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철의 종류는 엄청나게 많은데 그종류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그냥 철의 종류를 알려달라고 하시면 굉장히 난해한 질문인데.. ^^우선은 단순히 철의 성분에 탄소량이 차이에 따라 분류하는 방법이 있는데그렇게 분류를 한다면1)철 - 순철은 탄소 0.025%이하2)강 - 탄소 2.1% 이하아공석강 - 탄소량 0.025%~0.77%(저탄소강)공석강 - 탄소량 0.7%(중탄소강)과공석강 - 탄소량 0.77~2.0%(고탄소강)3)주철 - 탄소 2.1% 이상이렇게 탄소량에 따라서 철, 강, 주철 이렇게 분류를 할 수 있습니다.그 외에 탄소량을 제외한 다른 화합물이 첨가됨에 따라.공구강, 기계구조용 탄소강, 구조용 합금강, 내마모강, 스프링강,불수강, 고속도강, 주강 등... 엄청나게 많은 종류가 있습니다.아무래도 님께서 질문한것은 먼저 서술한 철, 강, 주철까지만 아시면 될것 같은데.. 혹시라도 공구강 및 다른 강의 화합물까지
Q. 우리나라의 우주선 개발 속도는 어느정도일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유인우주선을 말씀하시는 거라면 아직 우리나라의 기술로는 부족한 면이 있습니다. 그저 인공위성을 만드는 것과 사람을 태워 보내는 건 얘기 자체가 달라지죠...사람을 태워 보내는 것은 그만큼 정밀한 기술이 필요합니다. 질문에 "중국도 한..." 이라고 말씀하셨는데, 우리가 흔히 중국 제품들에 대해 안 좋다...라고 생각하여 중국이 과학기술력도 뒤떨어질 거라고 일반적으로 인식하고 있지만, 절대 그렇지 않습니다. 중국의 과학 기술력은 대단히 뛰어납니다. 다만, 중국은 생각 자체가 모든 것을 자체 기술로 해결하려 하기 때문에 외부에 잘 안 알려지기도 하고, 기술력이 없는 것처럼 보일 뿐입니다... 그리고, 또 한가지 우리 나라의 우주선 개발에 걸림돌이 되는 것이 미국과의 군사적인 협정때문입니다. 우리나라는 현재 기술력이 충분히 된다고 해도 미국과의 군사적인 협정때문에 대륙간 탄도 미사일과 같은 장거리 미사일을 개발할 수가 없습니다.미사일과 우주선이 무슨 상관이 있을까...하실 수도 있겠지만, 미사일과 관련된 기술은 직접적으로 우주선 발사체 기술과 연관이 됩니다. 대륙간 탄도 미사일의 기술이 그대로 인공위성을 발사하는 발사체 개발에도 적용이 되죠... 조금 다른 이야기로...2차 대전의 패전국 일본도 국제조약에 의해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개발하는 것이 금지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일본은 이미 자체 기술로 인공위성을 쏘아 올리고, 많은 발사체를 개발하고 있죠...이는 단순히 과학적인 의미에서 발사체를 개발하는 것 외에도 일본이 군사적으로 대륙간 탄도 미사일을 만들 수 있는 능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