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안녕하세요 원형석 전문가입니다. 최선을 다해 답변드리니
원형석 전문가
엘엑스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3년 3월 16일 작성 됨
Q.
지구에 있는 엄청난 물은 어디서 나온건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제가 들은 바로 여러가지 설이 있는데 그 중 첫벗째는 운석을 통한 물의 유입이 바로 그중의 하나로 광물중 감람석류는 다른 광물보다 물을 흡수하는 능력이 뛰어나서 태양계가 발생할 때 지구 근처의 성간물질에서 다량의 감람석류의 광물이 다량의 수분을 흡수하여 지구의 물이 생겼다는 것.
2023년 3월 16일 작성 됨
Q.
회전하는 팽이는 왜 쓰러지지 않는 것일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회전하지 않을 때라도 평형을 잘 맞추면 서 있게 할 수 있습니다. 그런데 그 상태에서 조금만 움직여도 넘어져 버리고 말지요. 그런 평형을 불안정 평형이라고 합니다.그런데 팽이를 거꾸로 (넓은 면이 밑으로) 세우면 쓰러지지 않지요. 안정 평형이기 때문입니다.
2023년 3월 16일 작성 됨
Q.
사람의 손가락이 모두 길이가 다른 이유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진화생물학에선 현 인류의 손 모양을 보며 여러가지 답을 내놓습니다. 그중 가장 보편적인 답변은 세개정도로 추릴 수 있는데 첫째, 인간의 손은 4족보행이 아닌 나무를 타기 위해 변형된것이다 입니다. 근거로 다른 유인원과 비교해볼 때 땅을 딛기 위해 필요한 손바닥 패딩이 굉장히 작고 대신 길고, 유연하면서도 강한 손가락이 있어 나무를 붙잡기 유리합니다. 실제로 땅보다 나무에서 시간을 보내는 유인원은 인간과 비슷한 긴 손가락을 가지고 있죠. 손가락의 길이가 다른 이유도 나무 위에서 다양한 움직임을 하는데 유리하기 때문이 아닌가란 주장이 있습니다.둘째는 인간의 손이 도구 사용을 위해 진화되었다란 주장입니다. 유인원과 가장 큰 차이는 엄지손가락인데 근육이 세개나 더 달려 있어 다른 유인원과 비교도 되지 않은 힘과 유연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 때문에 인간은 손으로 매우 정교한 작업을 할 수도 있고 강력한 그립으로 무기를 들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장점이 생존에 크게 유리하였기에 지금과 같은 손 모양으로 다듬어진것이 아닌가란 주장이있습니다. 세번째는 주먹을 쥐기 위해 변형되었단 주장입니다. 가장 원초적인 단계에서 생각해 볼 때 인간이 이족 보행을 하며 스스로를 지키기 위해선 손을 무기로 써야 하는데 이를 위해 단단한 뼈를 감아 철퇴같은 걸 만들어낼 필요가 있었단 시각입니다. 인간처럼 손가락을 구부려 주먹을 만들 수 있는 동물이 없죠.
2023년 3월 16일 작성 됨
Q.
일회용 손난로는 왜 흔들면 따뜻해지는 걸까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손난로는 화학반응이 일어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한다. 어떤 화학물질을 사용하는가에 따라 분말형과 액체형 두 가지로 나눈다.분말형은 철분이 공기 중의 산소와 반응하여 산화(녹스는 현상)될 때 발생하는 열을 이용합니다 철이 자연적으로 산화될 때는 열이 발생하는 것을 느낄 수가 없는데녹스는 과정이 오랜 기간에 걸쳐서 서서히 일어나기 때문이다. 하지만 철분에 활성탄, 소금 등을 섞어주면 산화반응이 빠르게 일어난다. 그래서 분말형은 활성탄과 소금을 철분에 섞어서 산화반응이 빠르게 일어나도록 하여 열을 얻는 것입니다액체형의 성분은 티오황산나트륨 용액인데 흔히 하이포라고도 불리며 식초 냄새가 납니다
2023년 3월 16일 작성 됨
Q.
달은 지구로부터 멀어지고 있다는데 이유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멀어지는것은 사실입니다.그 이유는 밀물 썰물에 있습니다지구 - 달 이렇게 있다면 ( 지구 ) - 달 이런식으로 밀물지역과 썰물 지역이 생기겠지요.그다음이 문젠데월조간격(달이 이동한만큼 만조지역이 바로 따라오지는 못하고 수시간의 간격을 두고 만조가 발생하거나 간조가 발생하는것. 이유는 엄청난 조수가 이동하는데는 그만큼 시간이 걸리기 때문입니다.)이라고달은 3시방향에서 12시 방향으로 이동하였는데 ( ) 지역은 달이 이동한 간격만큼 ()이 위아래로 생기지 못하고 (그림상으로) (/)이 대각선상 1시방향과 7시방향정도로 밖에 이동하지 못해서 생기는 현상인데요. ( 지구 ) > 달 에서 ()는 보기상에서 대각선으로 밀물이 찬 경우이며 >는 달의 인력으로 양쪽을 다 잡아당기는 짝힘입니다. 이 힘에 의해서 /방향으로 밀물일때 달의 짝힘이 차이가 납니다. /의 아래쪽보다 위쪽에서 더 센힘이 작용하는데 지구는지구 - 달 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자전하므로/의 윗부분에서는 지구자전에 방해(마찰)을 받고 /의 아랫부분에서는 힘들 실어주는데 / 윗부분이 아랫부분보다 달에 더 가까우므로 결국 상쇄시키면 /윗부분의 힘이 약간 작용하여 지구자전속도가 조금씩 느려지고 이러한 현상에 따라서 달은 생성초기부터 계속해서 멀어지고 있습니다.오늘날의 개기일식은 앞으로 이대로 계속 진행된다면 더이상 생기지 않을 것이며 금환식만을 볼수 있을것입니다. 그리고 지구의 하루가 더 길어질 것이며 이것을 방지하고자 과학자들은 조차를 줄이기 위해 전세계적인 바다댐 계획을 하기도 했으며 목성이나 토성의 위성을 지구의 달로 만들자!! 라는 계획을 가지기 했으나 현재기술로는 역부족입니다. 달이 멀어지기는 하나 아직까지 걱정할 일은 아니라고 봅니다.
501
502
503
504
5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