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스마트폰 고속 충전기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고속 충전기의 핵심 원리는 일반 충전기에 비해 높은 전압과 전류를 스마트폰에 전달하는 것입니다. 충전 속도는 기본적으로 전달되는 전력의 크기에 따라 결정되니, 이를 위해 고속 충전기는 스마트폰과 통신하여 가능한 최대 전력을 협상합니다. Qualcomm의 Quick Charge 또는 USB Power Delivery와 같은 기술은 이를 실현하는 프로토콜 중 하나입니다. 예를 들어 Quick Charge는 전압을 5V, 9V, 12V로 조절해 더 빠르게 충전할 수 있습니다. 스마트폰과 충전기 모두 이 프로토콜을 지원해야 고속 충전이 가능하다는 점 기억하세요.
Q. 소방수신기내부 소방펌프 무접점단자에 220v기동접점을 인가해도 수신기에 지장이 없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소방수신기의 무접점 단자는 일반적으로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사용되므로, 220V 같은 전압을 직접 인가하면 수신기에 손상이 갈 수 있습니다. 무접점 단자의 역할은 상태 변화 정보만 전달하며, 내부에서 발생하는 신호는 저전압 신호를 활용합니다. 220V를 직접 인가하면 회로 손상이 발생할 수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무접점과 무전압 개념은 다릅니다. 무접점은 전기적으로 연결되지 않은 상태에서 신호를 주고받는 것을 의미하며, 기계적 접점 없이 정보 전달이 가능한 상태입니다. 무전압은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를 뜻합니다. 소방 수신기와 MCCF반 연계 시, 소방펌프 제어는 수신기에서 제공하는 특수 모듈 및 릴레이를 활용하여 안전하게 연계해야 합니다.
Q. 국가별로 전기의 주파수가 다른 이유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나라별 주파수 차이는 전력 시스템 도입 초기, 각국의 기술적 선택과 표준화의 차이에서 기인합니다. 각 나라에서 초기 전력 시스템을 구축할 때, 해당 국가의 기술력, 역사적 배경, 경제적 요인, 그리고 관련 산업의 결정이 서로 달랐습니다. 예를 들어, 유럽의 많은 나라들이 일찍이 선택한 주파수가 50Hz였고, 북미에서는 60Hz를 채택했습니다. 이는 당시의 기술적인 요구사항과 비용 효율성 등에 따라 결정된 것입니다. 초기 선택이 이후 산업 표준으로 자리 잡으면서 그대로 사용되고 있는 것이죠.
Q. 요즘에 역률이 좋은데 콘셉트 꼿아놔도 손실이크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질문자분이 말씀하신 역률은 기기의 전력 효율성을 나타내는 지표입니다. 역률이 99%에 가까울 경우, 기기는 전력을 더 효율적으로 사용한다는 의미입니다. 역률이 좋아지면 무효전력이 줄어들어 손실이 감소합니다. 그러나 대기전력은 주로 기기가 완전히 꺼지지 않았을 때 소비되는 전력으로, 역률과는 다르며 역률이 높아도 대기전력 소비를 완전히 막지는 못합니다. 대기전력이 걱정된다면, 기기를 사용하지 않을 때는 완전히 전원을 차단하는 방법이 가장 효과적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