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양승열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양승열 전문가입니다.
양승열 전문가
한국심리치료사협회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1월 29일 작성 됨
Q.
아들이 말을 잘 안하는데 어떻하면 좋을까요?
아들과 대화를 하지 않았던 환경이 지속되었을 것 같네요 말을 하지 않는 이유는 보통 불만이 있거나 할 이유가 없는 경우이니 소통이 더욱 단절 되기 전에 먼저 부모님 측에서 먼저 나서야 할 것 같습니다. 대화를 하자고 공식적으로 자리를 마련하기 보다 일상 생활에서 자연스럽게 오고 가는 가벼운 말로 시작하여 대화를 유도해 보세요 당장은 답답할 수 있겠지만 타박하거나 다그치거나 궁금한 내용에 대한 질문 보다는 공감을 먼저 해주시는게 좋습니다.
놀이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아이가 새로운환경을 피하려고만 하는데 방법이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양승열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함께 배우면 한다는 아이의 말이 긍정적이네요아이에게 어떤 것을 권하고 싶은데 새로운 시도를 기피하는 편이라면, 가장 친근하고 가까운 부모님과 함께 하는 것이 좋습니다.수영을 가르치고 싶다면 아이와 함께 수영을 배워보고 영상자료나, 아이가 흥미를 갖을 수 있는 방법으로 부모님이 접근성을 제시해 주면 곧 잘 따라올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살고있는 아파트가 비싼 곳인지 질문하는 앙이에게 어떠한 대답을 해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양승열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정확한 집의 가격을 알려주는 것보단 우리집은 살기 좋은 곳이다 우리 가족이 함께 살아가는데 불편함이 없고 가족이 화목하게 살 수 있는 보금자리라는 것을 이해시켜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집이 좋다고해서 매매가를 직접 알려주거나 좋지 않다고 얼버무리는 방식보단 집 값에 연연할 이유 없이 가족들이 살기 좋은 집이라는 인식을 심어주셔야 합니다.친구들에게 이야기 할때도 부모님과 함께 다정하고 화목 하게 살고 있고 집 가격은 잘 모르겠어 라는 뉘앙스의 답변도 함께 제시해 주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30일 작성 됨
Q.
아빠,엄마(이성) 따라서 화장실,목욕탕에 몇살까지 따라 들어가는게 적절할까요?
안녕하세요. 양승열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공중위생관리법 상 목욕실 및 탈의실은 만 4세(48개월) 이상의 남녀를 함께 입장시켜서는 안된다고 명시되어 있습니다.집에서도 이성의 부모님과 함께 목욕을 하는 적정한 시기는 5세 이하로 5세가 넘어가면 각각 동성의 부모님과 목욕을 하거나 이성의 부모님이 씻겨줄 경우 중요부위를 가릴 수 있는 속옷이나 옷차림을 하고 씻겨주는 것이 발달에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29일 작성 됨
Q.
친구와의 갈등을 해결할 수 있는 방법은 어떻게 가르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양승열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나이가 어떤지 모르겠지만 갈등이 잦은 아이는 생각이나 이해심이 달라서 입니다.자녀의 생각을 들어보고 자녀를 먼저 이해해 준 뒤다른 사람의 입장들을 제시하며 자녀도 다를 사람들을 이해할수 있도록 접근하시는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8월 30일 작성 됨
Q.
아이가 어떤 부분에서 엄마 허락을 받는다면요?
안녕하세요. 양승열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허락을 받는다는 것은 부모님이 통제를 했던 기억이나 이 행동을 해도 되나 란 의문점을 갖게 되었을 때 보통 허락을 구합니다.사회성의 눈치가 발달 한 것인데 통제를 해야 할 때 통제에 대한 이유와 왜 절제를 해야 하는지 등의 근본적인 이유를 설명해 주시면 추후 행동에 한번더 생각하며 이행할 것입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8월 30일 작성 됨
Q.
지금과 같은 시대에서도 사랑의 매가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양승열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유효한 방법 이라기보단 두려움을 유발한 쉬운 방법입니다.일시적으로나 매를 들었을 때에만 효과가 있을 수 있으나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는 훈육방법은 아니니 아이가 문제점을 이해할 수 있도록 하며 훈육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1학년 유투버 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양승열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아이도 유튜버로 성공한 사례가 많아 나쁘지 않은 것 같네요 유튜버를 해서 금전적인 효과보단 아이의 열정적인 영상을 업로드 하며 누군가에게 학습효과가 될 수 있고, 온라인 창을 통한 건전한 소통을 하며 자아의 발현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다만 조회수나 기타 수치에 연연해 하여 의기소침해 지지 않도록 옆에서 케어가 필요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요즘 초등학교 방학 가까워지면서 단축수업하나요?
요즘에도 단축수업을 진행합니다.학교마다 시행하는 시간이나 날짜는 다르며 보통 혹한기, 혹서기가 시작되는 방학 전 1~2주 정도 1~2시간 정도를 진행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7월 23일 작성 됨
Q.
사춘기인 자식을 달래는것만이 방법인가?
안녕하세요. 양승열 놀이심리상담사입니다.사춘기의 시기에 아이들이 반항을 하거나 말을 잘 듣지 않는 이유는, 아이가 감수성이 풍부해지며 그 나이때의 생각을 부모님이 잘 공감을 해 주지 못한다는 생각이 들어 대화를 피하거나 다른 생각을 반항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이 시기에는 같은 시절을 보내봤던 동성의 부모역할이 중요한데, 그 당시 시절을 투영하여 아이의 공감을 자아내며 훈육및 대화를 하는것이 좋습니다.
1
2
3
4
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