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어지현 전문가입니다.
어지현 전문가
성균관대학교 아동학과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아기들에게 간식으로 과자(아기용 과자)를 언제부터 먹여도 될까요?
안녕하세요,간이 안되어 있는 과자의 경우 이유식을 시작하면서 먹이실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첨가물을 확인해주시고 간식을 먹일 때 물도 충분히 섭취할 수 있게 해주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아이가 집에 몇살부터 혼자 있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1시간 내외라면 초등 저학년부터 가능하지만 장시간 혼자 있어야한다면 고학년부터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왜냐하면 초등 고학년부터 전두엽이 발달하면서 더욱 이성적인 사고가 가능하기에 혼자 있어도 여러 상황에 대한 이성적 판단과 대처가 가능하기 때문입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5월 30일 작성 됨
Q.
아기들은 언제 처음 말을 할수있나요?
안녕하세요,이르면 8개월 정도에 엄마, 아빠를 얘기하고 보통 돌 전후로 말을 하기 시작합니다.아이 언어발달을 돕기 위해서는 아이가 옹알이를 시작할 때 눈마추며 호응해주시고 아이에게 말을 많이 걸어주세요. 또 수시로 책을 읽어주시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감사합니다.
놀이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아이와 역할 놀이 관련 질문드립니다.
안녕하세요,역할놀이는 아이가 특정 역할이 되어 연기해보면서 상상력과 창의력을 키울 수 있고 그 입장을 이해하게 되어 배려심을 키울 수도 있으며 언어 발달에도 도움이 되는 좋은 놀이입니다. 보통 미취학 시기에 상상력이 발전하면서 역할놀이를 많이 하고자 할텐데요 그러한 아이의 욕구를 잘 들어주시고 함께 해주시면 더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5월 29일 작성 됨
Q.
아이의 자폐증세는 언제부터 알수있나요?
안녕하세요,자폐를 의심할 수 있는 증상 중 호명반응이 있는데 이것은 9개월 전후로 확인이 가능합니다. 아이 이름을 부를 때 그것에 반응하는지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그 밖에 눈맞춤을 하는지, 엄마 아빠의 눈치를 보고 참조를 하는지 확인해보시면 좋습니다.감사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보통 몇 개월부터 아이 어린이집 보내시나요?
안녕하세요,보통 어느 정도 의사소통이 되는 시기에 보내는 것이 안심은 되지만 사정이 여의치 않다면 아예 낯가림이 심해지고 분리불안이 심해지기 전에 보내는 것이 적응에 더 좋을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유치원 방학은 기간이 얼마나 되나요??
안녕하세요,국공립 유치원의 경우 3~4주입니다만 사립 유치원은 1주일 정도입니다. 단, 맞벌이 가정이 많아 방학 때도 통합보육을 해주는 곳도 있으니 자세한 것은 재원 중인 유치원에 집접 문의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우리집 아이가 아이스크림을 너무 좋아 하는데 달래 주는게 좋을까요?
안녕하세요,아이스크림은 말씀하신대로 인공색소나 탈지분유등으로 만들어지기 때문에 많이 먹을 경우 건강에 해롭습니다. 따라서 진짜 망고 과육을 얼린 망고바나 아이스 블루베리와 같이 아이스크림을 대체할 수 있는 식품들을 고민해 보시기 바랍니다.감사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유치원 대기는 어떻게 하나요?그리고 언제부터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유치원 지원은 '처음학교로' 라는 사이트에서 지원하며 4세(만2세) 11월 중순쯤 지원 가능합니다. 1,2,3 지망까지 지원할 수 있으며 선착순이 아닌 추첨제입니다.1,2,3지망 중 추첨된 곳에 보내셔도 되고 1지망이 안되었을 경우엔 따로 전화 상으로 대기를 걸어두고 TO가 생겼을 때 보내시면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5월 28일 작성 됨
Q.
잠투정이 심한 27개월 아이 어떻게 해야 좋아질까요?
안녕하세요,잠투정으로 고민이시군요.잠투정을 하는 경우 크게 세 가지 이유로 나눌 수 있습니다. 1)분리불안 2)불규칙한 수면 패턴 3)어둠에 대한 두려움 등의 이유가 있을 수 있습니다.1) 분리불안엄마가 아이와 같이 잠자리에 들더라도 중간에 아이가 엄마를 많이 찾고 없을 경우 울기도한다면 분리불안이 높아 잠자는 것이 두려울 수 있습니다. 따라서 아이가 잠들기 전에 아이가 부르면 언제든 올 거라고 말씀 해주시는 등 아이가 안심할 수 있는 말을 해주시기 바랍니다.2) 불규칙한 수면패턴더 놀고싶은데 갑작스레 자야하는 경우 아이들은 자기 싫어하고 투정을 부립니다. 따라서 자는 것이 자연스러울 수 있게 일정한 수면패턴을 만들어보세요. 예를 들어, 밥을 먹고 목욕을 하고 놀다가 잠자리에서 책을 읽고 자장가를 틀고 자는 등 일정한 패턴을 만들고 반복해보세요.3) 어둠에 대한 두려움의외로 어둠에 대한 두려움 때문에 잠자리에 들기 싫어하는 아이들이 많습니다. 따라서 가급적이면 자기 전에는 밝고 따뜻한 내용의 책을 보여주시고 조명을 이용해 잠자는 방이 너무 어둡지 않게 해주시기 바랍니다.제 답변이 도움되길 바랍니다.감사합니다.
56
57
58
59
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