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아기가 자기주장이 강해져서 가족과의 의사소통에서 갈등이 생길 때, 어떻게 해결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독립심이 강한 아이들은 혼자 해결하고 생각 하게 됩니다 평상시 아이와 많은 대화를 하셔야 하고 소통이나 공감이 되어야 합니다 부모님의 입장에서는 잘못 되었다고 생각 해도 아이 입장에서는 이해가 가지 않는 경우가 있어요 아이의 말을 잘 들어 주는 것이 중요 하고 아이가 이해가 가도록 설득 하는 것이 중요 합니다 독립심이 강한 아이들은 논리적으로 설득 하지 못하면 부모님과 갈등이 생길수 있어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6학년 아이의 친구간 돈 거래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과 소통이 부족해 보입니다 6천원 짜리 사진을 6만원에 달라고 하는 것 사기와 같습니다 평소 부모님이 아이에게 무섭게 대하거나 하면 아이들은 어려운 일이 생기면 혼나는 것을 두려워해 말도 안되는 행동을 하게 됩니다 이 정도 수준이면 담임 선생님과 상의를 하시고 6만원 달라고 한 친구 부모님과 통화 하셔서 문제를 해결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담임 선생님이 중재를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들이 마음에 상처를 받지 않도록 잘 타일러 어려운 일은 부모님에게 상의 하라고 하는 것이 좋아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아기가 첫돌을 지나며 스스로 앉거나 일어날때, 어떤 안전 조치를 취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기들은 기어 다닐 때 매우 조심 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경험이 모자라 입에 들어 갈수 있는 건 일단 입에 넣고 보는 경우가 있어 주위에 위험한 것들을 치우는 것이 좋습니다 잠시 집안 일을 볼 때에는 보행기에 태우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유치원생 아이가 나쁜 말을 배워와서 자꾸 사용한다면, 어떻게 고쳐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대부분 학교나 유치원 어린이집에서 소수의 아이들이 욕을 사용 해서 뜻도 모르면서 그냥 따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아이가 욕을 사용하게 되면 친구에게 큰 상처를 줄수 있다고 교육하고 가정에서 항상 거친말을 배우지 않도록 주의 하시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1일 작성 됨
Q.
경쟁이 일상이 되어버린 형제 관계는 어떻게 바로 잡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형제나 남매 자매는 서로 태어나면서 경쟁 관계에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부모님의 사랑과 관심을 나누어야 하기 때문에 본인이 아닌 다른 형제가 부모님으로 부터 사랑과 관심을 본인 보다 더 받는 다 생각 되면 질투를 하고 미워 하기도 합니다 매사에 공평하게 아이들을 대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아이가 불안감을 느낄 때 이를 완화시키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불안감을 호소 한다면 불안감을 해결 해주면 됩니다 아이가 걱정 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 보는 것이 중요 합니다 부모님의 의견을 이야기 하지 말고 아이의 말을 잘 끝까지 들어주세요 그리고 아이가 하고 싶은 것이 무엇인지 물어보고 아이가 원하는 데로 해주세요 그럼 불안감이 사라 집니다 부모가 이렇게 하는 것이 좋겠다고 설득한다면 아이는 또 불안해 합니다 본인이 결정 해야 불안감이 없어 집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아이가 너무 자신감을 잃지 않도록 하는 방법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타고난 성격이고 타고난 아이의 본성 입니다 아이마다 다 같은 성격으로 살수는 없습니다 말이 많은 아이도 있고 말이 없는 아이도 있습니다 있는 그대로 아이를 이해하고 바라보면 좋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아이가 지나치게 완벽주의적이라면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가정에서 아이에 대한 기대감이 높거나 잘못하면 혼이 나는 경우 기대감과 혼이 나지 않기 위해 완벽하게 하려는 습관이 생긴 것 같아요 아이가 걱정이 되면 이제라도 아이의 짐을 덜어 주고 편안하게 해도 괜찮고 실패해도 괜찮으니깐 편하게 하면 좋겠다고 이야기 해주세요 처음이 어렵지 한번 편하게 하고 나면 그다음 부터는 일반적으로 할 수 있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자녀가 책임감을 기를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작은 집안일이라도 아이가 할수 있는 일을 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일을 잘 수행 했다면 작은 보상이라도 준다면 아이는 성취감과 만족감이 생길수 있어요 처음에는 보상을 받기 위해 책임감 있게 일을 하지만 나중에는 습관이 되어 어떤 일도 책임감을 가지고 할수 있어요
유아교육
2024년 10월 18일 작성 됨
Q.
아이가 실패를 두려워할 때 이를 극복하도록 도와주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이미 아이의 마음은 실패하는 것에 대한 두려움이 있기 때문에 한번 괜찮다고 이야기 한다고 해결 되지는 않습니다 평소 아이와 공감이 없고 소통이 되지 않기 때문에 생기는 현상이라고 보여 집니다 정말 아이가 생각하는 것이 무엇인지 아이의 말을 잘 들어 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마음이 통하고 소통이 된다면 아이도 속 마음을 이야기 해줄수 있어요 오랜 시간이 걸리는 일 입니다 인내심을 가지고 아이와 대화해 보세요
146
147
148
149
15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