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은창덕 전문가입니다.
은창덕 전문가
라인평생교육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육아
유아교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선생님은 왜 대부분 여자 선생님인건가요?
맞습니다 요즘 초등학교 6학년은 덩치가 있어 여선생님에게는 조금 부담이 됩니다남자선생님이 있슴 좋겠지만요하지만 초등학교 선생님이 될려면 교육대학교을 나와야 하는데고등학교 성적이나 수능 점수가 높아야 하는데상위권 친구들이 여학생이 많습니다그리고 초등학교 남자선생님 할당제는 없습니다시험을 통과 해야 됩니다현재는 여학생들이 남학생들보다 성적이 더 우수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육아교육과를 나와야지만 꼭 어린이집이 취업이 되나요?
어린이집 취업은 꼭 유아교육과을 나올 필요는 없습니다보육교사 자격증만 있으면 됩니다보육교사 자격증은 고졸이상이면 취득할수가 있습니다유치원은 유아교육과를 나와서 정교사2급을 취득해야지만 유치원에서 근무할수있는 자격이 주어 짐니다아무래도 학력이 있으면 면접시 유리 하겠죠하지만 아이을 좋아하고 사랑하는지 아이에게 진심인지 이런 것들이더 크게 면접에서 작용 할수 도 있습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두돌된 아이의 신체적,언어적 발달은 어느정도 수준인가요?
아이들은 타고난 기질이나 성향이 아이들 마다 다르기 때문에 수준이나 평가을 한다는것은좀 어려울수는 있으나 참고 정도만 한다면 괜찮습니다좀 느리다고 해서 문제 되는 것은 아닙니다24개월 이면 걷거나 뛸수있으며 계단도 올라갈수 있습니다경사진 곳에 줄이 있으면 잡고 올라 갈수도 있습니다율동도 따라 할수 있으며 호기심도 많이 생기는 시기 입니다자기 의사 표현이 가능 하며 단어나 짧은 문장도 할수 있습니다어떠한 물체의 표현도 가능 합니다꽃이 이뻐요 정도의 표현도 가능 합니다
양육·훈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애기가 머리를 뜯는 이유를 정말 모르겠어요
몇개월 아기가 머리카락을 뜯는 행위는 건강상 좋지는 않습니다머리카락을 뜯는 행위는 아기들이 언어을 구사하지 못하기 때문에 몸짓이나 소리로 불편함을 표현합니다현제 무언가 불편하다는 겁니다 배는 고프지 않는지 기저귀는 괜찮은지 잘 살펴 보세요불편함을 머리카락을 뜯어면서 해소 할수도 있습니다계속해서 뜯어면 안 되겠죠 애착물이 될 만한 인형이나 베개 같은 물품을 주세요
유아교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초등학교 1학년 숙제 안하게 되면 많이 혼나나요?
초등학교 숙제는 수업한걸 복습하는 차원에서 선생님들과의 약속 입니다아이가 이유가 있어 숙제을 못 할수도 있습니다하지만 숙제는 선생님과의 약속인걸 꼭 알려 주셔야 합니다선생님 마다 다름니다 혼내는 거 보다 다시 해오라 하는 선생님도 계시고아무말 않하는 선생님도 계십니다하지만 생활 기록부 평가가 좋지는 않겠지요
유아교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초등학교도 전교회장, 부회장이 있나요?
네 전교회장 부회장 지금도 있습니다각반 반장 부반장 선거랑 다른점은 각반 반장 선거는 공약을 교실에서만 합니다전교회장 부회장은 피켓 만들어 돌아 다니면서 홍보을 합니다방송반에서 공약 방송 할 때도 있습니다.전교 회장 부회장 선거을 하고 난뒤 몇 칠있다가 각반 회장 선거을 합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요즘 초등학교에서 반장,부반장은 어떤게 뽑히나요?
학기초가 되면 반장 부반장 선거을 한다고 공지을 합니다아이가 학교 다녀와서 이야기 하죠예전에는 추천을 통해 후보을 올리죠 후보가 좀 능력이 부족하면 선생님이 안된다하는 시절이 있었지요요즘은 그런거 없습니다하고 싶으면 누구나 다 나갈수 있습니다.저학년 일수록 후보가 많지요 반 정원의 절반이 후보로 나갈 때도 있습니다지금도 마찬가지로 공약을하고 선거로 뽑습니다
유아교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아이가 수학을 잘 하지 못하는데 어떤식으로 공부를 시켜야 할까요?
아이들은 타고난 재능이나 능력치가 다름 니다아이에게 한번 설명 했는데 잘 모른다 해서 못한다고 생각 하시면 안됨니다한번에 이해하는 아이가 있는 반면에 2~3번 설명이 필요한 아이도 있습니다저학년에 아이들은 칭찬이 많이 필요 합니다 못하거 보다 잘하는 것을 칭찬 많이 하시고 본인이 하고 싶은 생각이 없으면학원가서도 딴 생각 하고 있습니다가장 좋은 것은 본인 원할때 학원을 보내는것이 가장 좋지만 현실적으로 힘들지요
유아교육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밥 먹는 것을 거부하기는 어떻게 하나요.
무조건 적인 식사 거부는 치료가 필요 합니다그런것이 아니라면 아이의 음식 대한 취향을 파악 하셔야 합니다12개월 쯤에는 잘먹다가 14개월에 와서 안 먹는다는건 음식의 향을 거부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호박은 먹지 않는데 호박을 다져 튀김을 해주면 잘 먹는 경우가 이런 경우이지요또한 한 숟갈 양이 많아 않 먹는 경우도 있고요 양을 줄어 주면 됨니다음식재료가 크지는 않나요 더 작게 썰어 만들어 주세요잘 먹을 때 까지 싫어하는 재료는 빼주세요 햄이나 소세지 등 몸에는 않 좋지만 밥위에 조금씩 올려 주면서 먹여 보세요혹시 어린이집 다니면 어린이집에선 잘 먹나요어린이집에선 잘 먹다가 집에서 않먹으면 아이가 배가 불러서 않먹는 경우도 있고집밥이 맛이 없어 않먹는 경우도 있어요
기타 육아상담
2024년 6월 17일 작성 됨
Q.
아이의 옹알이는 뜻을 가지고 하는 건지 그냥 하는 건지 궁금합니다
태어나서 3개월 까지는 옹알이를 하지 않고 소리나는 방향으로쳐다 봅니다3개월이 지나면서 오 아 목구멍의 구조에 가까운 소리을 냅니다상대방의 목소리 톤에 반응을 합니다큰소리가 나오면 놀라곤 합니다그래서 아이에게 부드러운 목소리로 천천히 말 해야 합니다상대의 표정도 느낄수 있다고 합니다3개월 아기가 뜻을 알수는 없습니다..
361
362
363
364
36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