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어려운 육아문제 오랜 경험의 전문가가 답해드립니다.

어려운 육아문제 오랜 경험의 전문가가 답해드립니다.

유미선 전문가
동성초등학교
유아교육
유아교육 이미지
Q.  4세 아이 TV 시청 어느정도가 적당한 시간일까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한국의 만3~4세 어린이가 하루에 약 4시간 가량 미디어를 시청한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습니다. 이는 세계보건기구(WHO) 권고 시준의 4배를 초과하는 숫자라고합니다.... 4세 일경우는 한시간 이내가 좋습니다.유아가 텔레비전을 장시간 보고 있으면, 언어 발달과 사회성의 지연을 초래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지적되고 있습니다. TV를 장시간 클릭하고 화면에 집중하기 위해 엄마 아빠와의 커뮤니케이션이 적게 될 경향 때문입니다. 특히 2 세 이하의 어린이는 TV를 장시간 보지 않는 편이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기 때문에 보여주는 것을 가능한 한 피하도록 합시다. 또한 아기의 눈의 기능은 아직 발달 중에 있기 때문에, TV 화면을 장시간 보고 있으면 시력 저하로 이어질 위험이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소변, 대변을 보고 아직 깨끗하게 닦지 못하는데 도와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이가 변을 본후 스스로 닦을수 있도록 지도해주시고 당분간은 가정에 있을때 만이라도부모님께서 마무리로 확인해주셔야 위생상도 좋을거같습니다. 휴지로 닦은후 물티슈로 한번 더 닦을수 있도록 하시는것도 좋을거 같구요 용변후 손을 비누로 깨끗이 닦을것도 자주 말씀해 주세요!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아기가40도의 고열이 날경우에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가 고열이 난다고 실내온도를 낮추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에어컨 바람이.직접적으로 쏘이게 하는것 또한 좋지 않은방법입니다. 실내온도는 적정온도를 유지해 주시고 미지근한 물로 손과 발 겨드랑이 등을 닦아주시고 오한이 없다면 옷을 벚겨주시는것이 좋겠습니다.
양육·훈육
양육·훈육 이미지
Q.  고양이가 아이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까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반려동물과 아이들의 상호작용으로 나타나는 긍정적인 영향① 정서적으로 아동의 심리 발달에 도움미국에서는 환자들의 심리적 불안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치료견(Therapy dogs)’이 활발하게 활동하고 있다. 치료견은 일부 환아들의 통증에 대한 인지를 감소시키고, 수술 후 마취에서 빠르게 회복하도록 돕기도 한다. 치료견 방문 후 입원 아동들의 좌절감, 걱정, 피로, 두려움, 슬픔 등이 감소한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② 발달 장애가 있는 아동의 인지 발달에 도움 반려동물과 함께 있는 것은 미취학 아동의 집중력에 상당한 영향을 끼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으로 큰 인기를 끌고 있는 ‘Reading to Dogs’은 독해력과 문해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강아지에게 책을 읽어주는 프로그램이다. 특히, 해당 프로그램은 난독증이 있는 아이들의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데 효과가 있다는 것으로 나타났다. 개와 함께 함으로써 자신감이 더해지고 불안과 스트레스가 감소할 뿐 아니라, 개는 아무런 편견없이 아이에게 사회적 지지를 제공해준다. 아이가 강아지에게 책을 읽어준다고 생각해 책읽기에 더 열심히 참여하게 되며 이는 곧 독서에 대한 동기부여가 생성되는 것이다. 자폐증을 갖고 있는 사람들을 보조하기 위해 훈련된 ‘자폐아 도우미견(Autism dog)’은 아이의 우발적인 자해로부터 보호하며, 사회적 상호작용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도움을 준다. 아이가 길을 잃고 헤매거나 침대를 벗어나 집을 나가는 상황이 발생하면 부모에게 알려 주기도 하며 가족 기능을 개선하고 자폐 아동의 불안감을 줄여주기도 한다. ③ 애착 관계를 통한 사회 정서적 발달 반려동물과 애착이 잘 형성된 아이들은 공감 능력과 친사회적 성향이 높게 나타나기도 한다. 연구에 따르면 흥미롭게도 반려동물과 지내는 청소년들은 형제자매와의 관계보다 반려동물과의 관계에서 더 큰 만족감을 느끼며 갈등 또한 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은 아이에게 위안, 안정감, 신뢰를 줄 수 있으며 학령기 이후의 아이들은 반려동물을 돌보는 역할을 통해 책임감 또한 배울 수 있다.
기타 육아상담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Q.  100일 아기 옆으로만 자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유미선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아기들의 뼈는 여리기에 한쪽으로만 잔다면 아무래도 두상에 영향을 받기 마련입니다. 짱구베개를 해주시고 아기가 한쪽으로만 자지 않도록 잠자리를 돌려주어 아기가 잘 바라보는쪽으로 향하게 해주시고 머리는 오른쪽 왼쪽 고르게 돌려주는것이 도움이 될수있습니다.
40140240340440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