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미국 금리가 5.5%던데 왜 이렇게 높은건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과거 코로나 때 양적 완화(돈풀기)로 미국 물가가 급등하면서 인플레이션이 심화되면서, 미국 연준이 금리를 가파르게 인상시켜 현재의 5.5%가 되었는데요.물가를 잡기 위해 가장 좋은 점이 바로 금리 인상이기 때문입니다.현재 미국은 17년 만에 가장 높은 금리를 유지하고 있으며, 국내 금리와는 2% 차이가 나는 상황인데요.한미 금리차가 높아지면 원달러 환율이 높아질 수 있으며, 외국 투자자본이 국내의 시장을 빠져나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현재 환율이 1300 초중반대를 유지하고 있는 것도 이러한 금리차로 기인한 것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 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
Q. 경제지표 발표중 주요하게 볼것은 뭐가 있고 왜 봐야 하는지요
안녕하세요. 유동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다양한 지표가 있지만 개인적으로 생각하는 지표는 CPI라고 생각합니다.CPI란, 소비자물가지수로 미국 연준이 가장 예민하게 생각하는 인플레이션의 척도라고 볼 수 있는데요.소비자물가지수에 따라 미국 연준의 금리 기조가 반영되기 때문입니다.코로나 때 양적 완화(돈풀기)로 인해 물가가 급등하면서, 이 물가를 잡기 위해 미국 연준은 가파르게 금리 인상을 단행하였고 현재는 17년 만에 무려 5.5%의 금리까지 올리게 되었는데요. CPI 지수가 더디게 나와야 금리 인상을 멈출 수 있는 만큼, 중요한 지표라고 생각됩니다.도움 되셨다면 추천부탁드립니다.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