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4년 2월 15일 작성 됨
Q.
귀에서 소리가 나고 어쩌다한번씩은
안녕하세요. 네 이명은 소음성 난청이 발생하기 전에 주로 나타나기 때문에 증상이 경할 때 진료를 받는 것이 안전할 수 있습니다. 초기에 치료하는 경우, 호전되는 경우가 많아서 진료를 받는 것이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발목 비골골절 비수술로 반깁스 보조기어ㅏ 목발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경우, 시간이 지나면서 다시 회복하는 모습을 보이는 것이 사실입니다. 냉찜질을 하는 것이 좋으며 소염 진통제를 복용하는 것이 염증과 부종을 줄이는데 도움이 됩니다. 일주일 정도는 무리하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어제 살짝 감전되고나서 질문올려봅니다
안녕하세요.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 병원 진료를 받는 것이 좋은데 대부분의 경우, 치료가 필요하기 보다는 경과를 지켜보게 됩니다. 소염 진통제를 드시는 것도 좋은 방법으로 통증 부위를 냉찜질을 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정형외과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턱 마사지 했는데 뼈가 아파요
안녕하세요. 그렇게까지 위험하게 마사지를 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는데 대부분은 마사지를 처음 받는 순간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지속하면서 이런 통증은 적응하게 되지만 효과에 대해서는 확실하게 있다고 단언하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대장내시경 용종 제거 후 며칠 뒤에 일반식이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대부분의 경우, 48시간이 지난 후 부터는 정상적인 식사를 할 수 있는데 음주나 과식은 피하는 것이 좋으며 보통 일주일 후 부터는 원래대로 회복하는 것이 사실입니다. 피자 등의 식이는 일주일이 지난 후부터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과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팔 안 쪽에 두드러기?가 나는데 이유가 뭘까요??이 두드러기 이름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두드러기 역시 하나의 진단 명이며 대개의 경우, 알레르기 피부염의 가능성이 높습니다. 이는 만성 질환으로 정도의 차이가 있으며 가려움을 느끼거나 전신으로 퍼지는 경우, 항히스타민제 등의 약물 치료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보통 먹는 음식이나 집먼지 진드기 등의 알레르기가 원인이 되는 것이 사실입니다
비뇨의학과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자궁근종 크기가 점점 커지면 빈뇨와 변비가 생기나요?
안녕하세요.자궁근종이 큰 경우, 방광을 자극하여 잔뇨감이 느껴지기도 하지만 그럴 경우라면 크기가 상당히 크기 때문에 10 cm 크기에서는 가능성이 적은 것은 사실입니다. 변비와의 관련은 적을 것으로 보이며 대개의 경우, 폐경 이후 크기가 주는 것이 사실입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밤에 잠을 너무 깊이 많이 자서 걱정입니다
안녕하세요. 가장 좋은 것은 스스로 자는 시간과 일어나는 시간을 정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밤 10시부터 오전 06시 까지 수면 시간을 정하는 것이 좋으며 아침에 운동이나 다른 아침 활동을 정해 두는 경우, 수면 시간을 줄일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스스로 일어나는 시간을 정하지 않는다면 간단하게 해결을 한다는 것이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안과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향수 뿌리다가 눈에 향수가 들어갔어요ㅠㅠ
안녕하세요. 향수가 눈에 들어갔다고 해서 눈이 실명 되거나 문제가 되는 경우는 거의 없는 것이 사실입니다. 이미 인공 눈물을 통해 씻어 낸 상태로 경과를 지켜 봐도 될 것으로 보입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2월 14일 작성 됨
Q.
골밀도 검사에 대하여 궁금한 게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류마티스 관절염의 경우, 종류가 다양하기 때문에 한번에 진단을 확정 짓기 보다는 진료를 보면서 그 안에서도 진단 명이 조금씩 변경되며 치료 약물 역시 조금씩 달라지게 됩니다. 만성 질환으로 결국은 꾸준한 관리가 필요한데 아직 30대가 되지 않았다면 골밀도 검사를 의무적으로 할 필요는 없지만 그럼에도 골다공증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칼슘 제제를 복용하는 것이 나쁜 것은 아닙니다.
151
152
153
154
15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