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희애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희애 전문가입니다.
이희애 전문가
한양대학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학문
전기·전자
3개월 전 작성 됨
Q.
테이져건 잡는 사람은 왜 전기가 안 통하나요?
안녕하세요. 테이저건은 두 전극 사이의 근육만 자극하는 그런 장비입니다. 전류라는 것이 가장 저항이 낮은 경로로만 주로 흐르기 때문에, 직접적인 경로에 있지 않으면 감전되지 않습니다. 옆에 잡고 있는 사람들은 전기 회로 바깥에 있기 때문에 영향이 거의 없다고 볼 수 있습니다. 피부가 직접적으로 접촉하는 경우에는 환경에 따라 위험할 수 있어, 함부로 따라하시진 마시길 권장드립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3개월 전 작성 됨
Q.
집 안에서 사이클 운동 등을 통해 전기를 축적할 수도 있나요?
안녕하세요.사이클 운동으로 전기를 생산하는 것은 가능합니다. 영화나 예능을 보면 실제로 하는 장면들이 나오죠. 그러나 그 양이 매우 적습니다. 예전에 듣기로는 1시간 열심히 페달을 굴려도 TV도 제대로 보기 힘든 수준이라고 합니다. 그리고 저장하기 위한 장치 구성에도 비용이 많이 들 수 있기 떄문에, 실용성이 많이 떨어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재미로 하거나 또는 교육목적이라면 해볼 만할 것 같습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3개월 전 작성 됨
Q.
전기선은 전기장이나 자기장등이 밖으로 나오지 않나요? 아니면 밖으로 나와서 다른 것들에 영향을 줄수도 있나요?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전기선에는 전류가 흐르면서 자기장이 생성되고, 전압이 있으면 전기장이 주변에 형성이 되게 됩니다. 이러한 장이라는 것은 절연 피복을 뚫고 나오진 않으나, 외부로 영향을 줄 수 있습니다. 특히 고전압 전선이나 또는 고주파 전류의 경우 근처 전자기기에도 간섭을 줄 수 있습니다.이 때문에 전자파 차폐나 쉴딩 처리 같은 것들이 필요한 것입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3개월 전 작성 됨
Q.
지우개는 어떠한 원리로 연필 글씨를 지울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지우개는 말씀 주신 것과 같이 고무와 비슷한 재료입니다. 지우개를 써 보셨으면 아시겠지만, 상당히 마찰이 많이 발생하는 소재입니다. 연필은 흑연을 활용하여 만들어 지는데, 이 흑연은 층상 구조를 가진 재료입니다. 층과 층 사이의 결합은 상당히 약하기 때문에 이 또한 눌러서 쓰면 글씨가 써지게 됩니다. 지우개는 이렇게 쓰여진 흑연을 마찰을 이용해서 떼어내게 되는 그런 원리로 작용합니다.
전기·전자
3개월 전 작성 됨
Q.
인공지능이 대체할 수 없는 직업은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인공지능이 공감과 창의성 유리적 판단과 같은 현재 인간이 아니면 하기 어려운 직업군들에 대해서는 대체하기 어렵다고 평가는 되고 있습니다. 감정을 공유하는 그러한 직업군들이 대표적일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러나 요즘 발전하는 것 보면 그것도 언젠가는 대체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3개월 전 작성 됨
Q.
번개가 발생하는 원리를 아용해서 전기를 생산할 수 없는 건가요?
안녕하세요.번개는 강력한 에너지를 지닙니다. 그러나 이게 순식간에 방전되고 제어가 쉽지 않습니다. 그래서 에너지로 활용하기 힘듭니다. 물론 할려면 할 수도 있겠지만, 그걸 준비하는 것이 에너지를 얻는 효율에 비해 극히 떨어지기 때문에 하지 않는 것입니다.인공 번개를 만들려면 더 많은 에너지를 소모해야 됩니다. 이론적으론 가능하나 현실에선 부적합하다고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3개월 전 작성 됨
Q.
어플의 알림을 끄면 배터리도 적게 소모되나요?
안녕하세요. 알림을 끄면 백그라운드에서 작동하는 앱 활동이 줄어들기 때문에 배터리 소모가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저도 매일 최적화하는 습관을 들이고 있습니다. 이것은 서비스 센터에 갔을 때 수리 기사님께서 그렇게 하라고 하시더군요.특히 잦은 푸쉬 알림은 화면 켜짐, 진동, 데이터 사용을 유발하기 때문에 배터리에 부담이 큽니다. 알림을 꺼두면 이런 요소들이 차단되기 때문에 전력 사용을 줄일 수 있습니다.감사합니다.
전기·전자
3개월 전 작성 됨
Q.
로렌츠 힘이라고 하는것은 어떤것을 말하는건가요?
안녕하세요. 로렌츠 힘이란 것은 전기장과 자기장이 동시에 작용할 때 작용하는데, 움직이는 전하에 가해지는 힘을 말합니다.전하가 전기장 안에 있으면 전기력이, 자기장 안에 있으면 자기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 둘을 합쳐서 로렌츠 힘이라고 부릅니다. 전자기학에서 매우매우매우 중요한 개념입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3개월 전 작성 됨
Q.
Sk하이닉스의 반도체 기술은 얼마나 뛰어난가요?
안녕하세요. SK 하이닉스는 최근에 HBM 분야에서 세계 1위 수준의 기술력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삼성을 추월했다는 기사들이 나오고 있는 것이죠. HBM3E의 경우 세계 최초로 양산하면서 AI 시대 핵심 메모리 공급자로 떠오르고 있습니다.기존의 DRAM이나 NAND에서도 삼성전자에 이은 2위권을 유지하고 있어 상당한 경쟁력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합니다.감사합니다.
재료공학
3개월 전 작성 됨
Q.
자석은 철에 붙는데 나무나 플라스틱에는 붙지 않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자석은 자성을 띠는 물질로 철, 니켈, 코발트처럼 자화가 되기 쉬운 금속에만 붙습니다. 나무나 플라스틱, 유리에는 자성에 거의 반응하지 않는 비자성체로 분류되기 떄문에 영향을 받지 않습니다.이런 물질들은 매부에서 자기장을 따라 배열될 자성 입자가 없거나 아주 미약하기 때문에, 자석에 달라 붙지 않고 그냥 통과 또는 무시해버리는 경우가 되겠습니다.감사합니다.
11
12
13
14
1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