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1월 22일 작성 됨
Q.
머리 두상은 아기때 두상이 그대로 어른까지 가는거죠?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 두상은 아기 때 만들기도 합니다 그래서 얌전하게 있는 아이 보다 울거나 보채는 아이의 두상이 이쁘기도 합니다 왜냐 하면 보채고 우니깐 자주 안아 주다 보니 머리가 눌릴 경우가 적어 그렇다고 합니다 한쪽으로 오래 누워 있다 보면 뒤통수가 절벽이 되곤 하지요
양육·훈육
2024년 11월 22일 작성 됨
Q.
사춘기 증상일까요? 치료(?)가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사춘기 보다는 정서적으로 매우 불안해 하고 있는 것 같아요 평소에 불편한 것이 있거나 고민이 있는 것 같기도 합니다 사춘기의 아이들은 조용하게 자기 방에서 들어가 나오지 않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특징 입니다 말이 없기도 하지요 하지만 손톱을 물어 뜯거나 발톱을 물어 뜯지는 않습니다 남자 아이들의 사춘기는 중학생이 되어 오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아이의 고민이 무엇인지 아이의 말을 끝까지 들어 보세요 중간에서 말을 막지 말고 끝까지 공감 하면서 들어 보면 아이의 고민이 무엇인지 알 수 있을 것같아요 자신이 없다면 전문적인 심리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됩니다
놀이
2024년 11월 22일 작성 됨
Q.
영유아시기에는 놀이를 많이 해주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두뇌 발달도 중요 하지만 신체적인 발달도 매우 중요 합니다 영상을 많이 보게 되면 아이들의 정서적인문제가 생기곤 합니다. 영상에 중독 된 아이들은 일상 생활이 매우 어렵게 되는 경우가 발생 하기도 합니다 아이들은 몸으로 놀아 주는 것을 가장 좋아 합니다 놀이터에서 아이들과 모래 놀이도 하고 놀이 기구도 함께 타면서 뛰어 다니면서 놀이를 하는 것을 가장 좋아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22일 작성 됨
Q.
현자다자녀정책의 실질적인문제와 대처는 무엇일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실제 많은 아이를 키우다 보면 비용이 가장 문제로 다가 옵니다 비용도 학원비가 당장 많이 힘이 드는 부분이기도 합니다 그렇다고 학원을 안 다닐 수도 없고 참 힘이 듭니다 이런 사교육비가 부모님들의 노후 준비에 부담을 주어 노인 빈곤이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유럽 선진국의 경우 사교육비와 대학교 학비가 없어 아이들 양육비만 부담 하다 보니 부모님들의 노후 준비가 아주 잘 되어 있고 풍요로운 노후를 살고 있다고 합니다 실제 꼭 필요한 경우가 아니면 학원을 다니지 않는 다고 합니다 이런 사회적 분위기를 만드는 것이 가장 중요 하다고 생각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1월 22일 작성 됨
Q.
자전거 탈때도 무조건 헬맷 써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단속을 안 해서 그렇지 벌금 내야 됩니다 특히 자전거 탈 때에는 무조건 적으로 자신의 안전을 위해 안전모를 착용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 일수록 어릴적 부터 헬맷 착용을 습관화 해 주는 것이 아이를 위해서도 무척 좋습니다 자전거 사고 시 머리를 가장 많이 다치게 됩니다 꼭 착용 하는 것이 좋아요
놀이
2024년 11월 22일 작성 됨
Q.
아기가 전자 장난감을 갖고놀면 안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기들은 청각과 후각이 매우 예민하기 반응 하기 때문에 소리 나는 장난감에 반응을 많이 합니다 소리를 통해 세상과 소통을 하고 두뇌 발달도 시킵니다 아기 장난감들은 인체에 무해한 재질로 만들어 지기 때문에 걱정 하지 않아도 됩니다 움직이는 장난감은 부상이 있기 때문에 누르면 소리나 음악이 나오는 정도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1월 22일 작성 됨
Q.
너무 과격하게 노는 아이 어떤 훈계를 해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태어날 때 부터 강한 성격을 가지고 태어 날수 있어요 타고난 기질이라고 설명 할 수 있어요 정서적인 발달 보다 육체적인 발달이 더 크게 발달 되었다고 할수 있어요 에너지는 많은데 다 발산 하지 못하니 이런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에너지가 많은 아이들은 운동을 시키기도 합니다 친구를 다치게 한 것은 매우 잘 못된 행동이기 때문에 아이에게 잘못을 이야기 하는 것은 당연 합니다 하지만 아이의 말도 잘 들어 주는 것이 중요 합니다 참을성이 부족 하기 때문에 아이 입장에서는 조금 억울 할 수 있기 때문이죠
양육·훈육
2024년 11월 22일 작성 됨
Q.
이모,삼촌말은 잘듣지만 부모말은 안듣는 아이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의 마음은 갈대 와 같죠 아이들이 하고 싶은 거 관심 있는 것을 호응 해준다면 아이들은 좋아 할 수 밖에 없습니다 맛있는 것들을 싸주거나 좋은 장난감을 구매해주거나 하면 아이들로 부터 호응을 얻을 수 있죠 하지만 부모님들은 매일 해 줄수가 없으니 가끔 보더라도 아이들이 좋을 하는 것 들을 해준다면 아이들이 좋아 할수 밖에 없죠 하지만 이모 삼촌이라도 아이들에게 장난을 치거나 괴롭힌다면 아이들이 당연히 싫어 하겠죠
유아교육
2024년 11월 15일 작성 됨
Q.
아이의 영재성은 어떻게 파악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보통 아이들은 하나를 알려 주면 겨울 하나를 알 수 있는 수준이지만 영재성을 가진 아이들은 응용을 합니다 누가 봐도 다르다는 느낌을 받게 됩니다 한 문장 두 문장 겨우 하는데 비해 영재성을 가진 아이들은 연설을 할 수 있는 수준이 됩니다 어른이 이야기 하는 것과 비슷하다고 보여 집니다
유아교육
2024년 11월 15일 작성 됨
Q.
언어발달이 늦은 아이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언어 발달은 많이 말하게 하고 많이 듣는 것 만큼 효과적인 방법은 없는 것 같아요 많이 사용 할수록 많이 늘기 때문이죠 일정 나이가 되어도 잘 말하지 못하면 언어 치료를 받는 것이 더 효과 적일수 있어요
96
97
98
99
10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