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신라의 경우 삼국통일에대한평가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신라 삼국통일은 우리 민족의 최초의 통일이라는점, 새로운 민족 문화 발달의 기반이 되었다는 점, 고구려 백제 유민과 힘을 합쳐쳐 당나라를 격퇴한 자주적 통일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평가를 할 수 있습니다.반면, 통일 과정에서 외세(당)의 세력을 끌어들였다는 점, 대동강 이남 지역에 한정된 불완전한 통일이라는 점이 신라 삼국통일의 한계로 들 수 있겠습니다.
Q. 15세기 루마니아 공국의 블라드 3세 드러쿨레아에 대해서 알려주세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블라드 3세 드러쿨레아(V1431년 ~ 1476년)는 중세 루마니아 지역, 특히 왈라키아 공국의 군주였던 인물입니다.블라드는 주변 강대국인 오스만 제국과 헝가리 왕국 사이에서 독립을 지키려 애썼는데, 오스만 제국과 싸우면서 극단적인 공포정치를 펼쳤고, 말뚝에 꽂는 처형 방식 등으로 적들을 가혹하게 다뤘다고 합니다.또한 블라드는 적군뿐만 아니라 반란을 일으킨 귀족들, 도둑들, 무슬림 포로들을 매우 잔인하게 처형했는데, 당시 그의 잔혹함은 유럽 전역에 퍼졌고, 공포스러운 전설로 확장되었고, 수백 년 후, 작가 브램 스토커가 1897년에 소설 《드라큘라》를 쓰면서, 블라드 3세를 모델로 해서 현대 흡혈귀 드라큘라 이미지가 만들어졌다고 합니다.
Q. 에스키모인들은 어떻게 또 왜 그렇게 험한 곳에 정착하게 되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에스키모인들이 알래스카에 정착하게 된 배경은 수천 년 전 빙하기 말기의 대이동과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1만 년 전쯤,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갈 무렵에, 오늘날의 시베리아 지역과 북아메리카 대륙 알래스카가 '베링 육교' 라는 육지로 연결돼 있었습니다.그 당시에 시베리아에서 수렵과 채집을 하던 에스키모인들은 새로운 자원을 찾기 위해 이 육교를 건너 아메리카 대륙 북부로 이동하게 됩니다.이후 기후가 따뜻해지고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베링 육교는 사라졌고, 이 사람들은 북극권(알래스카, 캐나다 북부, 그린란드 등)에 남아 살게 됩니다.이들은 극한의 북극 환경에 적응하면서 바다표범, 고래, 물고기 등을 사냥하고 얼음 위 생활에 특화된 독특한 문화(이글루, 카약)를 발전시켰다고 합니다.
Q. 세계 최초의 언어는 어떤 언어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기록되기 전"의 언어, 즉 문자가 생기기 전 사람들은 분명히 말을 하고 있었지만, 그 언어들이 어떤 형태였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습니다. 기록이 없기 때문이죠. 그래서 이 시기의 언어를 "선사 시대 언어" 또는 "선문자 언어"라고 부릅니다.다만, 인간 언어의 기원에 대해서 추정은 가능한데, 학자들은 인간이 약 5만~7만 년 전쯤부터 원시적인 형태의 언어를 사용했을 것이라고 봅니다. 이걸 "프로토-언어"라고 부르는데, 구체적인 발음이나 문법은 전혀 알 수 없습니다.우리가 실제로 '문자로 남아있는' 가장 오래된 언어는 수메르어(Sumerian)인데, 기원전 3100년경 메소포타미아에서 사용된 쐐기문자(Cuneiform)로 기록됐습니다.
Q. 한국 경제가 폭발적으로 성장할 수 있었던 계기?
안녕하세요. 이동광 전문가입니다.한국 경제가 2000년대 초반부터 다시 강하게 성장한 배경은 여러 가지가 있는데, 주요 계기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1. IT 산업의 급성장1997년 외환위기 이후 구조조정을 거치면서 효율성과 경쟁력이 강화됐고, 2000년대 초반에는 IT·정보통신 산업 중심으로 급성장했습니다.특히 삼성전자, LG전자 같은 글로벌 기업들이 세계 시장에서 큰 성공을 거두면서 한국 경제를 견인했습니다.2. 중국 경제 성장 수혜2000년대 초반 중국이 WTO(세계무역기구)에 가입하고 고속 성장하면서 한국은 **중국에 중간재(부품, 소재)**를 수출하는 구조로 큰 혜택을 받았습니다.중국은 한국의 최대 수출시장으로 빠르게 부상했습니다.3. 글로벌화와 자유무역 확대한국은 여러 나라들과 FTA(자유무역협정)를 체결하기 시작하면서 세계 시장 진출이 쉬워졌고,수출 주도형 경제 구조가 더욱 강화됐어요.4. 내수시장 안정과 금융시장 개방외환위기 이후 금융시장이 안정되면서 외국인 투자자금이 유입됐고, 국내 소비도 점차 회복세를 보였어요. 부동산, 주식시장 등이 살아나면서 자산 효과도 생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