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동해안에 갯벌이 없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우선 서해안은 중국의 황하강을 비롯한 중국대륙의 강에서 쓸려내려오는 엄청난 진흙의 가벼운 입자가 서해안으로 몰려와 진흙뻘을 만듭니다.서해안도 해안선에서 보통 2~3킬로 나아가면 모래사장이 나옵니다.대륙붕이라고해서 서해안은 점점 높아 진다고들 하지요!!!서해안 섬의 해안선은 갯벌이라기 보다는 모래로 형성 되어있구요!인천에는 갯벌이 많이 형성되어 있지만 남해안으로 내려 갈 수록 갯벌은 적어 집니다.아까운 갯벌이 매립으로 사라지는 안타까운 현실에 가슴 아픕니다. 태평양이라는 거대한 대양과 접한 동해안은 그 크기에 비해 유입되는 토사의 량이 적을 뿐 아니라 깊은 넓은 바다의 거대한 파도로 해안선에 퇴적이 될 여건이 없는거구요.그러다보니 큰돌이 파도에 수만,수천년,아님 수십년 파도에쓸려 가벼운 모래가되어 샇여서 모래사장을 이루게 된겁니다.동해에서 남해쪽--전라남도 해안으로 가면 모래 보단 좀더 굵은 조약돌로 해안선이 형성된곳도 있습니다육지는 동쪽이 높고 서쪽이 낮다고 하지만바다의 수심(깊이)은 동쪽바다가 깊고 서쪽바다가 얃습니다.즉, 중국대륙의 황하강등의 토사(흙,모래)유입량이 하루에 수만톤씩 되기때문에 갯벌이 생깁니다.좋은답변됬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