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이광섭 전문가
토론토 동물병원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예방접종은 몇차까지 해야하나는지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보통 강아지의 예방접종은 생후 6주부터 시작해서 2주 간격으로 총 6회 실시합니다. 이때 종합백신, 코로나 장염, 켄넬코프 기관지염, 신종 플루, 광견병 등의 백신을 접종합니다. 이후에는 매년 1회 이상 추가 접종이 필요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무드등이나 집 조명 불빛이 강아지들에게 좋지 않나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강아지가 잘때 밤에는 거실에 노란 약한 조명을 틀어주시는 것은 괜찮습니다. 강아지는 어두운 곳에서도 잘 볼 수 있지만, 완전히 어둡게 해주면 불안하거나 무서워할 수 있습니다. 노란 약한 조명은 강아지의 눈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도 편안하고 안전한 분위기를 만들어 줄 수 있습니다.하지만 형광등이나 LED조명과 같은 밝고 깜박이는 조명은 강아지의 눈에 좋지 않습니다. 이러한 조명은 미세한 깜박임을 일으키는데요, 이 깜박임은 인간의 눈에는 잘 보이지 않지만, 강아지의 눈에는 잘 보이고 눈의 피로와 스트레스를 유발합니다. 특히, 강아지가 쉬거나 자는 동안에는 이러한 조명을 피해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병원에서 말한 날짜에 꼭 예방접종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하루이틀정도는 괜찮으나, 웬만하면 병원에서 말씀하신 날짜에 꼭 접종을 해 주시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은 각각의 백신마다 특정한 시기와 주기가 있으므로, 그에 맞춰서 접종을 해야 효과적으로 면역력을 키울 수 있습니다. 만약 예방접종을 미루거나 빼먹으면 감염병에 걸릴 위험이 높아지고, 다시 처음부터 접종을 다시 시작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보통 강아지의 예방접종은 생후 6주부터 시작해서 2주 간격으로 총 6회 실시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아직 접종 다 하지 않은 아기 강아지인데 외부사람이랑 접촉하면 안되나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아예 안되는 것은 아니지만 조심해주셔야합니다. 예방접종이 완료되기 전까지는 외부와의 접촉을 최대한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예방접종이 완료되지 않은 강아지는 감염병에 걸리기 쉽고, 심한 경우 사망에 이를 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산책이나 놀이터 등의 공공장소는 물론이고, 다른 동물이나 사람과의 접촉도 가능한 한 자제해 주세요.집에 지인들이 오실 때도, 강아지가 다른 사람의 타액이나 분비물에 접촉하지 않도록 주의해 주세요. 지인들이 강아지를 만지거나 놀아줄 때는 손을 깨끗히 닦아주셔야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중성화 수술은 접종5차이상 완료후 하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강아지의 중성화 수술은 예방접종과 관련이 없습니다. 예방접종의 차수와 상관없이 중성화 수술을 할 수 있습니다.일반적으로 강아지의 중성화 수술 시기는 4~6개월 사이라고 할 수 있는데요. 그 시기가 성성숙 시기인 첫 발정 시기이기 때문에 발정기와 같은 성적인 징후가 나타나기 전에 중성화 수술을 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고양이도 나가기 좋아하는 고양이도 있나봐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고양이도 산책을 좋아하는 고양이가 있을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강아지와 달리 영역 동물이라서 주로 자신의 영역 안에서만 생활하는 것을 선호하지만, 어릴 때부터 적응 훈련을 받거나 성격이 활발하고 호기심이 많은 고양이는 산책을 통해 바깥 세상을 탐험하고 싶어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고양이 산책은 잘못하면 고양이에게 많은 위험과 스트레스를 줄 수 있습니다. 고양이는 예기치 못한 상황에 놓였을 때 돌발 행동을 할 수 있으므로, 하네스에서 탈출하거나 사람이나 다른 동물과 싸우거나 교통사고를 당할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도 인간처럼 미각을 느낄수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네. 강아지도 미각이 있습니다. 잘 관찰하셨습니다. 단맛을 좋아하고 쓴맛 신맛 매운맛 등 맛보다는 혀의 통증과 감각을 싫어합니다. 하지만 강아지는 사람보다 미뢰라고 부르는 혀에 있는 맛 수용체의 개수가 훨씬 적습니다. 사람은 약 9000개의 미뢰를 가지고 있지만, 강아지는 약 1700개밖에 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강아지는 사람보다 섬세하게 맛을 구별하지 못하고, 냄새에 더 의존합니다. 강아지의 후각은 사람보다 100만 배 더 강하므로, 음식의 맛을 판단할 때 후각이 더 큰 역할을 합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가 사람을 너무 좋아해여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강아지가 사람을 너무 좋아하는 것은 보호자님께서 잘 키우셔서 그런 것 같아요. 강아지가 사람을 좋아하는 것은 사회성이 좋다는 뜻이기도 하고, 친화적이고 활발하다는 뜻이기도 합니다. 경계심을 가지게 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보호자님의 태도와 목소리입니다. 강아지는 보호자님의 표정과 몸짓, 말투 등을 잘 읽어내고 따라합니다. 따라서 낯선 사람을 만날 때 보호자님께서도 경계하거나 불안하게 행동하면 강아지도 그런 신호를 받아들여서 경계심을 가질 수 있습니다.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다른 강아지 소리를 들으면 갸우뚱 갸우뚱 거리는데 왜그러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 소리에 대한 호기심이나 흥미 때문입니다. 강아지는 청각이 뛰어난 동물이기 때문에, 주변의 다양한 소리에 귀를 기울이고, 고개를 갸우뚱하면서 소리의 방향이나 거리를 파악하려고 하는 것이죠
반려동물 건강
반려동물 건강 이미지
Q.  강아지가 목욕하기 너무 싫어하는데 어떻게 해야죠?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이유로는 물에 대한 두려움이나 트라우마, 물 온도나 수압이 적절하지 않음, 털이 젖어서 무거워지거나 간지러워짐, 샴푸나 비누의 냄새가 싫음, 보호자의 목소리나 태도가 부정적임 등이 있습니다.우선 강아지에게 목욕이 즐거운 경험이라는 것을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강아지가 목욕을 하기 전에는 산책이나 놀이를 통해 기분을 좋게 해주고, 목욕 중에는 칭찬과 간식을 주면서 긍정적인 자극을 주세요. 목욕 후에는 간식과 함께 마사지를 해주거나 좋아하는 장난감으로 놀아줘서 목욕이 끝난 후에도 기분이 좋게 유지되도록 합니다
47147247347447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