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4년 1월 10일 작성 됨
Q.
8번 갈비뼈 골절 후 이상한 소리가 자꾸 나요
안녕하세요. 골절된 갈비뼈는 다시 붙기 때문에 서로 이어지게 되는데 이때 과도하게 움직이는 경우 서로 걸리는 소리가 날 수 있습니다. 숨을 쉬어야 하지만 3주 정도는 과도한 움직임이나 운동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숨 쉬면 코가 너무 시리고 코 위쪽 부분이 꽉 막힌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비염으로 인해 코 안쪽에 염증이 발생하고 이로 인한 부종으로 인해 코막힘이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비염은 대부분 유전적으로 갖고 있게 되어서 감기에 걸리거나 할 때 심해지는데 코골이는 이 비염이 오래 되었다는 하나의 증거일 수 있습니다. 대부분은 비염약을 복용하면 나아지는 특징이 있습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병원 엑스레이 CT촬영 후 방사능 피복 가능성은 얼마나 있나요?
안녕하세요. 방사능 피폭이라는 용어는 이미 햇빛을 받고 있기 때문에 우리는 매일 방사능에 노출되어 있습니다. 이 보다는 피폭의 정도가 중요한데 CT 의 경우 엑스레이를 150 - 300 장 정도 찍는다고 생각할 수 있으며 엑스레이 10장은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문제는 CT 인데 가슴, 복부 각각 1회씩 촬영하여서 적정 방사선량으로 보입니다. MRI 는 방사선이 아닌 자석의 자기장을 이용한 검사라서 방사선에 노출되지는 않는 검사입니다.
성형외과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신장 공여자, 뇌종양 수술 환자가 로게인폼 사용해도 되나요?
안녕하세요. 로게인 폼은 일반 의약품으로 미녹시딜 탈모 치료제에 해당하고 있어서 신장 공여자 라고 해서 문제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손발이 차가우면 감기에 걸릴 확률이 높아지나요?
안녕하세요. 서로 관련성이 있다고 보기는 어려운데 입 안에는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많이 살고 있는데 입 안 온도가 25도 이하로 떨어지게 되면 세균의 증식이 빨라지게 됩니다. 그래서 환절기에 감기가 자주 걸리는 이유이기도 합니다.
내과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코로나, 독감도 아니면 뭘까요?
안녕하세요. 36.9도면 열이 떨어졌음을 의미하기 때문에 검사를 다시 해볼 필요는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독감 보다는 장염의 증상으로 보이는데 장염의 경우, 독감 외에도 많은 세균이나 바이러스가 원인이기 때문에 이를 모두 검사로 확인하지는 않는 것이 사실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졸다가 갑자기 숙이면 등이 아파요
안녕하세요. 아마도 척추 협착증이나 디스크를 갖고 있을 수 있는데 심하지 않은 경우, 수술이 항상 필요하지는 않으며 충분한 스트레칭과 근력 운동을 통해 허리나 등 근육을 이완 시키고 근력을 키워주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감기에서 폐렴으로 갈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폐렴과 감기는 서로 각각 생기기 보다는 감기로 인한 바이러스나 세균이 호전되지 않고 흡인을 통해 폐로 넘어가는 경우, 폐렴이 유발되게 됩니다. 폐렴은 나이가 많고 면역력이 약할 수록 쉽게 발생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기관지염과 폐렴의 차이가 뭔가요?
안녕하세요. 폐는 기관지와 그를 둘러싼 폐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기관지는 폐로 공기가 통하는 통로이며 이곳에 염증이 생길 때 기관지염이라고 하며 폐에 염증이 생길 때 폐렴이라고 합니다. 기관지염과 폐렴 모두 치료는 비슷하지만 폐렴이 좀 더 힘든 것이 사실입니다.
비뇨의학과
2024년 1월 9일 작성 됨
Q.
감기약 복용후 소변에 거품이 많이 발생함
안녕하세요. 감기약에서 항생제가 포함된 경우와 몸살이 심해서 발열이 있었던 경우, 두 경우에 소변에서 거품이 날 수 있습니다. 항생제 자체의 문제 보다는 항생제를 복용하면서 세균이 죽는 경우, 그 대사 물질로 인해 거품뇨가 발생할 수 있으며 몸살은 하나의 면역 반응으로 이 대사 물질로 인한 거품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물을 충분히 드시는 것이 좋습니다.
191
192
193
194
19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