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유택상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유택상 전문가입니다.
유택상 전문가
서울교통공사 검수팀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2025년 3월 8일 작성 됨
Q.
전자기기에서 고속 신호 처리를 위해서는 어떤 재료를 사용?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고속 신호 처리를 위해서는 주로 전도성이 뛰어나고 유전손실이 적은 저유전율 재료가 사용됩니다. PCB 기판에는 FR-4보다는 고유전율과 낮은 유전손실 값을 가진 Rogers, Teflon 같은 소재가 쓰입니다. 신호 전송 속도를 높이고 손실을 줄이기 위해 구리, 알루미늄 등의 고전도성 금속들이 배선이나 연결부에 사용됩니다. 반도체에서는 실리콘보다 높은 이동도를 제공하는 갈륨 비소(GaAs) 같은 소재가 사용되어 고주파와 고속 신호 처리가 가능하게 됩니다. 각 재료의 고유 특성을 잘 활용하여 전자기기의 성능을 극대화합니다.
2025년 3월 8일 작성 됨
Q.
전력을 계산할때는 어떻게 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전력은 일반적으로 전압(V)과 전류(I)를 곱해서 계산하게 됩니다. 이때 사용하는 공식을 P = VI라고 하며, 이 공식은 직류 회로에서 적용됩니다. 교류 회로에서는 역률(PF)을 고려해야 하므로 P = VI * PF를 사용합니다. 또한, 전력 사용량을 측정하는 전기 계량기는 일정 시간 동안의 전력 소비량을 기록하여 킬로와트시(kWh) 단위로 표현합니다. 일상에서 우리가 전력 사용량이라 부르는 값은 이 전기 계량기의 측정 값입니다.
2025년 3월 8일 작성 됨
Q.
전력망에서 발생하는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 기술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전력망에서 전력 손실을 줄이기 위한 스마트 그리드 기술 중 대표적 기술에는 실시간 모니터링 및 제어 시스템이 있습니다. 이는 전력 사용 데이터를 실시간으로 수집하고 분석하여 효율적인 전력 관리 및 손실 최소화를 가능하게 합니다. 수요 응답 시스템을 통해 전력 수요와 공급을 효율적으로 조절해 피크 부하를 관리하며, 에너지 저장 시스템을 활용하여 잉여 전력을 저장하고 필요 시 사용 함으로써 손실을 줄일 수 있습니다. 또한, 분산형 전력 생성 시스템은 분산된 위치에서 전력을 생산하여 송전 손실을 감소시킵니다. 이러한 통합된 접근 방식이 전력망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2025년 3월 8일 작성 됨
Q.
무인 자동차에서 사용하는 라이다 센서의 전기적 원리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라이다(LiDAR) 센서는 레이저 광을 사용해 물체와의 거리를 측정하는 장치입니다. 기본 원리는 센서에서 발사된 레이저 광이 물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는 방식입니다. 이를 통해 거리를 계산할 수 있습니다. 전기적 구성은 레이저 발사 광원, 반사된 광을 감지하는 수신기, 그리고 신호 처리 회로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수신된 데이터를 통해 3D 환경을 해석하며 자율 주행차량의 주행을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2025년 3월 8일 작성 됨
Q.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이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은 웨어러블 디바이스에서 매우 중요합니다. 웨어러블 기기는 주로 작은 크기와 경량화가 요구되며, 장시간 동안 지속적인 사용이 필요합니다. 에너지 하베스팅 기술을 통해 주변 환경에서 전력을 생성하여 배터리의 수명과 효율성을 증가시킬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충전의 필요성을 줄이고 사용자의 편리성을 높일 수 있습니다. 또한 에너지 자급자족이 가능해져 기기의 운영 시간 연장과 효율적인 에너지 사용이 가능해집니다.
1056
1057
1058
1059
10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