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답변 활동잉크

안녕하세요. 이동호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동호 전문가입니다.

이동호 전문가
HD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상아가 없는 아프리카 코끼리가 많아지고 있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상아 없는 코끼리가 태어나는 이유는 밀렵에 따른 자연도태, 유전적 원인 등으로 전문가들은 판단하고 있습니다.조이스 풀 박사는 밀렵꾼들이 상아가 있는 코끼리는 죽이고, 없는 것은 살려놓다 보니,코끼리가 상아 없는 자식을 더 많이 낳는 방식으로 대응하게 된 것이라고 설명하였습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파리 모기도 겨울에 동면을 하는것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겨울에도 따뜻한 장소가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해충들은 그러한 장소에 숨어있습니다.예를들자면, 하수구나 정화조, 오물탱크 등 따뜻하고 습하고 사람이 잘 다니지 않는 장소 입니다.
토목공학
토목공학 이미지
Q.  케찹으로 물 때 청소가 가능한 원리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케첩의 토마토에는 라이코펜이라는 성분이 있는데, 이것이 녹을 제거하고 산화방지에 탁월한 효과가 있습니다.유통기한이 지난 케첩을 이용하여 화장실 청소하는 방법을 여러 이용하고있습니다.예를들어, 수전의 오염된 부분에 케첩을 바르고 30분동안 방치 후 물로 씻어내면 반짝이게 됩니다.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전기장판은 실제사람몸에 영향을 주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전기장판의 전자파가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현재까지 확실하게 확인 되지 않았습니다.전기장판을 사용하는 국가는 우리나라, 일본, 중국 정도이며,사용하는 기간도 겨울 한철 뿐이므로 이와 관련된 전자파 연구도 많지 않습니다.따라서, 유해성에 대한 결론을 내리지 못한 상태라고 볼 수 있습니다.하지만, 1995년 미국의 카이저 병원의 연구결과 논문에 따르면, 난임 여성이 임신했을 때 전기장판을 사용하면,태아의 선천성 요로계 기형 발생 위험이 4배 이상 증가할 것으로 작성되었습니다.또한, 2007년 한양대 산업의학과 대학원 이규수 박사과정 연구원의 졸업논문에 따르면, 전기장판의 전자파가 숙면을 방해할 가능성을 언급하였으며, 강한 전자파에 장기간 노출된 사람은 코티졸 호르몬이 증가해 숙면을 하지 못한다고 작성되어 있습니다.그럼 우리는 어떻게 해야할까요?EMF 인증을 받은 전기장판을 구매하거나, 탄소섬유로 만들어진 온열매트를 구매하시는게 가장 좋은 방법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태풍때 유리창에 젖은 신문지를 붙이는 과학적 원리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태풍때 창문에 신문지에 물을 뭍혀 붙여놓는 이유로,태풍 바람의 풍압을 분산시켜주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었으나, 과학적으로는 이에 대해 발생되는 효과는 크지 않다고 합니다.보다 적절한 조치를 취하기위해서는 젖은 신문지 보단, 태풍에 의해 섀시가 흔들리지 않도록 섀시와 창틀을 고정하는 것이 더욱 중요합니다.섀시와 창문의 틈 사이에 두꺼운 종이나 신문지를 끼워넣어 창문이 흔들리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습니다.출처 :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전기·전자
전기·전자 이미지
Q.  컵안에 불을넣고 계란이 빨려들어가는 원리가 어떤원리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컵안의 공기가 불에 타게되면 컵 안의 공기가 점차 줄어들게 됩니다.이때 컵 속에서는 컵 밖의 공기압력과 일치하려는 성질을 띄게 됩니다.(압력평형)하지만 계란이 컵의 입구를 막고있으므로, 공기가 아닌 계란이 빨려들어가게 되는 것입니다.이와 비슷한 실험으로,유리병을 뜨거운물에 충분히 담궈서 유리병이 뜨겁게 된 후,다시 꺼내어 입구에 계란을 놓게되면 질문하셨던 것과 동일하게 계란이 유리병 안으로 빨려들어가게 됩니다.이 원리는 뜨거운 유리병 내부에서 팽창한 공기(부피가 큼)가 온도가 식으면서 원래의 공기 부피로 줄어들게되면서,부피가 줄어든 만큼 유리병으로 공기를 빨아들이려는 성질이 생기게 됩니다.하지만 동일하게 유리병 입구는 계란이 막고 있기 때문에, 공기가 아닌 계란이 빨려들어가게 되는 것입니다.제가 말씀드린 유리병 실험은 계란 빨려들어가는 속도가 굉장히 느립니다.하지만 말씀하신 불을 피우게되는 실험은 상대적으로 빠릅니다.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중력과 물속에 부력의 관계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부력이란, 물체가 액체나 기체 내부로 중력에 의해 가라앉게 될 경우, 가라앉는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밀어내는 힘을 말합니다.쉽게 말해서, 물 분자들이 서로 결합되어있는데 이 물 분자들 사이를 헤집고 들어오는 물체를 밀어내는 저항력입니다.중력이 없다면 물체는 물에 빠지지 않고 공중에 둥둥 떠있을 것입니다. (물도 둥둥 떠있겠지요)즉, 중력이 작용해야 물 속으로 물체가 들어가게되고, 부력이 발생하는 것이죠.
지구과학·천문우주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Q.  헬리콥터는 어떤 원리로 하늘을 날 수 있는건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헬리콥터는 로터(회전하는 부분을 통틀어 이르는 말)를 통해 하늘을 날 수 있습니다.로터에는 일반적으로 2~4개의 블레이드(날개)가 붙어 있으며, 이 블레이드를 자세히 보면 작은 비행기 날개와 비슷하게 생겼습니다.블레이드를 빠르게 회전하면, 각각의 블레이드에서 비행기 날개와 같은 양력이 발생하게되고,헬리콥터는 이 양력 덕분에 무거운 몸체를 하늘로 띄울 수 있습니다.헬리콥터는 로터 회전을 통해 양력을 얻어 뜰 수 있고, 로터의 각을 조정하여 전후좌우 방향의 이동이 가능한 추진력을 얻습니다.즉, 로터를 통해서 양력과 추진력 모두를 동시에 얻을수 있죠.비행기의 경우 엔진의 추진력에 의해 몸체가 점점 앞으로 빨리 달리게 되고(지상에서),이때 양쪽 날개에 발생하는 양력을 이용해 공중에 뜨게 됩니다.원리적으로는 헬리콥터의 비행원리는 비행기와 다르지 않습니다.양력에 대한 원리는 같습니다만, 추진력에 대한 원리는 다릅니다.비행기는 일단 공중에 뜨고 나면 앞쪽 날개의 조향장치와 꼬리날개의 수직날개를 좌우 방향을 틀면서 방향을 잡아가는 것에 차이가 있습니다.헬리콥터는 15세기 레오나르도 다빈치의 스케치 부터 다양한 개발이 되었으나, 최초로 이륙가능한 헬리콥터는 1937년 하인리히 포케가 개발하였습니다. (모델명은 포케 울프 fw 61 기체입니다)
생물·생명
생물·생명 이미지
Q.  인간 유전체 프로젝트는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약 30억 개 염기쌍을 가진 사람의 염색체 DNA의 모든 염기 서열을 해독하는 프로젝트입니다.1988년 국제 연구 단체인 인간 유전체 기구가 설립되었으며, 1990년대에 본격적인 연구가 시작되어 2002년에 거의 밝혀졌습니다.
화학
화학 이미지
Q.  산성비는 어떻게 비에 산성이 더해지는 것인거요?
안녕하세요. 이동호 과학전문가입니다.공장이나 발전소, 자동차에서 이산화황과 질소 산화물이 들어있는 오염물질을 내뿜습니다.두 가스 물질은 공기중으로 섞여 서서히 하늘로 올라가 구름속에 스며듭니다.구름속에서 이산화황은 물과 반응하여 황산이 되고, 질소 산화물은 물과 섞여 질산으로 변합니다.황산과 질산은 산성이 아주 강한 물질입니다.비가 내리면서 산성비가 됩니다.​공업 지역에서 보면, 이 물질들이 공기 중으로 올라가게 되고, 대기는 움직이기에 공업지역이 아닌 지역에도 이 물질들이 존재합니다.산성비는 땅에서 만드는거라고 봐도 무방할 것 같습니다.
5152535455
아하앤컴퍼니㈜
사업자 등록번호 : 144-81-25784사업자 정보확인대표자명 : 서한울
통신판매업신고 : 2019-서울강남-02231호개인정보보호책임 : 이희승
이메일 무단 수집 거부서비스 이용약관유료 서비스 이용약관채널톡 문의개인정보처리방침
© 2025 Aha.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