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전문가입니다.
심은채 전문가
태건씨엔디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놀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27개월된 아이가 무엇을 하다가 짜증이 나면 물건을 던집니다.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물건을 던지는 행동을 할 땐 바로 그자리에서 하지 못하게 해야 합니다. 그냥 내버려두면, 아이는 그 행동을 반복해서 계속 할 것입니다 잘못된 행동이라고 반드시 알려주는 게 중요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4학년 딸 용돈은 얼마가 적당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초등학생들은 또래들과 어울리기도 하고, 학교 등.하교시 필요한 준비물 등도 사야하는 등 쓸 곳이 많으므로, 적당한 용돈을 주는 게 좋을 것 같아요. 만원 정도면 적당할 것 같아요. 분실될 염려가 있으니, 체크카드에 넣어 주는 것도 고민해 보기 바랍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27개월된 딸 아이가 싫어라는 말을 자주 하는데 어떻게 해야 하죠?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가족들이 싫어 라는 말을 자주 쓰는 건 아닌지 점검해 보셔야 합니다. 아이들은 말하기 쉬운 말은 금방 따라서 한답니다. 싫어 라고 말을 할 땐 크게 반응을 안 보이는 것도 중요합니다 아이도 관심을 안 보이는 말들에 대해선 사용하지 않게 되어 있답니다.
놀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아기들이랑 뭐하고 놀면 좋아할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연령이 어떻게 될까요? 아이에게 책을 자주 읽어 주세요. 다른 목소리로 구연 동화처럼 읽어 주시면 아이들이 굉장히 좋아한답니다 그리고,그림을 같이 그려주세요, 아이들은 그림 그리는 것을 재미있어 한답니다. 그리고, 신체로 놀아주세요. 키즈 요가를 하거나, 스트레칭, 율동 등을 같이 하면 아이가 행복해 할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12살 아이인데 밥을 잘 안먹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간식을 자주 먹는 건 아닌지 점검해 보시기 바랍니다. 보통 달달한 간식을 자주 먹는 아이들이 밥을 잘 먹지 않는 경우가 있답니다. 아이의 건강과 키 성장을 위해선, 영양가 있는 음식을 매일 섭취할 수 있도록 해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7세 유치원생에게 꼭 필요한 영양제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 영양제는 보통 종합 비타민은 다들 먹이는 것 같아요 그 외에도 키 건강에 도움이 되는 칼슘과, 아연, 비타민d, 유산균 등을 먹이는 게 좋을 것 같아요병원이나, 약국에서 상담을 해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5살 남자아이 10시간 정도 자는데 적당한가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잠을 많이 자면 면역력 향상에 좋답니다. 충분히 자고 일어나면 집중력도 좋고, 아이의 키 성장에도 도움이 되니, 많이 재우시기 바랍니다. 성장 호르몬이 나오는 시간인 10시 이전에 재우는 게 좋을 것 같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둘째 출산, 경산모는 출산을 더 빨리 하나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임산부 마다 다른 것 같아요. 보통 둘째는 더 빨리 나온다고들 하지만, 더 늦게 출산 하는 경우도 있으니, 케바케인 것 같아요.
놀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20개월 남자아기 행동 발달이 궁금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던지는 행동을 했을 시 바로 안된다고 강하게 훈육을 해야 합니다. 한 두번 하고 말겠지 하고 내버려두면 아이는 던지는 행동을 놀이로 생각해서 반복된 행동을 할 것입니다.
놀이
2023년 7월 13일 작성 됨
Q.
수족구병에 좋은 음식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수족구병은 현재까지 개발된 백신이나 치료제가 없다고 합니다. 개인 위생을 철저히 지키는 것이 감염을 예방하는 최선이라고 합니다. 손 씻기, 장난감 소독, 수족구 유행시 사람 많은 곳 피하기, 충분한 휴식 등이 예방법입니다.
766
767
768
769
77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