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아이가 음식을 직접 만들어보고 싶어 할 때, 어떤 요리 활동을 시도해볼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과 함께 음식을 만들어 보면 아이들과 많은 대화도 할수 있고 아이들의 오감에 대한 교육도 가능해서 아주 좋은 교육법 이라 할수 있습니다 엄마들의 손이 많이 가는 요리 보다 아이가 만지고 냄새 맡을 수 있는 요리가 좋을 것 같아요 반죽도 함께 하고 모양도 함께 만들 수 있는 만두도 좋고 다양한 식 재료를 넣어 만들 수 있는 피자 요리도 괜찮은 것 같아요 국물 요리는 아이들이 많이 참여 할 수 없고 화상에 위험도 있으니 국물 요리는 하지 않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자기존중감이 탄탄한 아이로 자라나려면 부모들이 어떤 노력이 필요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선천적으로 자신의 일을 잘 하는 성격으로 태어나면 아주 좋겠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후천적으로 많은 교육이 필요 합니다 맞습니다 자신감이 높은 아이들은 자존감도 높은 경우가 많고 자신을 일을 척척 잘해 내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모습을 보고 많이 배우게 됩니다 항상 부지런하고 약속 시간을 잘 지키며 매사에 일 처리를 잘하는 부모님이 있다면 아이들은 보고 많은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약속 시간에 딱 맞추어 행동하다가 늦게 도착하는 하는 모습을 본 아이들은 이런 모습을 보고 배워 매사에 미리 움직이지 않고 시간을 타이트 하게 사용 하다가 늦게 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아이들에게 책임감의 중요성과 스스로 하는 학습에 대해 중요성을 이야기 해도 정작 부모님이 잘 지키지 못한다면 아이들도 부모님의 말씀을 잘 듣지 않게 될수 있습니다 먼저 부모님이 행동을 잘하고 아이들에게 이야기 한다면 아이들은 부모님의 말에 대해 설득이 되고 아이들도 잘 행동 하려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이런 교육 행동들은 아이들이 자신감을 보이게 되고 자존감도 높아 지게 되는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8일 작성 됨
Q.
정신 산만한 모습의 아이가 차분해지는데 도움되는 활동들은 뭐가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기본적으로 산만한 성격은 타고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타고난 성격이라면 후천적으로 아이가 차분해지고 집중을 잘 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부모님의 몫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우선 아이가 집중을 잘 할수 있도록 부모님의 지나친 참견은 아이가 집중 할 수 있는 것에 대해 방해를 할 수 있음으로 유의 하셔야 합니다 부모님의 일괄 적인 교육 방법이 필요 한데 좋은 것을 아이에게 해주고 싶은 마음은 이해가 가지만 이렇게 했다가 저랬다 했다가 왔다 갔다 하는 교육 방식 때문에 아이들이 더욱 산만해 지는 모습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한 방향으로 아이를 교육하는 것이 좋으며 아이가 잘하는 것에 대해서는 칭찬을 아끼지 말고 많이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그래서 아이가 더욱 집중하게 만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성장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는 운동이나 활동들은 어떤것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운동도 중요 하지만 필요한 영향 섭취를 잘 해야 합니다 그 다음은 운동 입니다 유산소 운동이 성장에 도움이 됩니다 격한 운동 보다 줄넘기 같은 운동이 부상의 위험도 작고 공간과 장소에 많은 영향을 주지 않고 쉽고 편하게 할 수 있는 운동 입니다 운동이 끝난 후 항상 스트레칭을 해서 근육을 풀어 주는 마무리 운동을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다른 아이에게 상처를 주는 행동을 할 때, 이를 어떻게 효과적으로 교정해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보통은 친구와의 관계가 좋지 못하거나 다툼이 있는 경우 아이는 집에 와서 평소와는 다르게 말이 없거나 합니다 아이와 대화를 시도 해야 합니다 처음에는 잘 말을 하지 않습니다 아이의 기분도 좋지 않고 하고 싶지도 않기 때문이죠 평소에 대화가 많았다면 아이가 잘 말 할수 있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가 대부분이다 보니 조금 기다려 줘야 합니다 강압적인 부모의 태도는 아이들이 더욱 말을 하지 않고 거짓말을 하게 만듭니다 부드럽게 아이에게 다가가서 아이의 고민을 들어 주세요 평가 하지 말고 아이의 편을 들어 주면서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 줘야 합니다 중간에 아이의 말을 끊지 말아 주세요 대화가 중단 됩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면 아이의 마음도 풀리게 됩니다 그럼 아이가 친구에게 사과를 하라고 하거나 상처를 주는 행동은 올바른 행동이 아니라는 부모님의 말을 받아 들일 수 있게 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가정에서 부모의 말을 듣지 않고 반항할 때,이를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도 자라면서 자기의 생각이나 주관이 생기기 때문에 항상 부모님의 말씀이 옳다고 생각 하지는 않습니다 일부의 부모님은 항상 자신이 말이 옳고 바르다고 생각 하는 부모님도 있습니다 우선 아이에게 나의 말에 대한 인정을 받고 잘 따라 오기를 바란다면 아이의 이야기에 대해서도 잘 공감 하고 이해 하는 모습을 보여 줘야 합니다 아이가 인정하지 못하면 부모님의 말씀이 맞다고 생각 하지 않기에 당연하게 말대꾸로 돌아 옵니다 부모님의 말이 논리적이고 아이가 생각 해도 맞는 말이라고 생각 하게 되면 아이들은 잘 따라 옵니다 선생님의 말씀은 잘 듣는데 부모님의 말씀은 잘 듣지 않는 경우가 있죠 왜? 그럴까요 선생님의 말씀은 들어 보면 앞뒤가 맞는 말이지만 부모님의 경우 그렇지 못한 경우가 있기 때문이죠 아이에게 훈육 할 때는 즉흥적으로 하기보다 준비를 해서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낯선 환경을 싫어하고 겁내해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내성적인 아이들은 낯선 환경에 대한 부담이 있고 두려워 하는 마음이나 무서운 마음이 생기기도 합니다 외출이 많지 않고 낯선 곳에 대한 장소 노출이 없는 아이인 경우 더 심한 모습을 보이기도 합니다 엄마가 외출을 좋아 하지 않고 집에 많이 계시는 분의 경우 자녀도 같은 생활을 하기 때문에 더욱 그렇다고 볼 수 있습니다 낯선 곳을 많이 보여 주고 낯선 사람에 대해 노출이 많아지고 위험하지 않고 안전 하다고 이야기 하면 아이도 좋아 집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38개월 주말에 티비를 보여주는데 한시간씩 총 3시간을 보여주는 것 같아요.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사용 시간이 정해진 것은 없습니다 하지만 노출이 많은 건 아이들의 정서 발달에 좋은 영향을 주는 건 아닙니다하지만 적당하지 못하는 사용 시간은 아이의 욕구가 넘게 되면 나중에 숨어서 사용 하게 되는 부작용도 생기게 됩니다 아이가 영상이나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는 시간들은 부모님이 잘 놀아 주셔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도 영상이나 스마트폰 보지 않는 스트레스가 없어 지기 때문이죠
놀이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TV와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의존할 때 어떻게 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영상이나 스마트폰에 지나치게 의존하고 사용하게 되면 중독이라는 무서운 문제가 생깁니다 일상 생활이 되지 않고 일상 생활을 하라고 이야기 하면 짜증을 내거나 폭력적인 모습을 보이게 됩니다 우선 아이와 잘 상의 해서 사용 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고 사용 시간을 잘 지키도록 해야 합니다 사용 시간 외에는 아이가 영상 시청이나 스마트폰이 생각 나지 않도록 가벼운 운동을 하거나 산책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보다 놀다 와라 하면 아이가 잘 하지 않으니 부모님이 직적 아이를 데리고 나가 아이와 시간을 보내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매일 엇비슷한 시간에 아기 낮잠을 자게하면 아이 성장에 도움이 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기들은 하루 16시간에서 18시간의 수면이 필요 합니다 대부분 먹고 트림하고 목욕하고 배변하고 기저귀 갈고 나면 대부분 잠을 잠다고 생각 하시면 됩니다 일정한 주기로 아기를 재운 다는 건 의미가 없는 행동이라고 보여 집니다 일정한 시간에 아기를 재우기 보다 하루 수면 시간을 다 잘 수 있도록 주위 환경을 조성 해주는 것이 바람직 합니다
126
127
128
129
1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