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크로키 몇개는 해야한다는 기준이 있으면 좋을거 같아서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크로키와 모작을 하면서 그림 실력을 키우는 데 있어서 최소 기준을 정하는 것은 정말 중요한 부분입니다. 목표를 설정하고 꾸준히 연습할 수 있게 돕는 기준이 필요하죠. 그럼 하루에 몇 개 정도 하는 것이 좋을지에 대해 몇 가지 팁을 드리겠습니다 크로키는 빠르게 형태를 잡고, 비례와 구도를 익히는 훈련이기 때문에 짧은 시간 내에 여러 번 그리는 것이 중요합니다. 기본적으로 하루에 10~20개의 크로키를 목표로 하세요. 처음에는 10개 정도부터 시작하되, 점차적으로 늘려 나가는 것이 좋습니다. 하루에 크로키 10~20개, 모작 1~2개를 기준으로 연습을 하시면 좋습니다. 이 숫자는 개인적인 목표에 맞게 조정할 수 있으며, 중요한 것은 꾸준히 다양한 연습을 하면서 그림에 대한 이해도를 높여가는 것입니다. 처음에는 힘들 수 있지만, 조금씩 익숙해지면서 그만큼 발전할 수 있으니 걱정하지 마시고 꾸준히 연습하세요! 꾸준히 크로키를 하루에 10~20개씩 연습을 하시다보면 좋은 결과가 있을 것이니 참고하도록 하세요.
Q. 입시미술 물감짤자리가 부족한데여.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입시 미술에서 물감 팔레트가 부족한 문제는 정말 중요한 부분이에요. 보통 화방에서 판매되는 팔레트는 많은 칸수를 제공하지만, 사실 그만큼 많은 칸이 필요하지 않거나, 공간이 너무 많이 차지되서 불편할 수 있습니다. 특히 입시 미술에서는 효율적이고 간편하게 사용하는 것이 중요하죠.보통 팔레트에 추가적인 칸을 붙여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예를 들어, 기존의 팔레트에 마스킹 테이프나 스카치 테이프를 이용해 추가 칸을 만들어서 사용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렇게 하면, 여러 물감을 구분해서 사용할 수 있고, 기존 팔레트의 공간을 비효율적으로 사용하지 않게 됩니다. 또한, 이 방법은 세밀하게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작은 칸을 원하는 대로 만들 수 있습니다. 현재 시중에서 세로형 보조 팔레트를 찾기가 어려운 경우가 있지만, 예전에는 세로형 팔레트나 3칸 이하의 팔레트가 일부 있었어요. 그런 제품은 인터넷 쇼핑몰이나 특정 화방에서 판매되기도 하니, 좁은 팔레트를 원하신다면 그런 제품을 찾는 것이 좋습니다. 결국, 입시 미술에서 물감을 다룰 때 중요한 것은 효율적이고 직관적인 방법으로 색을 섞고 사용할 수 있는지입니다. 다양한 방식으로 자신에게 맞는 방법을 선택하셔서 작업 환경을 보다 깔끔하고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을 거예요. 입시미술 물감 짤 자리가 부족할 때는 이러한 방법으로 시도를 해보시면 좋을 거 같아요.
Q. 요즘에 창작그림을 못그리겠어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창작 그림을 그리려 할 때 백지에서 시작하는 것이 너무 막막하고 어려운 느낌이 들 수 있습니다. 모작이나 크로키에서 형태와 명암을 잘 따라 그릴 수 있지만, 창작에선 스스로 아이디어를 떠올리고 그것을 그림으로 표현하는 과정이 더욱 도전적이기 때문에 그런 감정을 느끼는 것이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창작 그림에서 발전하기 위한 몇 가지 팁을 드릴게요! 모작과 크로키에서 배운 기본적인 형태 감각은 이미 잘 습득하셨다면, 창작에서도 그 형태를 잘 활용할 수 있습니다. 백지에서 시작할 때 너무 많은 것에 한 번에 집중하려 하지 말고, 간단한 형태로 시작하세요. 백지에서 창작을 시작하는 것이 어려운 것은 자연스러운 일이지만, 그 과정에서 중요한 것은 반복적인 연습, 자유로운 표현, 자신만의 스타일 개발입니다. 창작에 대한 두려움을 줄이기 위해서는 작은 단계부터 차근차근 실험을 하며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고, 완벽한 그림을 처음부터 그리려고 하지 말고, 아이디어 구상과 실험을 통해 점차적으로 발전시키는 접근이 도움이 될 것입니다. 창작그림을 그리시기 어렵다면 이렇게 하루하루 작은것부터 실천해보시면은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Q. 앤디워홀은 어떤시대 미술가 인가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앤디 워홀(Andy Warhol)은 20세기 중반 현대 미술의 대표적인 인물로, 주로 팝 아트(Pop Art)라는 미술 사조의 중심적인 인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팝 아트는 1950년대 후반과 1960년대에 등장한 미술 사조로, 대중 문화, 광고, 소비 사회 등의 이미지를 미술 작품에 차용하는 특징을 가집니다. 앤디 워홀은 팝 아트라는 미술 사조의 핵심 인물로, 대중문화와 상업적 이미지를 예술에 끌어들여 미술의 경계를 확장한 작가입니다. 1960년대와 1970년대의 사회적 변화와 맞물려, 그는 미술의 상업화와 소비 사회를 탐구하며, 현대 미술에서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습니다. 그러니 앤디워홀은 이러한 특징을 가지고 있는 미술가라고 할 수가 있겠습니다.
Q. 미술사 주제탐구 보고서 질문이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미술사 주제탐구 보고서를 작성할 때 조소(조각)와 관련된 주제로 다룰 수 있는 다양한 흥미로운 주제가 있습니다. 역사적 맥락을 포함시켜 주제를 확장하거나, 특정 시대나 예술 사조에 집중하는 방식으로 접근할 수 있습니다 19세기 근대 조각에서는 자연주의와 상징주의가 등장하며, 인물의 감정과 내면을 표현하려는 시도가 있었습니다. 이 주제는 자연을 사실적으로 묘사하려는 시도와, 상징적인 요소를 결합한 조각의 발전을 탐구할 수 있습니다. 한국 현대 조각에서 나타나는 전통적 요소와 현대적 접근을 비교 분석할 수 있습니다. 한국의 전통적인 조각 기법과 현대적 미학을 결합한 작품들을 다루는 것입니다.김상철, 이승택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한국 현대 조각이 어떻게 전통적 형식과 현대적 개념을 융합했는지 살펴볼 수 있습니다.이러한 주제들은 조소와 관련된 미술사적 탐구에 적합하며, 역사적 맥락에서 중요한 변화를 다루는 데 유익할 것입니다. 이러한 것들로다가 미술사 주제 탐구를 한번 관련지어보시면은 좋을듯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