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3년 12월 17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잠자는 패턴이 너무 이상해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네 수면패턴은 일정하게 자리잡을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양질의 잠을 자야 밥도 잘 먹고 잘 성장할 수 있으므로 10시~2시 사이에는 깊은 잠에 들 수 있도록 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17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아이가 눈물이 많습니다.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감정이 풍부한 아이라면 충분히 자신의 감정을 표현하게 하되 눈물 보다는 말로 표현할 수 있도록 유도해 주시기 바랍니다. 아이가 어떤 상황에서 눈물을 보이려할 때 아이 감정에 공감해주시면서 아이 감정을 말로 읽어주세요. 그렇게하면서 울기보다는 말로 표현해보자고 해주시기 바랍니다. 처음엔 어렵겠지만 차츰 말로 표현하면서 자신의 감정을 객관적으로 파악하게 되고 감정적인 대응보다는 이성적으로 대응하게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2월 17일 작성 됨
Q.
눈 오는날 아이 보온을 위해 어떤 식으로 옷을 입히는 것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여러 겹의 옷을 겹쳐 입을 수 있도록 해주시고 머리, 손, 목, 발을 보호할 수 있도록 털모자, 장갑, 부츠, 목도리 등의 방한용품을 착용하게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12월 17일 작성 됨
Q.
남자아이도 피아노같은거 배우는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네, 남녀 구분없이 악기를 배우는 것은 손과 뇌의 협응력을 기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음악적인 감각도 기를 수 있습니다. 특히 피아노는 계이름을 배우고 악보를 배우기에 좋으니 우선 아이와 함께 체험해보시고 결정하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11일 작성 됨
Q.
화 안내고 빨리 등원 준비 하는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들은 아직 시간 개념이 부족하기에 몇 시까지 준비하고 몇 시까지 나가야 한다는 등의 계획이 와 닿지 않을 나이입니다. 따라서 구글 타이머 같이 시각적으로 시간이 가는 것을 볼 수 있는 시계를 준비하셔서 미션을 수행하듯 그 시계를 보면서 시간 안에 준비할 수 있도록 해보시는 것이 어떨까요?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12월 8일 작성 됨
Q.
7세 아동의 독서습관을 키우게 하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한글을 읽더라도 책을 읽는 문해력이 바로 생기기는 어렵습니다. 따라서 적어도 2학년까지는 아이가 원한다면 읽어준다는 생각을 갖고 계시는 것이 좋습니다. 스스로 읽을 수 있더라도 혼자 읽는 것보다 엄마 아빠의 목소리를 통해 책을 읽으면 상상력을 더 잘 발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계속 부모님이 읽어주신다고 읽기독립이 이루어지지 않는 것이 아니므로 염려 마시고, 첫 부분은 엄마가 읽고 그 다음 문단은 아이가 읽는 등 게임처럼 함께 읽어보시면서 서서히 스스로 읽을 수 있게 유도해 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3년 12월 8일 작성 됨
Q.
유아에게 사탕은 무조건 해로운가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한번씩은 괜찮지만 한번 주기 시작했을 때 잘 통제하기 힘들다는 점에서 잘 안 주려는 추세인 것 같습니다사탕에 들어가는 단당류는 중독적이기에 많이 섭취하면 성장을 방해하기에 이롭지는 않습니다. 따라서 하루 1~2개로 제한하거나 밥과 과일 등을 통해 건강한 당을 섭취하게 한 후 사탕을 1개 정도씩 주는 등 나름의 규칙과 일정한 루틴을 세우고 정확히 지키는 것이 중요합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8일 작성 됨
Q.
어른어게 무례하게 행동하는 손주 혼내야 할까요?그냥 너그럽게 이해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무섭게 혼내시거나 감정적으로 대하실 필요는 없지만 안되는 것에 대해서는 다소 단호하게 얘기해줄 필요는 있습니다. 41개월이면 타인에 대한 배려를 하기에 이른 시기이므로 그렇게 행동했을 때 기분이 나쁘고 하지 않았으면 좋겠다고 진지하게 이야기해 보세요. 그래도 아이들은 한번에 알아듣고 행동하지 않을 것이지만 일관된 태도로 계속 알려주시면 아이도 알아듣기 시작할 것입니다.조금 더 인내심을 갖고 훈육해 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3년 12월 8일 작성 됨
Q.
아이가 빵을 좋아해서 빵 만드는 체험을 해보려고 하는데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좋아하는 것과 관련된 활동을 하는 것만큼 아이에게 좋은 교육이 없습니다. 빵을 좋아한다면 맛있는 빵을 찾아 근교로 여행도 가보시고 빵 박물관이나 체험관도 가보시고 관련 그림책도 열심히 보여주세요. 이러한 경험을 통해 빵 만드는 법, 재료 등 많은 지식이 쌓일 것이고 관심사도 확장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3년 12월 8일 작성 됨
Q.
6세 아들의 말대꾸가 자의식이 확립 되어가는 과정 맞나요?
안녕하세요. 어지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의 말에 감정적으로 대응하지 마시고 의견이 다소 대립되더라도 '그렇구나. 너는 그렇게 생각하는구나. 그럴 수 있지' 식의 태도로 대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너무 격앙되거나 감정적으로 이야기할 때는 공격받는 느낌이 든다는 등 부모님의 느낌과 기분을 솔직히 표현해주시고 조금 더 부드럽게 얘기해 달라고 하시면 충분히 수정될 것으로 보입니다. 부모님께서도 감정적으로 반응하지 않고 기분을 말로써 객관적으로 표현해주신다면 아이도 지금 보다 더 잘 자신의 기분과 생각을 조리있게 전달하는 아이가 될 것입니다.감사합니다.
106
107
108
109
11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