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반도체를 나노보다 더 작게 만드는게 이론적으로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반도체의 크기를 더 작게 만드는 것은 이론적으로 가능하지만, 기술적 한계와 양자역학적 문제 때문에 복잡해집니다. 현재 사용되는 나노미터 공정은 이미 원자 수준에 근접해 있으며, 이를 넘어서게 되면 원자와 전자의 양자 특성이 더욱 두드러지게 나타납니다. 이로 인해 전자가 예측하지 못한 방식으로 이동할 수 있는 터널링 현상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현재의 제조 기술로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지속적인 연구와 새로운 기술 개발이 필요하며, 특히 양자 컴퓨팅과 같은 새로운 패러다임의 접근법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Q. 반도체 칩을 만들때 원판으로 만드는 이유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반도체 칩을 원형태의 웨이퍼로 만드는 이유는 실리콘 잉곳을 제조하는 방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실리콘 잉곳은 주로 실리콘을 녹인 후 결정체 형식으로 성장시키면서 실린더 모양으로 만들어지고, 이를 얇게 잘라낸 것이 웨이퍼입니다. 원형으로 자르면 잉곳의 형상과 일치해 절단 면적이 최소화되고, 이로 인해 재료의 낭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더불어 회로 패턴을 원형 위에 배열할 때 균일한 스트레스 분포와 정밀도가 보장되며, 제조 과정을 자동화하기에도 용이합니다. 정사각형이나 직사각형으로 만들 경우에 비해 공정 효율이 더 높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