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사회성이 부족한 아이 어떻게 키워줄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이가 사회성이 떨어진다고 생각되는 것은 수줍음이나 내성적인 성향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무조건 사회성을 길러야 된다는 생각의 접근보다는 아이의 성향에 따른 또래와의 접근을 시도해 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아이가 어떤것을 좋아하고 예를 들어 활동적인지, 정적인지, 이야기를 좋아하는지, 듣기를 좋아하는지, 이런 특성들을 파악하셔서요. 아이의 성향에 맞게 친사회적 활동에 참여할 수있도록 도와주세요. 팀 스포츠라든가 그룹수업, 숲속체험 등등있습니다. 무엇보다 성향에 맞는 또래 친구와 묶어주시는 노력을 해주시면 서서히 좋아지실거에요. 그리고 부모님이 모델링이 되어 주시는것이 큰 효과를 볼 수있습니다. 사람을 대할 때 예의 바르고 존중하는 사회적 행동을 보여주시고요. 아이와 댁에서 함께 하는 시간에는 다양한 상황에 따른 역할놀이를 하는 것도 큰도움이 되실거에요. 아이들은 어른보다 잘 배워요. 사회성을 가지고 친구들과 행복하게 웃기를 응원합니다~!
Q. 아이가 비속어를 사용하는걸 발견했을때 방법은?
안녕하세요. 요즘 아이들은 비속어를 자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간혹 부모님이 모르는 용어까지요. 하지만 이러한 비속어를 사용한다고 단호하고 엄하게 훈계한다면 아이는 부모와 멀어지게 될 가능성이 큽니다. 그러므로 잘 들어보고 아이의 입장에서 부드럽게 접근하여 교정해 주시는 것이 오히려 효과적입니다. 예를들면, 너 그렇게 말하면 하나도 재미없어~ 이렇게 말하면 생각보다 아이가 안하더라고요. 대부분 비속어를 쓸 때, 재미로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거든요. 효과가 있습니다. 한번 시도해보세요. 너 그렇게 말하면 하나도 재미없어~ 그럴때는 이렇게 말하는건 어떨까라며 순화된 어휘를 살짝 던져주시면, 교정되는 현상을 보실겁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