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5년 3월 24일 작성 됨
Q.
시간 가는줄 모르고 보는 유튜브 어떻게 끊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너튜브는 어른이나 아이나 모두가 좋아 하는 영상 입니다 중독 적인 내용도 많이 나오고 잠깐 잠깐 짧게 보는 것이 특징이기도 하고 참을성이 부족한 요즘 아이들에게 딱 맞는 영상 매체 이기도 합니다 한번 보면 2시간 정도는 시간 가는 줄 모르고 보게 됩니다 어른도 마찬가지 입니다그만 보라고 해서 그만 볼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그래서 사용 시간을 정해 규칙적으로 사용 하는 것이 필요 합니다 정해서 시간 안에서는 아이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용 시간이 지나면 아이들이 다른 곳에 활동 할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아이와 함께 산책을 하거나 부모님과 대화를 한다던지 취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
양육·훈육
2025년 3월 24일 작성 됨
Q.
초4아들때문에 고민이 많네요 힘듭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초등 학교 4학년 인데 폭력 적인 성향을 보인다는 것은 앞으로 학교 생활에 큰 문제가 될 소지를 가지고 있다고 볼수 있어요 지금은 살짝 살짝 하지만 이런 것이 조금 더 커지게 되면 큰 폭력이 되기도 합니다 이런 손버릇은 배우게 된 계기가 있을 것 같은 데요 가정에서 배우게 되는 경우도 많이 있고 주변에 있는 친구나 형들에게도 많이 배우게 됩니다 자신의 뜻데로 되지 않는 다고 폭력을 사용 하면 안 된다고 교육 시켜 줘야 합니다 폭력이 나쁜 이유에 대해서도 이야기 해줘야 합니다 아이가 엄마 보다 서열이 높다고 생각 하면 엄마의 말을 무시 하는 경향도 보이게 됩니다 초등 4학년 이면 이제는 말로 안 되면 전문적인 심리 상담을 받아 보시는 것도 고려 해 보는 것도 좋을 것 같아요아직은 기회가 있습니다 6학년이 되고 중학생이 되면 정말 고치기 힘듭니다
양육·훈육
2025년 3월 24일 작성 됨
Q.
아이들한테 어떻게 애기 해야 될까요 ?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돈이 많이 필요하고 하고 싶은 거 먹고 싶은 것이 많은 나이 이기도 합니다 우선 현금을 소지 하고 있는 사업장이라고 하니 현금 관리를 못한 엄마의 책임이 많이 있습니다 아이들은 미성년자 이다 보니 참을 성이 부족하고 현금을 보게 되면 순간적으로 혹 해서 현금을 손에 댈 수도 있는 상황이 생기기도 합니다 아이들이 사업장에 오게 되면 현금을 아이들이 손을 대지 않는 곳에 보관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야기를 들어 보면 아이들이 가져 갔다는 증거는 없는 것으로 보입니다 엄마가 돈이 없어 졌으니 아이들이 가져 갔다고 추측 하는 것 같아요 잘못 이야기 하게 되면 아이들 입장에서는 증거도 없이 우리를 의심하는 말을 하는 엄마에 대한 신뢰가 무너져서 돌이킬 수 없는 모자 관계가 되기도 합니다 신중 하시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큰 아이나 작은 아이를 동시에 불러 이야기 하는 것보다 한명씩 따로 이야기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요즘 필요한 것이 많은지 아니면 학교에서 문제가 있지는 않은지 잘 살펴 보셔야 합니다 혹시 친구들로 부터 돈을 상납하고 있지는 않은지 모든 각도 에서 잘 살펴 보셔야 합니다 엄마 가게에서 돈이 없어 졌는데 너희들이 손을 댄 건 아니지? 하고 물어 보세요 당연히 가져 가지 않았다고 이야기 할 겁니다 그럼 엄마는 그래 너희들을 믿는다 엄마가 돈 계산을 잘못 했을 수도 있겠다 하고 자식을 믿어 주는 말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설령 아이들이 거짓말을 한다고 하더라도 마음 한 구석에서는 가슴이 내려 앉은 고통이 생기게 됩니다 그래서 앞으로는 아이들이 현금을 손에 대지 못하게 잘 관리 하고 같은 일이 반복이 되면 카메라를 설치해서 확실한 증거를 가지고 아이와 이야기 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요 보통은 아이들은 눈치가 있어 엄마가 알고 있는데 넘어가 주면 다시는 같은 행동을 반복하지는 않습니다 너무 걱정하지 마세요 저도 중1 고1 아이들을 키우고 있어요 아이를 키우다 보면 별일이 다 생기곤 하잖아요 힘내세요 화이팅 입니다
놀이
2025년 3월 24일 작성 됨
Q.
아이가 축구공모양 풍선껌을 먹어도 되냐고 물어보는데…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껌은 삼키면 안된다는 것을 인식 할수 있으면 씹어도 된다고 생각 해요 아이마다 다르 겠지만 초등 1학년 이면 충분히 구분 할수 있다고 생각 합니다 껌도 당분이 많이 포함 되어 있고 이에 달라 붙는 특징이 있어 양치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3월 24일 작성 됨
Q.
느릿느릿 게으름을 피우다가 매번 지각하는 아이 해결 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요즘은 예전과는 달리 지각 해도 별다른 처벌이 없다 보니 지각을 매우 쉽게 생각 하는 아이들이 많이 있어요 하지만 시간에 맞춰 등원 하는 건 선생님과 공부에 대한 약속이기도 합니다 등원 버릇을 아침에 일어나서 오늘 입고 갈 옷을 선택하고 준비물을 체크하는 습관을 가진 아이들도 있어요 전날에 내일 입고 갈 옷을 준비하고 준비물을 체크하는 것이 아침에 좀 더 여유롭게 할수 있죠 아침에 일찍 일어나야 하니 전날에 10시에 잠에 들어야 하고 아침에 일찍 일어 나게 되면 일찍 등교 하는데 도움이 많이 된다고 생각 해요
놀이
2025년 3월 21일 작성 됨
Q.
초등학생은 어느 순간부터 스마트폰이나 테블릿을 허용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초등학교에 들어가고 아이가 스마트폰이나 전자기기에 익숙해지면 사용 시간을 규칙적으로 해야 합니다 아니면 아이들 스스로 사용 시간을 조정 하기 어렵기 때문에 스마트폰 중독이라는 것에 걸리기도 합니다 중독이 되면 일상 생활이 어렵고 폭력적인 성향 까지 보이기 때문에 전문적인 상담을 받거나 치료를 받아야 하는 경우도 생기게 됩니다스마트폰은 통화의 기능도 있기 때문에 초등 1학년은 엄마가 좀 따라 다녀야 하기 때문에 필요 하지는 않지만 학원 다녀야 하는 시기가 오면 아이와 연락이 되어야 하기 때문에 스마트 폰을 사용 해야 합니다 보통 2~3학년이면 스마트 폰을 다 가지고 있어요
유아교육
2025년 3월 21일 작성 됨
Q.
5세반부터 유치원과 쭉 7세까지 다니는 어린이집 차이?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어린이집이나 유치원이나 같은 누리 과정을 하고 있고 어린이집 5세반 선생님은 대부분 유치원 교사 출신 선생님이 많이 있기 때문에 교육 적으로는 차이가 없다고 보여 집니다 아이에 성향에 따라 결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같은 5세라도 관심이 돌봄이 필요한 아이도 많이 있습니다 생일이 늦다면 유치원에서 적응이 쉽지는 않습니다 유치원은 반에 아이들이 많은 경우가 있어 일일이 관심과 도움을 받기가 쉽지 않습니다 혼자서 잘 하는 아이들이 생활 하기에 좋은 곳이기도 합니다 방학은 길다 보니 맞벌이 가정에서 좀 곤란한 경우도 생기기도 합니다 비용 적인 면에서도 유치원이 많이 들기도 합니다 원마다 차이가 있습니다
기타 육아상담
2025년 3월 21일 작성 됨
Q.
어린이집 등원하면서 엄마랑 헤어질때 우는건 자연스러운 반응이죠??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내 그렇습니다. 당연히 울수 있는 나이 입니다 아이가 내성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다니 더 그럴수 있어요 전 어린이집에서 익숙한 환경에서 다니다가 새로운 환경에 대해 적응이 되지 않고 내성적이다 보니 친구 사귀기도 어려운 경우가 많은데 전부 모르는 친구가 있다니 하늘이 무너지는 느낌을 받을 수 있어요 하지만 아이들은 어른들이 생각 하는 것 보다 훨씬 빨리 적응을 합니다 엄마가 불안해 하기 보다 아이에게 관심을 많이 가져 주고 아이가 하원 하고 가정에 오게 되면 오늘 어떤 일이 있었는지 아이의 어린이집 생활에 대해 관심을 가져 주고 잘 할수 있다고 칭찬 하고 응원 한다면 아이가 보다 빠르게 새로운 어린이집에서 적응을 할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놀이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모래놀이와 밀가루 반죽 만지는거 어떤것이 더 교육에 좋은가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둘 재료다 오감을 느끼기에 좋을 재료 입니다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재료 이기도 합니다 모래가루는 좀 날리는 경향이 있어 밀가루 반죽이 조금 더 낳지 않나 생각 됩니다 하지만 밀가루는 먹는 음식이다 보니 오감 놀이를 하고 버려야 하기 때문에 먹는 음식을 버린다는 것이 교육 상 조금 좋지는 않다고 생각 돼요 하지만 안전을 고려 한다면 그래도 밀가루 반죽이 좋을 것 같아요
유아교육
2025년 3월 20일 작성 됨
Q.
아이들의 눈높이에 맞는 대화법은 어떤것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은창덕 보육교사입니다.매일 아이와 대화를 한다면 조금은 쉬울 것 같아요 아이들은 현시점에서 이야기 하는 것을 좋아 하기 때문에 아이들과 대화 시 넘겨 짚어서 예상하거나 먼 미래에 어떻게 될 수 있다는 식의 대화는 아이들이 좋아 하지 않아요 그래서 현재 필요한 이야기를 중점으로 하시면 될 것 같아요
26
27
28
29
3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