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오수진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오수진 전문가입니다.
오수진 전문가
아동복지학과 가정교육교원자격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친구 손 잡는걸 너무 좋아해요. 안잡고 싶어하는 친구도 있는데 계속 잡고 싶어해서 난감할 때가 있어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가 많이 속상해했겠네요 아직 타인의 감정을 이해하기 어려운 개월 수 이므로 그럴 때에는 아기의 슬픈 마음을 공감해주시고 대신 엄마 손을 잡고 걸어볼까? 하며 꼭 친구의 손을 잡지 않고도 즐겁게 갈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알려주시면 더욱 좋을 듯 합니다.
유아교육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책을 잘 보는데 이게 만화에요..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학습만화를 좋아한다면 아이에게 책을 보는 것은 좋지만 학습만화만 보게 될 경우 상상력과 어휘력이 좋아지지 않는단다. 라고 알려주시고 아이가 학습만화를 볼 때 글밥이 있는 동화책도 함께 볼 수 있도록 해주세요 학습만화에서 그림동화로 그림동화에서 삽화가 많고 글씨도 큰 책으로 그 후에는 작은 글씨만으로 된 책 순으로 점차 바꿔갈 수 있도록 도와주세요 학습만화의 비중을 조금씩 줄여주시고 글로만 된 책의 비중을 점차적으로 늘려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양보를 할 줄 모르는 자녀, 어떻게 훈육을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만7세 이상이 되어야 타인의 입장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양보를 강요하기 보다는 타인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게 도와주는 것이 아이의 적절한 양보습관을 형성하게 할 것입니다. 아이는 양보가 뭔지도 모르는데 자신은 그렇게 하고 싶지 않은데 억지로 할 수 밖에 없는 상황에 놓이게 될 수 있습니다. 이럴 때에는 강압적인 양보보다는 상황을 자세히 설명해주시고 더 도움이 되는 것을 고르게 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각각의 선택지가 가져올 수 있는 결과를 이야기 해주시고 어떻게 하는 것이 00이에게 가장 도움이 될까? 라고 생각할 수 있는 시간을 주세요 당장은 손해인 것 같지만 결국 나에게 도움이 된다는 생각을 할 수 있게 가르치는 것이 효과적일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어른들에게 존댓말을 안 쓰고 계속 반말로 이야기하는 아이 어떻게 훈육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야단을 치지 않으셔도 할머니를 보면 인사해야지, 할머니께 존댓말을 써야 해 등 말을 하는 것만으로도 아이에게 일관된 훈육 메세지를 전달할 수 있습니다. 아이에게 제대로된 예절을 가르쳐주기 위해서는 부모님이 다른 사람에게 먼저 인사를 건네고 존댓말을 사용하는 등 모범적인 행동을 계속 보여주신다면 더욱 도움이 되며 아이에게도 먼저 안녕 잘잤니 인사하는 등 예의 범절이 자연스럽게 몸에 배도록 생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바른 예절에 대한 그림책을 읽어주시거나 인형놀이 역할극을 하면서 아이가 할아버지 할머니께 인사하고 존댓말 하는 모습을 연출해 자연스럽게 학습시켜주시는 방법도 도움이 될 것입니다.
양육·훈육
2023년 9월 8일 작성 됨
Q.
부모-자녀 관계에서 부성애 또는 모성애의 중요성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오수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엄마의 사랑은 아이의 성장과 발달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죠. 아기가 태어나면 엄마의 사랑과 보살핌은 아기의 안전과 안정감을 제공하고 정서적 신체적 인지적 발달에 필수적인 요소가 됩니다. 엄마의 사랑은 아기의 안전감을 높이고 이는 아이가 다른 사람들과 교류하며 배우고 성장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또한 정서적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며 엄마가 아이를 다정하게 대하면 아이는 안정적인 정서를 형성하고 스트레스에 더 잘 대처할 수 있게됩니다. 아이의 뇌 발달에도 영향을 미치며 적극적인 뇌 발달을 촉진합니다. 또한 아이의 자아 개발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아기는 엄마의 보살핌과 사랑을 통해 스스로를 사랑하고 자신감을 가지게 되며 이것은 아이가 자신을 받아들이며 성공적인 대인관계를 유지하는데 도움을 줍니다.
381
382
383
384
38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