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안과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눈가 주위가 뻐근한 느낌이 드는데 다래끼인건지 문의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전체적으로 눈 윗 부분이 붉고 부어있는 모습을 보이고 있어서 다래끼의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항생제 치료가 필요할 수 있어서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안과 등 진료를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내과
2023년 10월 12일 작성 됨
Q.
고혈압이 발생하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나이가 들면서 혈관의 탄성이 줄어들게 되고 근육량이 부족하고 지방이 침착하는 경우, 혈관에 지방이 침착하면서 압력이 늘게 되고 근육이 혈관을 잘 잡아주지 못하면서 심장이수축할 때 압력이 혈관에 직접적으로 전달되면서 혈압이 증가하게 됩니다. 이는 유전적인 성향도 있어서 조기에 고혈압이 생기는 경우, 본태성 고혈압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산부인과
2023년 10월 11일 작성 됨
Q.
임산부인데 기침 가래 영향갈까요 태아에게?
안녕하세요. 기침 정도로 태아가 빠져 나오거나 영향을 주기는 어려운 것이 사실입니다. 가래는 태아에게 영향을 주지는 않는데 폐렴 등 세균에 의한 감염이 있는 경우그리고 열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이런 세균이나 바이러스는 태반을 통해 침범할 수는 있어서 발열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치료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내과
2023년 10월 11일 작성 됨
Q.
9월29일에 독감걸렸어요...
안녕하세요. 독감 보다는 폐렴은 재발 할 수 있는데 이 보다는 독감이나 코로나 등으로 인한 폐렴이 발생하는 경우, 소모성 질환으로 인해 이후 피로감을 심하게 느끼는 분들이 많습니다. 충분한 영양 섭취와 함께 운동을 하는 것도 좋으며 필요하다면 영양 수액을 맞는 것도 도움이 됩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10월 11일 작성 됨
Q.
달리고 난 후 어지러움과 손이 떨리는 증상 이건 무슨 증상인가요?
안녕하세요. 운동을 갑자기 시작하는 경우에 심장에 부담이 가기 때문에 교감 신경이 과 항진되었다가 이를 억제하기 위해 부교감 신경 역시 항진되면서 운동을 멈추고 쉴 때 미주 신경성 어지럼증 으로 인해 어지럼증을 느낄 수 있습니다. 이때에는 물을 자주 드시거나 심호흡을 충분히 하고 어지럼증이 사라질 때까지는 무리하게 움직이지 않고 쉬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과
2023년 10월 11일 작성 됨
Q.
몸에 생기는 쥐젖제거에 좋은방법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집에서 제거하는 경우, 약국에서 살리실산 용액을 구입하여 바르게 되면 쥐젖이 말랑해지고 제거되기 쉬운 상태로 변하게 되어 쉽게 제거할 수 있습니다. 살리실산 용액을 이용하는 것이 하나의 방법입니다
피부과
2023년 10월 11일 작성 됨
Q.
두피에 열감이 많고 쓰라리기까지 한데 왜 그럴까요?
안녕하세요. 이 보다는 지루성 피부염 등의 두피 질환일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입니다. 두피 역시 얼굴과 같이 피지샘과 모낭이 발달되어 있고 얼굴과 다르게 머리카락으로 인해 두피에 땀이 나는 경우, 잘 증발하지 않으면서 두피에 염증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소트레티노인 등의 모낭염 치료제나 필요한 경우, 미노씬 등을 같이 복용하기도 하여 피부과 혹은 내과 진료를 받으시기를 바랍니다
산부인과
2023년 10월 11일 작성 됨
Q.
유방암 진단 후 대학병원에 빨리 가보는게 좋나요?
안녕하세요. 네 유방암 등 암을 진단 받았을 경우에는 진료를 가능한 빨리 잡아서 보는 것이 좋습니다. 꼭 서울 아산, 삼성 병원을 가야 할 이유가 있는 것이 아니라면 오히려 골든 타임만 늦어질 수 있으며 영남대 병원 역시 잘 볼 것으로 보이고 이런 암의 치료는 대부분이 일정하기 때문에 진료가 가능한 병원을 찾아 가시기를 바랍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10월 11일 작성 됨
Q.
잘 땐 안 아픈데 일어나서 의식할때 아픈 게 신경통일까요?
안녕하세요. 아무래도 신경성 통증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전반적으로 통증이 여러 곳에서 나타나고 돌아다니는 경우, 심각한 질병 보다는 스트레스로 인한 두통 등과 같은 일반 근육통일 가능성이 높은데 이 경우, 일반 진통제에 반응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내과
2023년 10월 11일 작성 됨
Q.
명치에 멍이 7개월째 안없어집니다
안녕하세요. 명치 부분에 피부 아래에 바로 정맥혈이 지나가거나 혹은 다른 이상이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 멍은 출혈의 흔적으로 대부분 1개월 이내에 사라지게 됩니다. 혈관이 노출된 경우에는 지속적으로 관찰되기 때문에 Chest CT 등 CT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안전할 것으로 보입니다
236
237
238
239
24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