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 자라의 먹이로 날개있는 죽은벌은 어떤가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일반적으로 자라의 먹이로는 물고기, 새우, 게, 달팽이, 올챙이, 개구리, 곤충 등을 주는데요. 벌도 곤충의 일종이므로 자라의 먹이로 줄 수 있습니다.
Q. 저희 강아지가 음식을 너무 심하게 빨리 먹어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강아지가 음식을 빨리 먹는 것은 야생 본능에서 유래한 행동이라고 합니다. 야생에서는 먹이를 확보하면 최대한 빨리 먹어야 다른 동물에게 뺏기지 않기 때문이죠. 그러나 너무 빨리 먹으면 소화가 잘 안 되고, 질식, 가스, 구토 등의 건강 문제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급체 방지 식기로 음식 그릇을 바꿔보세요. Slow Feeder와 같은 그릇은 중앙에 돌출된 부분이 있어서 강아지가 음식을 한 번에 삼키지 못하게 합니다. 이런 그릇을 사용하면 강아지가 음식을 씹고 삼키는 시간이 길어집니다.
Q. 식분증이 있으면 생길 수 있는 질병에는 어떤것들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기생충 감염: 강아지가 자신이나 다른 동물의 똥을 먹으면, 기생충의 알이나 유충이 체내로 들어갈 수 있습니다. 기생충은 강아지의 소화기관, 혈액, 간, 폐 등에 피해를 줄 수 있습니다.바이러스, 세균 감염영양불균형: 강아지가 똥을 먹으면, 영양소의 흡수가 방해될 수 있습니다. 똥은 이미 소화되고 남은 물질이므로, 영양가가 거의 없습니다. 오히려 독소나 유해물질이 함유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강아지가 똥을 먹으면, 필요한 영양소를 제대로 섭취하지 못하고, 체내에 유해물질이 축적될 수 있습니다.
Q. 강아지가 영상통화라던지 전화통화는 소리를 듣지 못하는것같은데요
안녕하세요. 이광섭 수의사입니다.영상통화나 전화통화의 소리는 실제 소리와는 다르게 압축되고 변조되기 때문에 강아지에게는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강아지는 사람보다 더 높은 주파수의 소리를 들을 수 있기 때문에, 통화의 소리는 강아지에게는 왜곡되거나 무시되기 쉽습니다. 또, 화면이 작고 정적이기 때문에 강아지에게는 인식하기 어려울 수 있습니다. 강아지는 움직이는 물체나 색깔에 더 반응하기 때문에, 화면에서 보이는 사람이나 동물은 강아지에게는 잘 구분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그러나 모든 강아지가 영상통화나 전화통화의 소리를 듣지 못하는 것은 아닙니다. 일부 강아지들은 통화의 소리를 듣고 주인이나 친구를 알아보거나 반응할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