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가 친구와 장난감때문에 다툴 때, 이를 중재하기 위해 어떤 구체적인 방법을 사용할 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 나이에 아이들이라면 장난감 때문에 충분히 다툴 수 있다 생각 됩니다 요즘에는 아이들이 다 귀하게 대접 받고 자라는 경우가 많아 양보라는 것을 잘 할 줄 모릅니다 집에서도 귀하다 보니 양보 보다는 필요한 물건을 싸주는 경우가많아 이런 문제들이 더 많이 생겨 납니다 양보를 해야 하는 이유를 설명하고 이해 시켜 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보를 해야 너도 친구에게 양보를 받을 수 있으니필요 할 때 필요한 행동이라고 설명 해주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들끼리 서로 상처가 날정도로 싸움을 하는데요. 어떻게 훈육을 해야할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남자 아이들이 3명 이라면 엄마는 아이 키우기가 매우 어려울 것으로 예상 됩니다 남자 아이들이 싸우는 이유는 형제라도 서열이 있어야 하는데 서열이 정해지지 않다 보니 싸우게 되는 것도 있습니다 집에서 가장 서열이 높다고 생각 되는 사람이 아이들의 서열을 정해 주어야 합니다항상 서열이 낮아 아이가 서열이 높은 아이에게 덤비거나 할 때에는 주의를 주어야 하고 못 덤비게 해야 합니다 중요한 건 엄마가 아이들에게 싸우지 마리고 이야기 해도 아이들이 싸우는 건 안타깝지만 아이들의 생각은 엄마가 아이들보다 서열이 낮다고 생각 하는 것 같아요 그래서 엄마의 말을 무시하고 아이들 하고 싶은데로 하는 것이죠 아이들보다 엄마의 위치가 더 문제가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초등학생 아이가 아주 큰 잘못을 했을때도 회초리를 들면 좋지 않은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가끔씩 체벌에 대한 질문이 올라 옵니다 항상 말씀드리지만 체벌은 폭력 일 뿐입니다 더 이상의 의미는 없습니다 너가 잘못 했으니 맞아야지 하는 거랑 별반 다르지 않습니다 이런 잘못된 체벌이라는 이름에 폭력은 다른 친구에게도 할수 있는 여건이 될수 있어요 친구와의 다툼에서 잘못했으니 너도 맞아야 고쳐 질수 있다고 생각 할수 있기 때문이죠 아이의 행동은 어른과 같다고 생각 하시면 안됩니다 폭력의 양면성은 사람의 이성을 마비 시키기 때문이죠 상대방을 때리고 난 후 잘못 됐다는 것을 알기에 폭력을 절대 해서는 안 되는 행동 입니다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들이 놀면서 짜증내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아이가 하고 싶은 데로 못하게 되면 짜증이 몰려 올수 있어요 엄마와 놀고 싶은데 엄마는 바빠서 놀아 주지 못하니 엄마가 원망 스럽고 여러가지 복합 적인 요소가 있어요 놀이터에서 친구가 엄마와 놀이를 하는 모습을 보게 되면 나는 왜 엄마가 못 놀아 줄까 하고 샘도 나고 하기에 엄마에게 시위 한다고 볼수 있어요
양육·훈육
2024년 10월 26일 작성 됨
Q.
아이의 거울은 부모라는데 부모가 해도 따라하지 않는 아이는 부모가 인내심을 갖아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네 맞습니다 아이의 거울은 부모인 동시에 부모의 거울이 아이이기도 합니다 하지만 부모님들은 지난 시절의경험을 바탕으로 어떻게 살아야 하는 것을 잘 알고 있지만 아이의 경우 잘 알지 못하는 경우가 대부분 입니다 미래 보다는 지금 현제 내가 즐겁냐가 더 중요 할수도 있어요 공부해야 하고 책 읽어야 하는 것은 알고 있지만 게임을 하고 싶고 친구랑 놀고 싶은 마음이 더 클 수 있습니다 부모님은 이런 아이의 마음을 잘 이해 하고 동감 하셔야 합니다 아이가 공부를 하지 않고 놀기만 한다면 아이의 미래가 불투명하게 느껴져 불안 하기만 합니다 아이에 대한 욕심을 내려 놓아야 합니다 그래야 아이도 편하고 부모님의 마음도 편해 집니다 그런 편한 마음들이 아이와 소통이 되고 아이에게 설득이 됩니다 부모님은 책은 좋아하지 않지만 아이가 보는 앞에서 모범을 보이기 위해 책을 보시는 경우도 있지만 정작 아이는 책에 관심이 없고 다른 쪽에 관심이나 능력을 타고 나는 경우가 있습니다 우선 아이가 좋아 하고 관심이 있는 분야 부터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도 부모님이 자신이 관심 있어 하는 분야에 관심을 보이시게 되면 동질감을 느낄 수 있고 관심 받는 다는 느낌도 받을 수 있습니다 그렇게 부모와 자식이 소통 된다면 다음 단계로 넘어 갈수도 있습니다 부모님을 존경하고 인정한다면 부모님이 권하시는 공부에 대해 한번 더 관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256
257
258
259
26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