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Uam? 에어택시?산업이 엄청 발전하고 있는데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항공기 안전성에 관해서는 최근 자료는 아니지만 1990-2000년 기준 영국에서 발간한 자료입니다. 자동차와 항공기를 같은 횟수 탑승 했을때는 사망율이 오히려 항공기가 3배 많지만 같은 시간을 탑승했을때는 자동차에서 약 4배, 같은 거리를 탑승했을때는 자동차가 60배 더 많은 사망자가 발생했음을 알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헬기의 경우 저공을 빠른속도로 날다 보니 오토로테이션으로 글라이딩이 가능하다고 해도 대응할 시간이 고정익 항공기에 비하면 극도로 짧은게 사실이라 일반적인 여객기에 비하면 덜 안전한게 사실입니다. 다만 적절한 정비, 장비, 훈련이 더해지면 차이는 줄일 수 있겠죠. 국내민수용 헬기라면 산림청, 경찰, 소방 제외하면 헬기 임차해서 지방자치단체로 산불감시, 항공방제 계약 맺는 경우가 많고 완전 민간용 에어 택시 개념으로의 운영은 극히 드문 것으로 알고 있네요.
Q. 원자력폐기물 우리나라의 대책은 무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방사성폐기물은 고체, 액체, 기체로 분류되어집니다. 고체는 또 고준위, 중저준위로 분류됩니다. 중저준위는 작업복, 장갑, 필터 등의 잔잔한 고체들이 해당하고 경주에 있는 방폐장에 처분됩니다. 고준위는 대표적으로 사용후핵연료가 있습니다. 고준위방폐장은 현재 없기때문에 발전소 부지내에 임시저장을 하고 있고 특별법 제정 후 부지선정하고 건설할 예정입니다. 액체는 원전에서 사용되는 냉각재에 해당합니다. 액체폐기물처리설비로 보내서 배출관리기준치를 만족시킨 후 해양으로 방류하게 됩니다. 기체는 기체폐기물처리설비에서 활성탄지연법 등을 이용하여 방사능을 감쇠시킨 후 대기로 방출시킵니다. 거의 모든 원전국가들이 이런식으로 처리하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