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얼굴에 전기가 흐르는거같은 느낌이 나요
안녕하세요. 증상이 지속되는 경우에는 안면 신경 마비나 마그네슘, 칼슘 등의 전해질 부족을 의심할 수 있지만 현재 갑자기 나타나는 경우, 이는 두통의 전구 증상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감각 신경 과민 증상일 수 있습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임신초기인데(6주) 네일샵 가도되나요?
안녕하세요. 네일샵에서 사용하는 알코올 정도로 아이에게 문제가 생길 가능성이 극히 적을 것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임신 초기에는 문제가 되는 행동을 하지 않는 것이 가장 안전합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귀두에 붉은게 났는에 성병일까요??
안녕하세요. 귀두 포피염으로 보이며 잦은 성생활 중에 발생할 수 있지만 주로 마찰에 의해 나타나며 대부분은 치료 없이 저절로 호전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왜 장염이 나은 이후로 2주째계속 똥마려운 느낌이 드나요?
안녕하세요. 장염 이후에 위막성 대장염 등이 발생하였을 때 혹은 장염 당시에 설사로 인해 항문에 치질이 발생하였을 때 이 증상을 많이 느낄 수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직장 내시경 검사를 받아 보는 것이 직장 내 그리고 항문 주변에 치질 여부를 확인하기 쉬울 것으로 생각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술먹고 항상 짙은 고동색 검정색빛 변을 보는데요..
안녕하세요. 아마도 위궤양이 관찰되지 않은 경우, 출혈성 위염이 있었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 경우에 일시적으로 위염으로 인해 상복부 통증과 함께 위출혈이 발생하면서 흑변을 봤을 가능성이 높지만 대부분 저절로 호전이 되며 위 내시경 검사에서는 정상을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음주로 인해 반복적으로 흑변을 보는 출혈성 위염이 반복되는 경우, 음주를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내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소견서 대신 진단서를 제출해도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3차 병원 진료를 위해서는 소견서 혹은 진료의뢰서를 갖고 가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진단서 역시 문의해 보면 받아 주실 수 있지만 반드시 필요한 서류는 3차 병원 진료를 위한 진료의뢰서 혹은 소견서가 필요한 것이 사실입니다.
정형외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고관절무혈성괴사 라는 병이 있는데 군입대 가능할까요?
안녕하세요. 고관절 무혈성 괴사가 맞는 경우, 군 입대가 아닌 공익근무요원이나 기타 대체 복무를 할 가능성이 높을 것으로 보입니다. 이에 대해 명확하게 입증할 자료를 반드시 갖고 있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안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눈밑이 떨려 마그네슘 복용중인데도 계속 떨리면 어찌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마그네슘의 질과는 관련이 없을 것으로 보이며 이 보다는 피로 누적이나 근력 저하 탈수나 수면 부족으로 인한 근 경련 등 다양한 원인이 됩니다. 필요 이상으로 마그네슘을 섭취하면 심장에도 부담이 될 수 있기 때문에 눈 떨림이 지속되는 경우, 잠을 충분히 주무 시는 것도 좋으며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신경과 진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비를 맞고 찬바람을 쐬면 감기에 걸리기 쉬운 이유가 무엇인가요??
안녕하세요. 물론 찬 공기에도 알레르기 반을을 보이면서 편도염을 호소하는 분들이 있지만 현재 증상은 에어컨이나 찬 공기에 노출이 되면 입 안에 정상적으로 존재하고 있는 연쇄상구균이나 초도상구균, 기타 바이러스가 입 안 온도가 25도 이하로 낮아질 때 증식을 활발하게 하게 되면서 편도염이나 감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누군가의 세균이 꼭 옮겨지는 것은 아니며 입 안에는 정상적으로도 무수한 세균이 존재하고 있어서 감기를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비인후과
2023년 8월 10일 작성 됨
Q.
폐가 부풀어있지않고 눌러붙었다네요
안녕하세요.이는 증상 만 들어서는 알 수 없을 것으로 보입니다. Chest CT 를 확인해야 이전에 이미 앓았던 늑막 유착인지 혹은 최근에 생기고 있는 질병인지를 판단할 수 있기 때문에 호흡기내과 진료를 통해 폐 CT 결과를 다시 들어 보시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316
317
318
319
320
카카오톡
전화 상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