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행동이 느린아이 어떤 문제가 있는 걸까요?
행동이 느린 아이들에게 걱정되는 부분을 살펴보면 인지지능, 발달 또는 성향정도로 구분해 볼 수 있습니다. 일반적인 성향의 문제라면 그래도 다행이지만 인지지능이나 발달이 원인이되어 행동이 느릴 수 있기 때문에 관찰을 통해 어떤 부분이 문제인지 살펴보는 것이 중요하겠습니다.아이는 성장단계에서 여러 발달과정을 겪게 됩니다. 신체적 발달뿐 아니라 두뇌지능발달, 심리발달, 언어발달, 사회성발달까지 다양하지만 이 발달 능력들이 각각 성장하는 것이 아니라 서로 상호작용으로 영향을 주면서 발달하기 때문에 더욱 중요한 것입니다.하지만 그중에서도 가장 원인이되거나 가장 문제가 되는 것이 있기 때문에 그 부분에 도움을 주면서 다른 부분까지 향상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인데요행동이 느린 아이라면 불안이나 두려움, 겁이 많거나 소심한 성격 등을 보이면서 정서상에 어려움이 있는지 살펴봐야 합니다.정서는 운동능력과 밀접한 연관이 있기 때문에 정서적으로 어려움이 있다면 동반적인 문제로 나타날 가능성이 있기 때문입니다.행동이 느린 아이라면 심리발달에도 문제가 있는지 확인해야 합니다 의욕저하나 우울감을 가지고 있을 경우 행동이 느릴 수 있기 때문입니다.성인들에게서도 보이는 심리적 우울감이나 의욕저하는 '만사 귀찮다'라는 생각으로 움직이기 싫어하고 활동하는 것을 멀리하는 것처럼 아이 역시 비슷한 패턴의 운동능력을 보일 수 있기 때문입니다. 행동이 느린 아이가 혹시 산만하지는 않는지 확인할 필요도 있습니다 산만한 아이의 경우 하나에 집중을 오래하지 못하기 때문에 이해하는 능력이 낮고 방향과 상황 전환이 어려워 또래 다른 아이들에 비해 속도가 느릴 수 있습니다.마지막으로 행동이 느린 아이에게 부모의 양육태도는 어떤지 살펴봐야 합니다.강압적 양육을 하는 상황이라면 아동은 위축된 심리를 가지고 제한 된 행동 패턴을 보이기 때문에 스스로 무언가를 할 때 부모의 기준에 맞춰 움직이며 '이게 맞는건가? 또는 해도 되나?, 혼나지 않을까?'라는 생각 때문에 자유로운 표현이 제한되고 행동하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게 됩니다.또한 그와 반대로 평소 아이가 원하면 표현하기도 전에 미리 아이의 요구를 들어주는 부모라면 아이는 자신이 표현하거나 활동할 필요성을 느끼지 못하기 때문에 경험이 적어 행동이 느려질 수 있습니다.아이가 왜 이런 행동을 보이는지 원인을 찾아 해소해주는 것이 가장 중요합니다.가까운 아동발달센타를 통해 도움을 받아보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