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직류 와 교류의 차이는 어떻게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입니다.직류(DC)는 전류가 한 방향으로만 흐르는 전류를 의미하며, 교류(AC)는 전류의 방향이 주기적으로 바뀌는 전류를 뜻합니다. 직류의 대표적인 예는 배터리입니다. 배터리는 일정한 방향으로 전류를 공급하기 때문에 직류 전원으로 분류됩니다. 반면 교류의 대표적인 예는 가정에서 사용하는 전기입니다. 가정용 전기는 교류 전원으로, 주기적으로 전류의 방향이 바뀝니다. 교류는 송전 시 효율성이 높아 장거리 전송에 유리하며, 주로 전력 공급망에 사용됩니다. 대부분의 전자기기는 교류를 사용하지만, 전기장비 내부에서는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하기도 합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나 스마트폰 충전기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여 사용합니다.
Q. 배터리중 1차전지와 2차전지의 차이?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1차전지와 2차전지의 차이는 충전 가능 여부에 있습니다. 1차전지는 충전할 수 없는 배터리로, 에너지가 소진되면 폐기해야 합니다. 일반적인 알칼리 전지는 1차전지의 예입니다. 2차전지는 충전이 가능한 배터리로, 여러 번 재사용할 수 있습니다. 리튬이온 배터리, 니켈수소 배터리가 2차전지에 해당합니다. 3차전지라는 개념은 일반적인 배터리 분류에는 없습니다. 현재 주로 1차, 2차전지가 사용됩니다. 배터리 화재 문제는 주로 2차전지와 관련이 있으며, 특히 리튬이온 배터리는 과열이나 손상 시 화재 위험이 있으므로 주의가 필요합니다.
Q. 웨이브솔터링으로 pba납땜시 플럭스에 ipa를 혼합해서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신 웨이브솔더링에서 플럭스는 일반적으로 용해제를 포함하고 있어 IPA(이소프로필 알코올)를 혼합하지 않고 사용합니다. 플럭스 종류에 따라 자체적으로 적절한 용해제를 포함하고 있고, 이는 플럭스의 성능과 관련이 있어 추가적으로 다른 화학 물질을 혼합하지 않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플럭스 도포 방식에 따라 버블 방식과 스프레이 방식이 있으며, 각각의 방식은 공정과 장비에 적합한 선택입니다. 만약 특정 공정에서 네트워크에 따라 별도의 혼합이 필요한 경우,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지침을 따르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 이를 통해 안전하고 최적화된 결과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