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기타 육아상담
2024년 10월 29일 작성 됨
Q.
아이의 건강한 식습관을 형성하기위한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간식의 양이 많으면 배가 부른 상태이기 때문에 식사를 잘 못하는 경우가 생깁니다 배가 부를 정도로 간식을 주면 안되고 과자나 인스턴트 보다 자연식을 만들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말 그대로 배를 채우면 안되고 배고픔만 달랠 정도의 간식을 주세요 그래야 식사 시간에 배가 고파서 식사를 잘 할 수 있습니다 충분히 체육 활동을 하여 체력을 소비 시켜 주는 것도 아이들이 식사를 잘 할 수 있게 합니다 부모님도 편식 하지 말고 야채을 잘 먹도록 하시고 모범을 보이는 것도 아이들이 편식을 하지 않고 식사를 잘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9일 작성 됨
Q.
자녀의 공감능력운 키우기 위한 활동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에 대한 부모의 공감 능력이 떨어지는 경우 아이도 공감 하지 못하는 행동이나 언어를 사용 하는 경우가 많이 있어요 아이의 공감 이나 이해 가 떨어 진다면 어떤 상황이 주어 졌을 때 아이가 하는 행동을 잘 살펴 보시거나 아이의 감정에 대해 이야기 해보는 것이 좋습니다 분명 슬픈 일인데 아이가 즐겁게 웃는 다는 것은 문제가 있는 행동 입니다 소수이긴 하나 뇌구조의 문제로 아이가 공감을 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상황 설명을 하고 감정을 이야기해주고 교육을 시켰는데 불구하고 아이가 느끼지 못한다면 전문적인 심리 상담이 필요 할수 있어요 괜찮겠지 하고 시간을 흘리지 말고 한번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9일 작성 됨
Q.
아이가 타인을 존중하도록 가르치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마다 타고나는 성향이 다르기 때문에 아이가 표현하는 방법도 다를수 있어요 존중하는 방법을 배우지 못해 그런 경우가 생기기도 합니다 평소 부모님이 다른 사람을 배려하고 존중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들은 부모 부터 보고 배우는 점이 매우 많기 때문에 신경 쓰는 것이 매우 좋습니다 예의 바르게 키우고 싶다면 가족 간 항상 배려하고 존중하는 마음을 가지고 있는 것이 좋습니다 결국은 아이들은 부모님이 어떤 모습을 보이고 어떤 말투로 아이를 대하는 것에 따라 달라 질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9일 작성 됨
Q.
부모의 감정에 너무 민감하게 느끼는 아이에게 적절한 감정 표현과 대처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강압적인 분위기의 가정이나 대화가 부족한 가정의 경우 아이가 본능적으로 부모님의 눈치를 보게 됩니다 화를 잘 내거나 흥분을 잘하는 부모님의 경우 아이들이 무서워서 기분이나 눈치를 보게 됩니다 아이의 정서적인 상태는 좋지 않은 것으로 보입니다 무엇보다 편안 하고 안정한 가정이 되어야 하는데 아이가 집에서 부모님의 눈치를 보거나 기분을 보는 것은 아이가 집에서 휴식을 취하지 못하고 긴장한 상태로 있다고 보여 집니다 부모님은 평소 평온하고 편안한 마음으로 아이들을 대하는 것이 연습 할 필요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아이의 말을 잘 들어주고 아이의 마음을 잘 알아 주어야 합니다 아이가 부모님의 기분을 본다는 건 결국 아이가 부모님의 마음을 잘 알아 주는 것과 같은 모습입니다 아이가 할수 있는 행동은 아닙니다 아직 미성년자 이기 때문에 부모로 부터 관심과 보호 필요한 나이 입니다 아이가 눈치를 보지 않도록 편안한 마음을 가질수 있게 해주세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9일 작성 됨
Q.
놀이와 학습의 균형을 맞추기 어려워하는 아이가 자신의 시간을 잘 관리할 수 있도록 돕는 방법은?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대부분의 아이들은 공부 보다는 놀이를 하는 것을 좋아 합니다 아이들은 잘 뛰어 노는 것이 중요 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경우 공부에 대한 기대감이 많아 공부를 하지 않으면 부모님들은 불안 함을 느끼기도 합니다.공부는 필요에 의해 스스로 하지 않으면 능률도 오르지 않는 것이 일반 적 입니다 책상에 앉아 책을 보아도 다른 생각을 하고 있으면 공부에 효과가 떨어 집니다 아이가 시간 관리가 어렵다면 규적적으로 생활 할수 있도록 시간표를 만들어 주는 것도 방법이라 할수 있어요 아이와 잘 상의 해서 아이가 할수 있는 만큼의 시간을 정해 아이가 최대한 지킬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시작 할 때 아이가 잘 할수 있도록 시간을 잘 지킨다면 작은 보상을 해주어 아이가 성취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는 것도 좋습니다 아이들은 부모님의 모습을 보고 많이 배우기 때문에 부모님도 일찍 자고 일찍 일어나는 모습을 보이고 규칙적으로 잘 생활 하는 모습을 보인다면 아이도 잘 따라 올수 있습니다 부모님은 어른 이니깐 마음 데로 할수 있고 아이는 안된다는 식의 교육은 아이가 규칙적이 생활을 하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 훈육입니다 유의 바랍니다
251
252
253
254
2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