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로그인/회원가입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명규 전문가입니다.
이명규 전문가
연세이명규내과의원
전문가 홈
답변 활동
잉크
전체
의료상담
정형외과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뼈가 굳었다는게 정확히 무슨 의미인가요?
안녕하세요. 뼈는 자라면서 점차 치밀해지게 되고 연골 역시 조금씩 단단해지며 성장판이 닫히기 때문에 다시 성장하기 어려워집니다. 이때를 뼈가 굳어졌다고 하며 청소년 기에 성장판이 닫히기 전이 가장 뼈 성장이 좋은 시기에 해당됩니다.
내과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혈압이 높은데 혈압약을 먹어야 할까요?
안녕하세요. 네 고혈압은 만성 질환으로 아직 까지 완치약은 없는 상태입니다. 150 이상 지속적으로 측정 되는 경우에는 혈압약을 복용하는 것이 안전하며 이미 고혈압인데 약을 평생 복용하는 지를 걱정하기 보다는 빨리 치료해서 합병증을 막는 것이 필요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척추측만증 환자중 심각과 초기의중간 상태라는데 도수치료 받아야할까요?
안녕하세요. 도수 치료가 반드시 필요한 것은 아니어서 이것이 척추 측만증을 반드시 치료한다는 근거가 명확하지는 않습니다. 그러나 그 외에도 교정 치료가 효과 정도는 차이가 있고 도수 치료 역시 이 중 하나이며 도수 치료를 하였을 때 좀 더 교정의 가능성이 높은 것이 사실입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아나필락시스 쇼크는 무엇인지, 언제 발생할 수 있나요?
안녕하세요. 아나필락시스는 알레르기 반응의 일종이지만 급격한 알레르기 증상을 보이는 것으로 음식이나 항생제 등을 복용한 후 기도 부종과 발진이 심해지면서 숨이 차고 혈압이 떨어지는 현상을 아나필락시스라고 하여 증상이 심한 경우, 저산소증과 혈압 저하로 인해 사망할 수 있습니다.
기타 의료상담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발뒤꿈치가 너무아픔니다 왜그런걸까요?
안녕하세요. 네 체중이 과도하게 증가하는 경우, 발바닥에 가해지는 압력도 증가하기 때문에 운동을 시작하거나 오래 걸을 때 족저 근막염의 증상을 보이게 됩니다. 이로 인해 발 뒤꿈치인 족저에 근육 막에 압력으로 인한 염증이 발생하여 통증을 느끼기 때문에 운동이나 장시간 걷기를 피하고 쿠션이 있는 신발을 착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요새더위에 걸었더니 사타구니안쪽에 땀띠가심하네요ㆍ어떤치료가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지루성 피부염의 증상일 수 있으며 땀띠 이후에 피부가 거칠어지고 각질이 발생하기도 합니다. 연고 만으로는 호전이 잘 되지 않아 경구 항히스타민제 등의 알레르기약을 같이 복용하는 것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내과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비장 제거한 자리 내장의통증에 관한 문의?
안녕하세요. 비장 제거 부위는 빈 공간으로 남지 않고 장이 올라와 자리를 잡거나 혹은위가 그쪽으로 이동할 수 있는데 체중이 증가하고 과식을 하면 수술 부위에 불편감을 느끼는 경우도 있습니다. 외과에서 수술을 받았을 것으로 보여 대학 병원 외과 진료를 통해 복부 CT 를 찍어 보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입니다.
피부과
2023년 8월 1일 작성 됨
Q.
입술 봉합 수술후 실밥 제거 했는데 구멍이 생기고, 괴사가 일어난 것 같아요.
안녕하세요. 입술은 다른 부분에 비해서 피부가 약하기 때문에 봉합 부위에 구멍이 났다고 생각할 수 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호전되고 사라지기 때문에 자극을 하는 것이 오히려 더 나빠질 수 있습니다. 겉에 소독만 하면서 경과를 지켜 보는 것이 좀 더 안전할 수 있습니다.
내과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온열질환 발생시 대처법은 무엇이 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열사병은 과도한 햇빛과 뜨거운 온도에서 빠른 속도로 땀을 흘리면서 수분이 소실될 때 발생합니다. 이때에는 미지근하더라도 물을 마시게 하는 것이 좋으며 땀에는 전해질이 포함되어 사라지기 때문에 이온 음료가 가장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어려운 경우, 소금 한 스푼 혹은 설탕물을 먹이는 것도 도움이 되며 그늘 진 곳에서 5분 이상 누워있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신경과·신경외과
2023년 7월 31일 작성 됨
Q.
걸음속도와 치매의 연관성이 있나요??
안녕하세요. 네 치매는 단순하게 기억력을 잃는 질병이 아니며 가장 먼저는 하지 근력 저하가 나타나게 되고 이후에 기억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하지 근력 저하를 먼저 측정하게 되며 치매 단계에서는 근육의 부조화로 인해 거동 속도가 느려지고 중심을 잡는 것에 어려움을 겪는 것이 사실입니다.
336
337
338
339
340
카카오톡
전화 상담