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아이가 수업시간에 아프다고 집에 온다고 하네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부모님 중 시간을 낼 수 있다면 아이와 병원에 한 번 가보는 것도 괜찮을 것 같아요 아이가 피곤하고 학교에 있기 싫어서 일수도 있으나 정말 다리가 아파서 일수도 있기 때문에 병원에 가서 괜찮다고 하면 아이도 심리적으로 안정감을 찾을 수 있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자기조절 능력이 부족한 아이에게 어떤 방식이 효과적일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은 아직 자기 조절이 성인 처럼 잘 하지는 못 합니다 참을성이 떨어 지는 것이 어떻게 보면 당연하다 할 수 있습니다 그래서 부모님들은 규칙을 정해 아이가 잘 조절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규칙을 잘 지키고 할 때는 적절한 보상을 통해 아이가 더 잘 규칙을 지키게 하는 것도 아이가 자기 조절을 키우는 방법이라 할 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주의력이 짧고 쉽게 산만해지는 아이의 행동 교정 전략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좋아하지 않은 걸 하다보면 주의력이 떨어지고 재미가 없어 산만해지는 경우도 있습니다 이런 경우가 아니라면 자존감이 낮고 자신감이 떨어지는 경우 주위의 눈치를 보거나 자신의 행동에 대해 자신감이 떨어져 소심하게 되어 주의가 산만해 질 수 있어요아이가 잘하는 것을 하게 해서 자신감을 올려 주고 자신감 있게 행동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놀이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유아가 특정 상황에서 불안을 느끼며 회피 행동을 보일 때, 이를 어떻게 지도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어떤 행동을 불안해 하거나 불편해 하는 것은 아이가 좋지 못한 기억이 있어 상황을 피하려는 경우가 많이 있습니다 낯선 사람에 대해 불안해 하거나 하는 행동을 보이는 경우도 있습니다 보통은 위험하지 않다고 믿을 수 있는 부모님이 말해주고 상황을 많이 노출 시켜 주는 것으로 좋아 지는 경우도 많이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공격적인 행동을 보이는 유아에게 효과적인 행동 교정 방법은 어떤 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공격적인 아이인 경우 일관성 없는 양육 태도가 문제가 되기도 합니다 부모님의 과잉 보호로 인해 아이가 하고 싶은 일을 방해를 하게 되면 공격적인 성향을 보이기도 합니다 주위의 환경도 무척이나 중요 한데요 부모님을 포함해 주위의 환경이 폭력적인 요인이 있다면 아이가 쉽게 폭력을 쓰기도 합니다 우선 아이의 욕구 불만을 대화를 통해 하루 생활을 이야기 해보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먼저 마음에 들었던 일과 그렇지 못했던 일들을 이야기 하고 그때 기분에 대해 아이와 이야기 해 보는 것도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유아가 떼를 쓸 때 적절한 대응 방법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들이 떼를 쓰는 이유는 원하는 걸 보다 쉽게 얻기 위해 말을 하지 않고 소리를 지르거나 울거나 합니다 꽤 효과가 좋기 때문에 떼를 쓸 때에는 말을 하지 않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떼를 멈추기 위해서는 아이가 울거나 소리를 지를 때에는 아이에게 너가 말을 해야 엄마 아빠가 도와 줄 수가 있다고 이야기 하고 울음이나 소리를 멈추고 말을 하도록 하여야 합니다 처음에는 잘 포기를 안하고 원하는 걸 들어주지 않으면 뒤로 넘어 가거나 합니다 이때 아이가 다치지 않게 주의 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울지 않고 말하게 되면 아이의 떼쓰기 멈춤이 좋아 집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잔소리가 아이들 양육에 도움이 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잔소리 보다 훈육을 해야 합니다 잔소리는 그냥 보이는 데로 혼을 내는 것이라 생각 하시면 됩니다 훈육은 아이가 어떤 행동을 했을 때 아이의 이야기를 들어 보고 아이에 말에 동감이나 이해를 해주면서 아이의 잘못된 행동을 말하는 것 입니다 더 좋은 상태는 아이가 말하면서 아이 본인이 이런 건 내가 잘못 했어 라고 스스로 말하게 되면 훨씬 빨리 잘못된 행동을 고칠 수 있어요 잔소리는 부모님이 흥분한 상태나 짜증이 많이 섞인 상태에서 말하기 때문에 효과는 없다고 보시면 됩니다 아이 입장에서 듣기 싫어서 네라고 대답만 할 뿐입니다 부모님에 말에 아이가 설득이 되고 이해가 되어야 같은 실수를 하지 않습니다
놀이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아이가 자꾸 혼잣말을 하는데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혼잣말을 하고 눈 맞춤이 안되고 또래에 관심이 적고 다른 사람이 불러도 잘 쳐다 보지 않고또래 친구와 잘 놀지 않으려고 하고 이름을 불러도 반응을 잘 안 하고 소리나 시각 자극에 너무 예민하거나 둔하다면 자폐가 의심이 되기도 합니다 아니면 내성적의 성격을 지니고 있어 그냥 혼자 노는 것이 편하고 좋을 수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자꾸 말대답하는 아이 어떻게 지도하죠?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초등 학교 2학년 아이가 호기심이나 관심이 많아 보입니다 하지만 어른들이 하는 이야기 있는데 아이가 대화에 끼여 들려고 하는 것은 듣는 교육이 부족해 보입니다 어른들의 대화이면 아이에게 어른들이 이야기 하는 것 자리를 피해 달라고 이야기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가 따지게 되면 대화 내용이 아이들이 듣기에는 불필요 하다고 이야기 하고 설득 이해 시켜 주세요
놀이
2024년 9월 23일 작성 됨
Q.
친구와 놀때 본인 목소리만 내는 아이 괜찮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평소 아이와 이야기를 할 때 아이의 말은 들어 주지 않고 일방적으로 부모님이 이야기 하지는 않나요 대화를 나눌 때 듣는 부분과 말하는 부분을 잘 구분 지어 주어야 합니다 친구의 말을 듣지 않고 본인 말만 하게 된다면 남이 있는 친구가 없을 것 같아요 듣는 부분과 말하는 부분을 잘 교육 시켜 주세요
201
202
203
204
20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