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피부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등이랑 가슴,양쪽 팔의 윗부분,어깨에 두드러기같은 빨간 여드름이 올라오는데 사춘기 때문에 그런 건가요?
안녕하세요. 몸 전반에 피지샘이 분포하게 되는데 피지는 사춘기가 아니어도 나타나게 되며 나이가 들수록 피지 생성이 늘다가 감소하게 됩니다. 주로 땀이 많이 나는 경우에 피지 생성이 증가하면서 여드름 생성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왜 여성보다 남성이 탈모가 더 많이 발생하는 것인가요?
안녕하세요. 남성 호르몬인 테스토스테론은 털이 더 잘 자라도록 하는 기능이 있는데 몸 전반에 털이 잘 자라도록 하게 되며 나이가 들면서 두피에 테스토스테론 수용체가 감소하면서 머리카락이 빠지고 수염이 더 잘 자라는 특징이 있습니다. 여성 역시 테스토스테론이 나오지만 남성보다 적은 것이 특징입니다.
내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록소디펜정(소염제)복용후 독감백신 접종했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거의 문제가 되지 않습니다. 실제로도 감기 정도가 심하지 않으면 예방 접종을 하게 되는데 록소프로펜을 드신다고 독감 접종 후 부작용이나 신장 기능 저하를 더 자주 느끼는 경우는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마스크가 면여체계를 저하시키나요?
안녕하세요. 마스크가 면역 체계를 낮추지는 않지만 그 동안 마스크를 착용하면서 인플루엔자 등에 노출되지 않으면서 줄었던 감기가 예전과 같은 상태로 회복하는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 시즌 때 비정상적으로 감기 환자가 줄었던 것으로 실제로는 매년 현재와 같은 수의 감기 환자가 발생하는 것이 사실이며 어린 아이들의 경우, 정상적으로 감기에 노출되면서 얻을 수 있는 면역을 얻지 못하면서 코로나를 겪은 아이들은 인플루엔자에 처음 노출이 되면서 감기에 자주 걸리는 것으로 보입니다.
피부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머리가 자꾸 빠지는데 어느병원을 가서 머라고 해야하죠?
안녕하세요. 피부과 혹은 내과 진료를 통해서 탈모에 대한 진료를 받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피부과의 경우, 진료 비용이 많을 것으로 보이지만 내과에서 진료를 받는 경우, 진료비가 비싸지는 않을 것으로 보이며 오히려 약제비는 나올 것으로 보입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두 약을 동시 복용해도되나요???
안녕하세요. 네 문제가 되지는 않습니다. 실제로도 동시에 복용하기도 하며 서로 부작용을 보이는 것은 아니기 때문에 같이 복용할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감기 자주 걸리는데 감기에 자주 걸리지 않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안녕하세요. 가장 좋은 것은 목을 따뜻하게 하는 것이 좋습니다.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도 방법으로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체온이 떨어질 때 오히려 증식하여 인후염이나 편도염을 잘 유발하기 때문에 목을 감싸고 마스크를 착용하는 것은 감기 예방에 도움이 됩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가슴 통증이 가끔 느껴지는데요 원인이 뭘까요?
안녕하세요. 가슴 통증이 있을 때 협심증 혹은 역류성 식도염을 의심하게 되는데 현재 트림과 타 들어가는 느낌이 있는 것으로 보아 역류성 식도염의 증상으로 보입니다. 식도 역류에 대한 약제 처방이 필요한 것으로 보입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계속 어지러움증상을 느끼는데 왜이럴까요?
안녕하세요. 이석증의 증상으로 보이며 말초성 어지럼증의 증상으로 스트레스가 많거나 고혈압이 있을 때 잘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온 음료를 드셔 보시기 바라며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내과 혹인 신경과 진료를 통해 약물 치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내과
2023년 10월 16일 작성 됨
Q.
고혈압 치료중인데 병원을 옮겨도 될까요?
안녕하세요. 네 현재는 고혈압, 당뇨 등의 일반 질환은 가까운 병원에서도 충분히 치료가 가능하며 굳이 대학 병원까지 가서 진료를 받는 것은 단지 걱정이 많이 되어서 큰 병원 진료를 받는 것으로 보입니다.
231
232
233
234
235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