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바닷물의 대류현상은 공기의 대류현상과 어떤점이 차이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공기의 대류현상은 이렇습니다. 첫째, 햇빛에 의해 따뜻하게 데워진 공기가 있으면지구 반대편은 밤이 되어 차갑게 식은 공기가 있습니다. 두번째, 햇빛을 받았을때 지표면은 따뜻해 지지만고도가 높을수록 지표의 영향을 덜 받아서 지표면 가까이 있는 공기만큼따뜻해지지 않습니다.실제로 등산을 하다보면 산 아랫쪽보다 산 윗쪽이 더 추운데요고도가 100m 상승할때마다 온도는 0.5도씩 떨어집니다.해발 4,000m인 산은 해발 0m인 곳 보다 온도가 20도 더 낮다는 얘기입니다.그래서 에베레스트나 킬리만자로, 후지산등은 정상에 항상 눈이 쌓여 있는 것입니다. 세번째, 지구는 땅과 바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땅은 햇빛에 의해 금방 데워지지만 물은 천천히 데워지죠.또 밤이 되어도 지표는 금방 식지만 바다는 천천히 식는답니다. 이러한 것들의 영향으로 지구의 공기는 끊임없이 지역별로또는 전체적으로 대류현상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물의 대류현상도 같은 맥락으로 보시면 됩니다. 남극과 북극지방의 차가운 물과 적도 부근의 따뜻한 물이 있기 때문에차가운 물은 아랫쪽에서 적도방향으로 흘러 들어가고따뜻한 물은 윗쪽에서 극지방쪽으로 흘러 들어간다. 가장 크게 생각해서 공기나 물의 대류현상은온도 차이때문이라 생각하시면 됩니다. 공기나 물은 분자로 이루어져 있습니다.분자는 우리 눈에 보이지 않지만 꾸준히 운동을 하고 서로 부딪히고 있습니다.그러한 분자들이 열을 얻게 되면 활동량이 늘어나고 부피도 더 커지게 됩니다.활동량이 늘어나는 분자들은 위로 올라가고상대적으로 열을 얻지 못해 활동량이 적은 분자들은 아래로 내려오게 됩니다. 그래서 어떠한 공간에 찬 공기나 물, 따뜻한 공기나 물을 함께 넣으면따뜻한 쪽의 열이 차가운 쪽으로 이동하며 평균정도의 온도가 되는데요.그러한 열의 이동이 대류현상에 의해 일어난다고 생각하시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