다는 학교를 옮기는 것을 고민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대안 학교도 검토해 보기 바랍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8월 20일 작성 됨
Q.
타이레놀 잘 못 먹었을 경우 부작용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어린 영.유아는 약물 남용은 문제가 될 수 있지만, 5학년 정도면 괜찮을 것 같지만, 그래도 혹시 모르니, 아이의 상태를 잘 관찰하셔야 할 것 같습니다. 약은 되도록 아이의 손에 안 닿는 곳에 두어야 합니다 투약을 할 때도 아이가 스스로 먹게 하는 것 보다는 부모가 확인을 한 후 직접 투약해 주는 게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
626
627
628
629
6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