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저학년, 체험 학습 많이 사용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저학년의 체험 학습은 학교 마다 다르지만 1년에 몇번 견학가는 수준 입니다 가족 여행 하고 학교의 체험 견학은 많이 다릅니다 가족 여행은 가족들과 유대감을 만들어 가고 추억을 만들기 위해 가는 것 입니다 경제적 여유가 된다면 아이들의 현장 체험을 많이 해주는 것이 아이가 학교 생활을 잘 할 수 있게 해줄 수 있고 아이들 앞에서 자신감이나 자존감을 올릴 수 있어요
놀이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갑자기 이유없이 우는 아이는 어떻게 달래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평소 잘 놀고 잘 지내다고 갑자기 운다면 불안점이나 불편한 일이 아이 주변에서 일어 나고 있을 수 있어요 아이에게 갑자기 울음이 왜 났어? 라고 물어 보고 아이의 심리 상태에 대해 잘 알아야 합니다 아이가 불편한 점을 잘 해결 해주면 생활을 잘 할수 있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수업 중에 집중을 하지 못하고 다른 곳을 쳐다본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마다 타고난 기질이나 성격이 다르기 때문에 수업에 대해 재미를 못 느끼게 되면 수업에 집중을 못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아니면 요즘 아이가 불편하거나 불안한 점이 있어 아이가 생각이 많아져 수업 시간에 불안한 생각을 하게 되는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에게 요즘 불편한 점이나 불안한 것들이 있는지 물어보고 해결 해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아이의 자신감을 높여주기 위한 칭찬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의 자신감은 아이가 관심 있어 하고 호기심이 많고 잘 할수 있는 것을 시키면 아이의 자신감은 올라 갈수 있어요 칭찬이라는 것이 잘한다거나 멋지다는 표현을 하는 것이 맞습니다 하지만 아무 감정 없이 칭찬을 한다는 느낌을 받게 되면 아이의 입장에서 가식적이라는 생각이 들수 밖에 없습니다 아이에게 칭찬을 할 때에는 정말로 잘한다는 마음을 가지고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놀이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와 놀이를 할 때 혼자 놀고 싶어하는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모든 아이들이 행복하게 잘 어울리고 친하게 잘 지내면 가장 좋지만 아이마다 타고난 기질이나 성격이 있어 현실적 으로 어렵습니다 유치원 아이라면 성격이 비슷하거나 생각이 비슷한 아이들 끼리 무리를 만들어 놀기도 합니다 엄마들도 생각이 맞는 엄마끼리 친하게 지내다 보니 아이들도 비슷한 경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아이가 내성적인 성격을 많이 가지고 있다면 다른 아이들 하고 놀이를 하는 것 보다 혼자 노는 것이 편하고 좋을 수 있습니다 내성적인 성격의 경우 다른 친구들에게 쉽게 다가서지 못하기 때문에 친구를 만들기가 쉽지는 않습니다 아이와 성격이나 취향이 비슷한 친구를 찾아 놀게 해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아이가 따돌림 당하지 않으려면 어떻게 해야되죠?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일반적으로 따돌림은 또래 아이와 다른 생각을 하거나 행동을 하게 된다면 아이들로 부터 외면 받으면서 따돌림이 시작 되곤 합니다 내성적인 아이인 경우 아이들과 잘 못 어울리다 보니 따돌림의 타깃이 되기도 합니다 아이마다 사물을 바라보는 생각이 다를 수 있는데 일반적인 아이들은 다름을 이해 하지 못해 저 아이는 생각 하는 것이 이상 하다고 해서 아이를 따돌리는 경향이 있어요 친구들의 말에 대해 공감하거나 이해하고 배려 할수 있는 마음을 교육 시켜 주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자녀가 읽은 책에 대한 감상문을 작성하게 한다면 어떤 질문이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책을 읽는 것을 좋아 하는 아이라면 책을 읽고 난 후 책에 대한 느낀점이나 감상문을 쓰는 것은 매우 좋은 방법이긴 하나 일반적으로 감상문을 쓰는 것은 아이들에게 부담으로 다가올 수 있다 생각 합니다 전자라면 책을 읽고 토론 하고 아이의 생각을 말하게 한다면 학문은 더 깊이 이해하고 공부 할수 있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자녀에게 다양한 책을 추천하기 위해 어떤 시스템을 만들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책읽기는 여러 장르 골고루 책을 읽은 것은 좋은 습관 입니다 하지만 어린 나이에 자녀들은 책읽는 것이 부담으로 작용 되어 서는 안 됩니다 아이가 관심 있어 하고 좋아하는 책을 읽도록 하는 것이 좋은 것 같아요 매달 새로운 책을 소개 한다는 것도 결국 부모님의 눈높이 이기 때문에 아이의 책에 대한 주관적인 생각 보다 부모님이 좋아 하고 관심 있어 하는 책을 읽을 수 있기 때문에 아이가 관심 있어 하는 책을 읽는 것이 좋다고 생각 합니다 아이가 엄마 요즘 읽을 만한 책이 있냐고 물어 본다면 추천 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 일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아기가 또래와 상호작용을 언제 시작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기가 외부 사람과 접촉이나 많이 못 보았다는 낯선 사람에 대한 두려움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호 작용은 사람과 사람의 관계를 뜻하는 것으로 엄마와 아기가 생활하는 그 자체로 상호 작용 이라고 할수 있습니다 아기가 웃음을 보여 줬다면 그래 우리 아기가 무슨 좋은 일이 있을 까 하면 아이의 행동에 대해 작용을 하는 것이라 할수 있어요 아이와 소통이 되고 상대방 친구에 대해 인지를 한다면 상호작용이 시작 된다고 보시면 됩니다
유아교육
2024년 9월 27일 작성 됨
Q.
자녀가 책에서 배운 내용을 실제 상황에 어떻게 연결지을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이론을 통해서 자연에 대해 토론하고 공부 하였다면 현장에 가서 토론하고 공부 한 것에 대해 확인하고 내용을 익힌다면 더 오랫동안 기억에 남을 수 있고 성인이 되어도 자연을 생각 하며 자연 보호을 잘 할수 있을 것 같아요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